홍호는 상주지역 출신의 영남 남인으로 벼슬이 대사간에 이른 관료이며, 홍귀달의 후손이다. 홍호의 집안은 홍귀달 대에서부터 부정한 권력에 굴하지 않고 강직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홍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홍호는 상주지역 출신의 영남 남인으로 벼슬이 대사간에 이른 관료이며, 홍귀달의 후손이다. 홍호의 집안은 홍귀달 대에서부터 부정한 권력에 굴하지 않고 강직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홍호...
홍호는 상주지역 출신의 영남 남인으로 벼슬이 대사간에 이른 관료이며, 홍귀달의 후손이다. 홍호의 집안은 홍귀달 대에서부터 부정한 권력에 굴하지 않고 강직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홍호의 아버지인 홍덕록 역시 강직하여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거리낌 없이 말하고 다른 사람들의 시선이나 평가를 두려워하지 않았다. 이러한 집안의 강직한 내력은 홍호와 홍여하에게도 이어졌으며, 옳다고 생각하는 일에 대해 다 말하고 절의를 강조하였다. 홍호는 이러한 강직함으로 광해군대 이이첨의 아들이었던 이대엽이 실력이 부족한데도 과거에 합격하자 승문원에 배정되는 것을 반대하였으며, 인조대 초반에 박승종을 적몰한 것에 대해 부당함을 상소하기도 하였다.
특히 인조대 초반 박승종의 가산을 적몰한 것에 대해 부당함을 제기한 것은 인조반정 직후의 분위기에서 어려운 것이었다. 홍호는 대신의 신분으로 국왕인 광해군을 바른 길로 인도하지 못한 것을 자책하며 스스로 자살을 한 박승종에 대해 국왕에 대한 대신의 의리를 다한 것이라고 여겼다. 하지만 인조반정 직후 김류, 이귀, 이서 등이 박승종을 이이첨과는 다르게 처벌해야한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인조는 박승종, 박자흥 부자의 관작을 추탈하고 가사와 전민을 몰수하였다. 이후 박승종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이견을 제시할 수 없었으나, 홍호가 이에 대해 문제제기를 한 것이다. 결국 홍호의 의견은 사심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영변판관에 제수되는 것으로 끝맺었지만, 이후에도 홍호는 박승종 적몰이 부당함을 상소하였다.
한편 홍호의 관력을 살펴보면 외직으로 영변판관, 구성판관, 안음현감, 흥해군수 등의 지방관을 두루 경험하였으며, 내직에서는 주로 병조와 관련된 일을 많이 맡아보았다. 또한 이괄의 난 때에는 경상도검찰사 정경세의 종사관으로 군량을 모으고 관리하는 일을 담당하였으며, 정묘호란 때에는 경상도관찰사 김시양의 군대에 소속되어 전쟁을 수행하였다. 이로 인해 홍호는 평안도와 경상도의 방어정책에 관한 내용이나, 성책의 축조, 첨방군 문제, 포수의 양성 등 군사와 관련한 많은 의견을 개진하였다. 대부분 의견이 받아들여지지는 않았지만, 서북방 지휘관이나 비변사 등도 모두 공감하고 있는 부분이었다. 그 가운데서도 성책의 축조는 대규모 인력을 동원해야 하는 일이기에 조정에서도 선뜻 받아들이기 힘들었지만, 홍호는 영변판관으로 자신의 권한 내에서 성을 정비하기도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ng Ho洪鎬(1586~1646) is a Yeongnam male from Sangju, a government official who reached the post of ambassador, and a descendant of Hong Gwi-dal. Hong Ho's family was evaluated by Hong Gwi-dal as being upright without giving in to unjust power. Hon...
Hong Ho洪鎬(1586~1646) is a Yeongnam male from Sangju, a government official who reached the post of ambassador, and a descendant of Hong Gwi-dal. Hong Ho's family was evaluated by Hong Gwi-dal as being upright without giving in to unjust power. Hong Deok-rok, Hong Ho's father, was also upright and said what he thought was right without hesitation and was not afraid of other people's views or evaluations. The family's upright history also led to Hong Ho and Hong Yeo-ha, and they emphasized courtesy after saying everything they thought was right. With this rigidity, Hong Ho opposed Lee Dae-yeop, the son of Lee Yi-cheom of Gwanghae Army, to be assigned to Seungmunwon when he passed the examination in the past, and appealed for unfairness in the early days of King Injo's reign.
Looking at Hong-ho's sensitivity, he experienced a wide range of local views, and he was mainly in charge of a lot of work related to the military-related tasks. In addition, during Yi Gwal's rebellion, he was in charge of collecting and managing the military as a worker of Gyeongsang-do prosecutor Jeong Gyeong-se, and during the Jeongmyo War, he belonged to the army of Gyeongsang-do observer Kim Si-yang and fought a war. For this reason, Hong Ho expressed many opinions on military affair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state policies, the issue of the armed forces, and the training of catchers, as well as the contents of defense policies in Pyeongan-do and Gyeongsang-do. Most of the opinions were not accepted, but they were all agreed upon by the commander of the northwest and the non-speech. Among them, the construction of the holy book was difficult to accept even in the court because it required large-scale manpower, but the castle was also renovated within its own authority.
참고문헌 (Reference)
1 권내현, "조선후기 호조의 평안도 재정 활용" 동양학연구원 (35) : 11-11, 2004
2 권내현, "조선후기 평안도 방어체제의 정비와 이완" 한국사학회 (69) : 79-106, 2003
3 노영구, "조선후기 전술변화와 중앙 군영의 편제 추이" 육군군사연구소 (144) : 27-55, 2017
4 유승희, "조선후기 적몰(籍沒)제도의 운용과 실태" 한국역사민속학회 (60) : 7-40, 2021
5 감병훈, "조선전기 경상우병영의 설치와 이설" 민족문화연구소 (79) : 175-210, 2021
6 김준형, "조선시대 晉州城의 기능과 성내 시설의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65) : 97-130, 2013
7 김강식, "임진왜란 시기 경상도의 산성 축조와 전투" 부경역사연구소 (33) : 65-95, 2013
8 김학수, "상주 진주정씨 우복 종택 소장 전적류의 내용과 성격"
9 허태구, "광해군 대 박승종(朴承宗)의 정치적 위상과 대외인식" 한국학연구소 (60) : 241-276, 2021
10 李⼭海, "鵝溪遺稿"
1 권내현, "조선후기 호조의 평안도 재정 활용" 동양학연구원 (35) : 11-11, 2004
2 권내현, "조선후기 평안도 방어체제의 정비와 이완" 한국사학회 (69) : 79-106, 2003
3 노영구, "조선후기 전술변화와 중앙 군영의 편제 추이" 육군군사연구소 (144) : 27-55, 2017
4 유승희, "조선후기 적몰(籍沒)제도의 운용과 실태" 한국역사민속학회 (60) : 7-40, 2021
5 감병훈, "조선전기 경상우병영의 설치와 이설" 민족문화연구소 (79) : 175-210, 2021
6 김준형, "조선시대 晉州城의 기능과 성내 시설의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65) : 97-130, 2013
7 김강식, "임진왜란 시기 경상도의 산성 축조와 전투" 부경역사연구소 (33) : 65-95, 2013
8 김학수, "상주 진주정씨 우복 종택 소장 전적류의 내용과 성격"
9 허태구, "광해군 대 박승종(朴承宗)의 정치적 위상과 대외인식" 한국학연구소 (60) : 241-276, 2021
10 李⼭海, "鵝溪遺稿"
11 李埈, "蒼石集"
12 洪鎬, "無住逸稿"
13 ⾦坽, "溪巖日錄" 한국국학진흥원 2013
14 全湜, "沙⻄集"
15 洪汝河, "木齋集"
16 "承政院日記"
17 鄭經世, "愚伏集"
18 "宣祖實錄"
19 "光海君日記"
20 "備邊司謄錄"
21 "仁祖實錄"
22 한명기, "丙子胡亂 무렵 朝鮮의 對日政策과 認識" 동북아역사재단 (17) : 315-352, 2007
23 한명기, "丁卯胡亂 무렵 朝鮮의 對日政策과 그 역사적 의미" 대동문화연구원 (54) : 215-254, 2006
24 "『愚伏先祖別集開刊時⽂蹟』 「門⼈錄」"
25 趙絅, "⿓洲遺稿"
26 구열회, "18세기 초-중반 경상도 방어전략의 변화 - 수군에서 요충방어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25) : 59-97, 2017
27 권내현, "17세기 전반 平安道의 軍糧 운영" 조선시대사학회 (20) : 169-196, 2002
28 권내현, "17세기 전반 對淸 긴장 고조와 平安道 방비" 고려사학회 (13) : 5-5, 2002
29 송기중, "17세기 수군방어체제의 개편" 조선시대사학회 (53) : 5-44, 2010
30 노영구, "16~17세기 鳥銃의 도입과 조선의 軍事的 변화"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8) : 111-137, 2012
31 조창록, "1632년의 해로사행과 洪鎬의 「朝天日記」" 온지학회 (42) : 37-66, 201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8-0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Studies Adancement Center ->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5 | 0.65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62 | 1.324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