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istoph Friedrich Blumhardt sociologically reinterpreted and applied the recognition ‘Jesus is the winner!‘ , which is his father, Johann Christoph Blumhardt’s spiritual legacy. The progressive government of Moon Jae-in ended in 5 years. Alth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ristoph Friedrich Blumhardt sociologically reinterpreted and applied the recognition ‘Jesus is the winner!‘ , which is his father, Johann Christoph Blumhardt’s spiritual legacy. The progressive government of Moon Jae-in ended in 5 years. Altho...
Christoph Friedrich Blumhardt sociologically reinterpreted and applied the recognition ‘Jesus is the winner!‘ , which is his father, Johann Christoph Blumhardt’s spiritual legacy. The progressive government of Moon Jae-in ended in 5 years. Although the government was built up by the candlelight revolution, it failed to show visible results, in terms of policy enforcement. Then, a candidate from a conservative party, Yoon Seok-yeol was elected as a new president. At this point in time, what is the focus that Korean churches have to bring to, for whom are they devoted, and what should they resist? The author in this paper looks into Blumhardt, Jr’s life first. He then suggests the direction of Korean churches to go through his third- and fourth-term life. Blumhardt, Jr’s first-term life was a successor to his father. He worked as a revivalist like his father. But he discovered the heroism of revival, christian egoism and christian carnality hidden behind revival. That’s why he yelled ‘Die. Then Jesus lives!’ in his second-term life. He also found practice outside the church, not ministry in the church. It was a struggle for laborers’ lives and rights. Yelling ‘Jesus is a socialist’, he declared ‘You, humans belong to God!’. His third-term life started this way. At that time, Blumhardt worked as a local councillor too after entering the Social Party of Democratism(SPD). Korean churches have to be interested in laborers and labor environments under any regime, since labor is the same concept as human personality beyond a life of a family. He then resigned from the political circles and began to raise a prophetic voice towards Germany that prepared for the 1st World War, meditating on the time once again. Hurrying for God’s realm and laborers’ rights, he declared ‘God’s realm comes up!‘ that was the fourth shout and waited for God’s realm. The author here examines Moon Jae-in administration’s policies. It carried forward the reform for income-led growth and good occupations to resolve the low growth and polarization issues of Korean society, but then pushed on serial landing of decrease in working hours and increase in minimum wage. In this situation, the wrong real estate policy made the price of property rise sharply and disturbed housing as well. Besides, the tax policy and the reform of labor market failed to obtain their performances. This situation led to the birth of the 20th president, Yoon Seok-yeol. Then, what should Korean churches do in this situation? The author considers the focus that churches have to bring to, learning from Blumhardt, Jr under the present chaotic situation.
국문 초록 (Abstract)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블룸하르트는 아버지 요한 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의 영적인 유산인 ‘예수는 승리자이다!’라는 인식을 사회학적으로 재해석하고 적용하였다. 문재인 정부인 진보 ...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블룸하르트는 아버지 요한 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의 영적인 유산인 ‘예수는 승리자이다!’라는 인식을 사회학적으로 재해석하고 적용하였다. 문재인 정부인 진보 정권이 5년 만에 막을 내렸다. 촛불 혁명으로 세워진 정권이지만, 정책들의 진행이 가시적인 성과까지 나타나지 못했다. 그리고 보수 정당의 윤석열 후보가 대통령이 되었다. 이 시점에서 한국교회에 어디에 초점을 맞추고 누구를 위해 헌신하고 무엇에 저항해야 하는가? 이 논문에서 저자는 우선 아들 블룸하르트의 생애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의 삶 3기와 4기에서 지금 한국교회가 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아들 블룸하르트의 1기의 삶은 아버지의 후계자였다. 아버지처럼 부흥사로 활동하였다. 하지만 그는 부흥 뒤에 숨어있는 부흥의 영웅주의, 기독교적인 이기주의와 기독교적인 육을 발견하게 된다. 그래서 2기의 삶에서 ‘죽어라, 그리하면 예수가 산다!’라고 외친 것이다. 그리고 그는 교회 안에서의 목회가 아닌 교회 밖에서의 실천을 발견하게 된다. 그것은 노동자의 생활과 권리를 위한 투쟁이었다. 그는 ‘예수는 사회주의자이다’라고 외치면서 ‘너희 인간들은 하나님의 것’이라고 선포한다. 그의 3기의 삶은 이렇게 시작한다. 블룸하르트는 그 당시 사회민주당(SPD)에 입당하여 지역 의원으로도 활동하게 된다. 한국교회는 어떤 정권이든 간에 노동자와 노동 환경에 관심이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노동은 한 가족의 생활을 넘어선 인간의 인격과도 동일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는 정치권에서 물러나서 그 시대를 다시금 묵상하면서 1차 대전을 준비하는 독일에 대해서 예언자적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다. 하나님 나라를 위해서 노동자의 권리를 위해서 서둘렀던 그가 4기인 외침 ‘하나님의 나라는 다가온다!’를 선포하면서 하나님 나라를 기다리게 된다. 여기에서 저자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을 살펴보았다. 한국사회의 저성장과 양극화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소득주도 성장과 좋은 일자리를 위한 개혁을 추진했지만, 노동 시간의 단축과 최저임금의 인상을 연착륙 방안을 추진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잘못된 부동산 정책으로 부동산 가격은 폭등하게 되었고 주택 공급에도 차질을 빚게 되었다. 또한, 조세 정책과 노동시장의 개혁도 성과를 맺지 못하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20대 대통령으로 윤석열이 당선되게 된다. 그렇다면 한국교회는 이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필자는 혼란한 현 상황에서 아들 블룸하르트를 통해서 교회가 어디에 초점을 두어야 할지를 고찰해 보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장현, "한국 성령운동의 사회적 성격에 관한 고찰" 영산신학연구소 29 : 123-152, 2013
2 이관표, "한국 기독교의 정치참여와 예수 그리스도의 자기 비움- 발터 벤야민과 존 하워드 요더에 관련하여 -" 한국대학선교학회 (34) : 287-320, 2017
3 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 "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 행동하며 기다리는 하나님" 대장간 2018
4 김윤태, "코로나19 이후 시대의 불평등과 국가의 역할" 한국공공사회학회 12 (12): 251-280, 2022
5 정재영, "코로나 팬데믹 시대에 교회의 변화와 공공성" 한국실천신학회 (73) : 857-886, 2021
6 배덕만, "최근 한국교회의 성령운동: 신사도개혁운동, 너는 누구니?" 29 : 90-114, 2013
7 위형윤, "책임사회 속에서 차별에 대한 인권실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41) : 207-242, 2014
8 김택, "정부의 부동산 정책 문제점과 개선방안" 국제문화기술진흥원 7 (7): 256-263, 2021
9 김종진, "일용직 노동실태와 특징-일자리 취약성과 노동 사각지대" 한국노동사회연구소 1-17, 2022
10 안선희, "예배와 촛불집회의 의례·퍼포먼스적 성격에 관한 고찰" 한국실천신학회 (58) : 37-64, 2018
1 류장현, "한국 성령운동의 사회적 성격에 관한 고찰" 영산신학연구소 29 : 123-152, 2013
2 이관표, "한국 기독교의 정치참여와 예수 그리스도의 자기 비움- 발터 벤야민과 존 하워드 요더에 관련하여 -" 한국대학선교학회 (34) : 287-320, 2017
3 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 "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 행동하며 기다리는 하나님" 대장간 2018
4 김윤태, "코로나19 이후 시대의 불평등과 국가의 역할" 한국공공사회학회 12 (12): 251-280, 2022
5 정재영, "코로나 팬데믹 시대에 교회의 변화와 공공성" 한국실천신학회 (73) : 857-886, 2021
6 배덕만, "최근 한국교회의 성령운동: 신사도개혁운동, 너는 누구니?" 29 : 90-114, 2013
7 위형윤, "책임사회 속에서 차별에 대한 인권실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41) : 207-242, 2014
8 김택, "정부의 부동산 정책 문제점과 개선방안" 국제문화기술진흥원 7 (7): 256-263, 2021
9 김종진, "일용직 노동실태와 특징-일자리 취약성과 노동 사각지대" 한국노동사회연구소 1-17, 2022
10 안선희, "예배와 촛불집회의 의례·퍼포먼스적 성격에 관한 고찰" 한국실천신학회 (58) : 37-64, 2018
11 김성건, "영국의 감리교와 노동계급 그리고 한국 개신교" 3 : 71-98, 2011
12 정용택, "실천신학의 규범적 과제에서 책임 개념의 함의 : 신학윤리와 정치철학의 매개를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78) : 845-876, 2022
13 임희국, "신앙인의 정치 참여-블룸하르트의 경우" 687 : 56-67, 2016
14 박근갑, "시민사회와 갈등의 정치-독일제국 후반기 <사회개혁협회>와 사회민주주의 노동운동, 1901-1914-" 한국서양사학회 (96) : 203-239, 2008
15 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 "숨어있는 예수" 달팽이 2008
16 임희국, "블룸하르트가 증언한 하나님 나라-19세기 독일의 산업화, 민족주의, 제국주의-" 대한기독교서회 2020
17 임희국, "블룸하르트가 증언한 우주적 예수 그리스도"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50 (50): 93-115, 2018
18 서울신학대학교 글로벌사중복음연구소, "블룸하르트 부자의 사역지에서 묵상한 사중복음 치유" 797 : 76-80, 2020
19 유승익, "문재인 정부의 검찰개혁, 평가와 과제" 법과사회이론학회 (68) : 101-125, 2021
20 김상겸, "문재인 정부 조세정책에 대한 평가와 바람직한 조세 정책방향의 모색" 미래산업연구소 45 (45): 65-90, 2021
21 이창무, "문재인 정부 부동산정책의 비판적 평가" 한국행정연구원 29 (29): 37-75, 2020
22 최유석 ; 최창용, "문재인 정부 복지정책에 대한 인식" 한국콘텐츠학회 20 (20): 435-450, 2020
23 정준호, "문재인 정부 경제 정책의 성과와 평가" 한국사회과학연구회 (113) : 26-75, 2021
24 오병두, "문재인 정부 검찰개혁에 대한 평가" 민주주의법학연구회 (76) : 75-97, 2021
25 김옥순, "디아코니아 관점에서 본 보편적 복지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34) : 411-442, 2013
26 장승진, "당파적 양극화 속 새로운 정치적 대상에 대한 이념적 인식 : 윤석열 현상을 사례로" 한국정치학회 55 (55): 71-90, 2021
27 장영수, "검찰개혁,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가?" 법학연구원 (96) : 49-80, 2020
28 김옥순, "개신교 전통 속에서 인간존재의미와 디아코니아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68) : 697-731, 2020
29 조국, "가불 선진국" 메디치미디어 2008
30 박우룡, "20세기 초 미국 진보주의 전통의 종교적 토대: 사회 복음 운동이 혁신주의의 발생에 끼친 영향" 역사문화연구소 (69) : 237-280, 2019
31 임희국, "19세기 독일 개신교회의 사회봉사" 39 : 100-116, 1999
우울증 기독 청소년의 수치심 이해와 목회 상담적 치료방안 : 애착 관계를 중심으로
비대면 시대의 대면(對面)의 영성 : 레비나스의 ‘얼굴’ 개념과 웨슬리의 사회적 실천 영성
이야기식 설교(Narrative Preaching), 잘 되어지고 있는가? : 이야기식 설교의 바람직한 한국적 적용을 위한 재고찰
Corona Red, Blue, Black 상황 속에서의 목회 신학적 과제 - ‘사회적 거리 두기’를 ‘정서적 거리 좁히기’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81 | 1.81 | 1.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3 | 1.4 | 0.653 | 0.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