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장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과정에서의 역할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학교장이 경험하는 어려움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학교의 변화와 개선에 중요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17678
청주시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교육과정전공 , 2015. 2
2015
한국어
372.19 판사항(22)
충청북도
viii, 141 p.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이승은, 유진은
참고문헌 : p.p.120-12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장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과정에서의 역할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학교장이 경험하는 어려움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학교의 변화와 개선에 중요한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장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과정에서의 역할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학교장이 경험하는 어려움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학교의 변화와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장에 대한 국내외 선행 연구들은 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6차 교육과정 이후부터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이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화 정책으로 줄곧 추진되고 있는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상황은 교장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과정에서의 역할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장의 역할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과정에서의 교장의 역할을 이해하기보다는, 심층면담과 관찰을 활용하여 교장이 인식하는 교장의 역할을 살펴보고 그 가운데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리더로서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교장의 역할 인식과 실제 참여 정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러한 차이의 원인을 교장들은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장들은 스스로 교장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교장들은 학교장으로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교장들은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과정에서 교육과정 리더십을 발휘하는 데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등학교 교장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과의 심층 면담 및 관찰, 관련 문서자료 모으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의미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쳐 초등학교 교장이 인식하는 교장의 역할, 교장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과정에서의 참여 정도와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를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학교 교장들이 인식하는 교장의 역할을 분석한 결과, 교장들은 일반 행정 관리자와 구별된 교육 리더로 인식하고 있었고 그 중에서도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리더로서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 밖에도 학교 내 안전사고를 책임지는 역할, 교직원 관리의 역할에서 후배 교사들을 챙기는 역할, 교사가 아닌 행정직, 계약직 직원들의 관리의 역할을 교장이 해야 할 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학교로 방문하는 민원인・잡상인들을 상대하는 일까지 교장의 역할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렇듯 교장들은 스스로 일반 행정 관리자와 구별된 교육자로서 역할에 대해 인식을 하고 있으면서도 실제로 그 밖의 다양한 행정적 업무 또한 교장의 일로 인식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두 번째는 초등학교 교장들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과정에서 실제 참여도를 살펴본 결과, 5명의 연구 참여자들 간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과정의 참여 및 인식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과정에서 교육과정 리더십을 적극 발휘하여 참여하는 교장도 있었고, 학교 비전을 제시하거나 교육과정 협의의 장을 마련하는 역할을 하는 교장도 있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과정에서 최소한의 역할을 수행하며 교감 및 교사에게 권한을 위임하고 있는 교장도 있었다.
본 연구는 두 번째 연구 결과에서 드러난 연구 참여자들의 개인적 차이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연구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역할과 실제 참여 정도의 차이를 주목하여 이러한 차이가 발생되는 이유를 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 발휘의 장애 요인으로 보았으며, 이렇듯 교장이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이를 통해 살펴보았다. 교장들은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리더로서 교장의 역할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실제 참여의 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식과 참여 정도의 차이를 자율성 없는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교직원의 잦은 인사이동, 교장의 교육과정 책무성에 관한 인식 부족 등의 교장 외부적 문제와 교육과정 연수의 부족으로 인한 교육과정 이해의 부족, 보수주의 등의 교장 내부적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incipal’role perceived and the difficulty in performing the principal role. The methods utilized in this study are qualitative one in terms of observation and interview in depth. The specific research q...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incipal’role perceived and the difficulty in performing the principal role. The methods utilized in this study are qualitative one in terms of observation and interview in depth.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 are formulated as follows :
1. What in the principals’perceptions of their roles?
2. What kinds of role are the principals performing in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3. What kinds of difficulties are the principals experiencing in performing leadership role in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For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the literature analysis and five principals were selected to collect the material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 collection of related records. By classifying the collected materials according to the subject, through the process forming the meaning, the result has been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se method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principals are perceived curriculum leadership role in the most important role among other roles such as a safety supervisor, manager of school staff and a civil affairs official.
Second, concerning the participation i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ll of five principals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ractical participation i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Third, concerning the difficulties perceived by principals, they can be divided into external difficulties and internal difficulties. Here the external difficulties are absent of curriculum autonomy, frequent transfer of personnel and lack of understanding about curriculum accountabilities. The internal difficulties consist of conservatism,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due to lack of training courses.
In conclusion, in order that the principal perform the effective curriculum leadership role i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curriculum, those difficulties presented above will have to be solved successfull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