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찰의 도주차량 직접차단의 법률유보원칙 위반 여부에 관한 연구: 위해성 경찰장비 규정 공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egitimacy of Police Precision Intervention Techniques in Korea: A Focus on the Gap in Police Use of Force Regul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68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lice high-speed chase, a significant part of police duties, may result in serious property damage, personal injury, and death to make police pursuit too hazardous to undertake as frequently as the present policy permits. Recently,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KNPA) has adopted precision intervention technique as an official policy that allows its officers to force a fleeing vehicle to lose control and stop during police high-speed pursuit situations. The Constitution of Korea mandates any governmental attempts to limit citizens’ constitutional rights to have their basis on the legislation ena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Nevertheless, the current police pursuit policy of the KNPA is apparently ill-advised, in fact, unconstitutional, as the policy is only approved by the internal policy of the KNPA even though police precision-intervention technique maneuvers may endanger citizens.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new police high-speed pursuit policy within the context of Article 37 of the Korean Constitution. Upon analysis,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it is very likely that the new police high-speed pursuit policy can be held unconstitutional, which requires prompt complementary
      번역하기

      Police high-speed chase, a significant part of police duties, may result in serious property damage, personal injury, and death to make police pursuit too hazardous to undertake as frequently as the present policy permits. Recently, the Korean Nationa...

      Police high-speed chase, a significant part of police duties, may result in serious property damage, personal injury, and death to make police pursuit too hazardous to undertake as frequently as the present policy permits. Recently,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KNPA) has adopted precision intervention technique as an official policy that allows its officers to force a fleeing vehicle to lose control and stop during police high-speed pursuit situations. The Constitution of Korea mandates any governmental attempts to limit citizens’ constitutional rights to have their basis on the legislation ena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Nevertheless, the current police pursuit policy of the KNPA is apparently ill-advised, in fact, unconstitutional, as the policy is only approved by the internal policy of the KNPA even though police precision-intervention technique maneuvers may endanger citizens.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new police high-speed pursuit policy within the context of Article 37 of the Korean Constitution. Upon analysis,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it is very likely that the new police high-speed pursuit policy can be held unconstitutional, which requires prompt complementa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경찰의 도주차량 추격은 「경찰관직무집행법」상의 직무인 범죄의 진압, 공공의 안녕과질서 유지를 위해 불가피하지만 그 위험성으로 인하여 적극적인 도주차량 추격이 쉽지않은 현실이다. 지난 2019년 경찰청은 「112 신고 접수·지령 매뉴얼」을 통해 도주차량을 경찰순찰차로 직접 충격하여 상황을 종결시키는 ‘직접차단’ 방법을 도입, 시행에 들어갔다. 경찰권은 필요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극히 제한적으로 행사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반드시국회가 제정한 법률이나 법률의 구체적 위임에 의한 법규명령에 경찰권 행사의 근거가 마련되어 있어야 하는 법률유보원칙이 엄격히적용된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 도주차량의 후면 또는 후측면을 경찰순찰차로 충격하는 경우 도주차량이 균형을잃고 전복되거나 2차사고로 이어져 무고한 시민의 안전까지도 위협할 수 있어 「경찰관직무집행법」 및 「위해성경찰장비의 사용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의 위해성 경찰장비 특히, 무기로 규정하는 것이 법리상 타당하다. 현재 경찰청 내부지침에 불과한 「112 신고 접수·지령 매뉴얼」만으로 규정된 직접차단은 헌법상 법률유보원칙에 위배되어 위헌소지가 있다. 따라서 경찰의 도주차 량 직접차단 관련 제반 법규정의 조속한 정비를 통해 직접차단에 활용되는 경찰순찰차의위해성 경찰장비 지정, 관련 안전교육 및 안전검사 기준 정립, 직접차단에 활용된 경찰순찰차의 유지·보수, 직접차단의 보다 구체적인실행 방법 및 주의사항 등을 규정하고, 도주차량 직접차단 교육·훈련·평가 프로그램 신설및 교육·훈련환경 구축, 도주차량 추격용GPS 위치추적기 등 비침해적 추격방안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경찰의 도주차량 추격은 「경찰관직무집행법」상의 직무인 범죄의 진압, 공공의 안녕과질서 유지를 위해 불가피하지만 그 위험성으로 인하여 적극적인 도주차량 추격이 쉽지않은 현실이다...

      경찰의 도주차량 추격은 「경찰관직무집행법」상의 직무인 범죄의 진압, 공공의 안녕과질서 유지를 위해 불가피하지만 그 위험성으로 인하여 적극적인 도주차량 추격이 쉽지않은 현실이다. 지난 2019년 경찰청은 「112 신고 접수·지령 매뉴얼」을 통해 도주차량을 경찰순찰차로 직접 충격하여 상황을 종결시키는 ‘직접차단’ 방법을 도입, 시행에 들어갔다. 경찰권은 필요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극히 제한적으로 행사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반드시국회가 제정한 법률이나 법률의 구체적 위임에 의한 법규명령에 경찰권 행사의 근거가 마련되어 있어야 하는 법률유보원칙이 엄격히적용된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 도주차량의 후면 또는 후측면을 경찰순찰차로 충격하는 경우 도주차량이 균형을잃고 전복되거나 2차사고로 이어져 무고한 시민의 안전까지도 위협할 수 있어 「경찰관직무집행법」 및 「위해성경찰장비의 사용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의 위해성 경찰장비 특히, 무기로 규정하는 것이 법리상 타당하다. 현재 경찰청 내부지침에 불과한 「112 신고 접수·지령 매뉴얼」만으로 규정된 직접차단은 헌법상 법률유보원칙에 위배되어 위헌소지가 있다. 따라서 경찰의 도주차 량 직접차단 관련 제반 법규정의 조속한 정비를 통해 직접차단에 활용되는 경찰순찰차의위해성 경찰장비 지정, 관련 안전교육 및 안전검사 기준 정립, 직접차단에 활용된 경찰순찰차의 유지·보수, 직접차단의 보다 구체적인실행 방법 및 주의사항 등을 규정하고, 도주차량 직접차단 교육·훈련·평가 프로그램 신설및 교육·훈련환경 구축, 도주차량 추격용GPS 위치추적기 등 비침해적 추격방안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훈, "현행 우리나라 경찰 권총 사용 매뉴얼의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찰 물리력 사용 가이드라인 재정립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27 (27): 359-386, 2018

      2 박동수, "집회 현장에서 경찰의 차벽 운용에 관한 고찰" 한국민간경비학회 14 (14): 55-82, 2015

      3 이훈, "우리나라와 미국 법원의 경찰 물리력 사용 적법성 심사 기준 비교 연구: ‘객관적 합리성 기준’ 도입 타당성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28 (28): 349-374, 2019

      4 경찰청, "살수차 안전교육 자료"

      5 탁희성, "도주차량의 실태와 양형 및 대책" 형사정책연구원 1998

      6 "경찰청 공고, 치안현장 맞춤형 연구개발사업(폴리스랩2.0) 2차 신규과제 선정계획 공고"

      7 이상천, "경찰책임의 재구성" 법학연구소 33 (33): 37-71, 2016

      8 김재광, "경찰차벽의 법적 근거에 관한 고찰 - 헌재 2011. 6. 30 선고, 2009헌마406 결정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29 (29): 1-28, 2017

      9 송시강, "경찰작용과 법률유보 -일반수권조항에 관한 논의의 재론(再論)-" 법학연구소 18 (18): 555-589, 2017

      10 문병효, "경찰권발동의 근거와 한계에 관한 소고(小考) -차벽과 물포 사용 등 공권력 행사와 관련하여-" 비교법학연구소 48 : 275-306, 2016

      1 이훈, "현행 우리나라 경찰 권총 사용 매뉴얼의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찰 물리력 사용 가이드라인 재정립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27 (27): 359-386, 2018

      2 박동수, "집회 현장에서 경찰의 차벽 운용에 관한 고찰" 한국민간경비학회 14 (14): 55-82, 2015

      3 이훈, "우리나라와 미국 법원의 경찰 물리력 사용 적법성 심사 기준 비교 연구: ‘객관적 합리성 기준’ 도입 타당성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28 (28): 349-374, 2019

      4 경찰청, "살수차 안전교육 자료"

      5 탁희성, "도주차량의 실태와 양형 및 대책" 형사정책연구원 1998

      6 "경찰청 공고, 치안현장 맞춤형 연구개발사업(폴리스랩2.0) 2차 신규과제 선정계획 공고"

      7 이상천, "경찰책임의 재구성" 법학연구소 33 (33): 37-71, 2016

      8 김재광, "경찰차벽의 법적 근거에 관한 고찰 - 헌재 2011. 6. 30 선고, 2009헌마406 결정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29 (29): 1-28, 2017

      9 송시강, "경찰작용과 법률유보 -일반수권조항에 관한 논의의 재론(再論)-" 법학연구소 18 (18): 555-589, 2017

      10 문병효, "경찰권발동의 근거와 한계에 관한 소고(小考) -차벽과 물포 사용 등 공권력 행사와 관련하여-" 비교법학연구소 48 : 275-306, 2016

      11 김정규, "경찰 차량추격의 정책적 미흡에 대한 보완적 논의:적정성 확보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18 (18): 57-96, 2009

      12 Hicks, W. L., "Police vehicular pursuits: An overview of research on legal conceptualizations for police administrators" 14 (14): 75-95, 2003

      13 Charles, M., "Police pursuit: In pursuit of policy: The policy issue, legal and literature review, and an empirical study (Vol. 1)" AAA Foundation for Traffic Safety 1992

      14 Ross, D. L., "Plumhoff v. Richard: Classifying the use of deadly force and qualified immunity" 40 (40): 244-257, 2015

      15 Wade, L. M., "High-risk pursuit classification: A categorical analysis of variables from Georgia police pursuits" 26 (26): 278-292, 2015

      16 경찰청, "112신고 접수·지령 매뉴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5-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7 0.789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