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그만 화물 포워딩에서 시작하여 ‘팬스타 코리아 랜드 브릿지’라는 한ㆍ중ㆍ일 동북아 3국간의 물류 루트를 개척하고 한 국에서는 유일무이(唯一無二)하게 크루즈업에 근거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20222
2020
Korean
팬스타 ; 크루즈 ; 복합운송 ; 경영전략 ; Panstar ; Cruise ; Multimodal Transportation ; Management Strategy
KCI등재
학술저널
123-136(1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그만 화물 포워딩에서 시작하여 ‘팬스타 코리아 랜드 브릿지’라는 한ㆍ중ㆍ일 동북아 3국간의 물류 루트를 개척하고 한 국에서는 유일무이(唯一無二)하게 크루즈업에 근거를...
본 연구는 조그만 화물 포워딩에서 시작하여 ‘팬스타 코리아 랜드 브릿지’라는 한ㆍ중ㆍ일 동북아 3국간의 물류 루트를 개척하고 한 국에서는 유일무이(唯一無二)하게 크루즈업에 근거를 두고 연안 크루즈를 운항하면서 창립 30주년을 맞이한 팬스타(Panstar)를 다루 고 있다. 중국과의 ‘사드 여파’ 이후 많은 어려움을 겪었던 페리ㆍ크루즈를 포함한 여객선 부문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컨테이너선 ㆍ벌크선ㆍ가스선 등 다른 선종보다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한국에서 크루즈는 팬스타 외에는 실제로 현장에서 플레이어(Player)로 참여하는 기업도 없으며 시장에 진출한 기업들의 수익 창출이 어렵고 법과 제도의 미비점과 카지노를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입 장도 상충하여 ‘활성화’ 이전에 기본적인 산업의 ‘정상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글로벌 크루즈 여행이 점차 대중화되고 있고 LNG 크루 즈 추진선 증가 속에 한국해운의 다각화와 조선ㆍ항만ㆍ관광 등 산업생태계의 외연 확장을 위해서 부가가치가 높은 여객선 사업의 정 상화는 긴요하다. 척박한 크루즈를 장기적인 안목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여 차별화된 한국형 엔터테인먼트를 발굴해야 한 다. 그리고 국민의 적은 관심을 개선하기 위한 홍보 강화와 관광 욕구를 충족시키는 세밀한 손님 모집 영업과 함께 한국을 모항으로 하 는 국제 크루즈 선사를 유치하는 등 종합적인 수요 창출 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크루즈를 포함한 여객선 부문을‘산업 공유자산 (industrial commons)' 차원에서 정부ㆍ지자체ㆍ선사ㆍ협력업체들이 연계하여 자체적인 산업 전환 능력을 키워 더 많은 팬스타가 국 내에 출현 되어야 할 것이다. 팬스타의 사례는 한국 크루즈 시장에 참가하고 있는 업체이며 동북아 복합운송 물류 체제를 현장에서 실 현하는 기업을 다룸으로써 해운 물류 산업 경쟁력 제고에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그 의미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Panstar, which started with small freight forwarding, pioneered the logistics route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and entered the cruise industr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passenger ship industry including ferries and cr...
This study deals with Panstar, which started with small freight forwarding, pioneered the logistics route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and entered the cruise industr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passenger ship industry including ferries and cruises which had suffered a lot after the aftermath of THAAD issue raised by China government has been hit harder than other ship types such as container ships, bulk ships, and gas ships due to the COVID 19. Until recently, in the Korean cruise industry, there were no companies other than Panstar that actually participated as key players in the field. The reason for this is as follows. First, it is difficult for companies that have entered the market to generate profits. Second, the laws and systems surrounding the cruise industry are still incomplete, so there are many things to supplement. Third, the positions of various stakeholders surrounding the casino are conflicting. Therefore, the Korean cruise industry needs industrial normalization before activation. In order to diversify Korean shipping amid the gradual popularization of global cruise travel and an increase in LNG cruise propulsion ships and to expand the industrial ecosystem such as shipbuilding, ports, and tourism, it is imperative to normalize the high value-added passenger ship busines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on unfertile cruises,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various stakeholders to discover differentiated Korean hardware content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comprehensive demand-creation strategy to attract international cruise carriers based in Korea, along with reinforcing publicity to improve the public interest and recruiting passengers to meet tourism needs. Through this,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shipping companies, and business partners should link the passenger ship sector including cruises from the level of industrial commons to develop their own industrial transformation capabilities; thus, more Panstar-like companies should be fostered in Korea. Panstar's case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shipping logistics industry by dealing with a company participating in the Korean cruise market and realizing the Northeast Asian multimodal transport logistics system on-sit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해양수산부 홈페이지"
2 쉬핑가제트, "한일항로/ ‘시황 급랭’ 80%대 실링도 달성 어려워"
3 유주영, "한-중-일 카페리를 이용한 Korea Mini Land Bridge 복합운송의 잠재화물 연구 -인천항을 중심으로-" 한국해운물류학회 30 (30): 401-423, 2014
4 김장순, "플랫폼 기업의 수명 주기에 따른 코세라(Coursera)의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4 (24): 29-42, 2020
5 조선일보, "팬스타엔터프라이즈, 공모BW 청약에 7100억원 몰려"
6 해사정보신문, "팬스타그룹 김현겸 회장"
7 "팬스타 홈페이지"
8 아주경제, "팬스타 그룹, ‘선박보험 1조원 시대’ 열어"
9 한국해운신문, "팬스타 국내 첫 스마트쉽 시스템 개발" 2017
10 중앙일보, "크루즈 전문가 “코로나 확진자 배에서 내렸으면 일본 확진자”"
1 "해양수산부 홈페이지"
2 쉬핑가제트, "한일항로/ ‘시황 급랭’ 80%대 실링도 달성 어려워"
3 유주영, "한-중-일 카페리를 이용한 Korea Mini Land Bridge 복합운송의 잠재화물 연구 -인천항을 중심으로-" 한국해운물류학회 30 (30): 401-423, 2014
4 김장순, "플랫폼 기업의 수명 주기에 따른 코세라(Coursera)의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4 (24): 29-42, 2020
5 조선일보, "팬스타엔터프라이즈, 공모BW 청약에 7100억원 몰려"
6 해사정보신문, "팬스타그룹 김현겸 회장"
7 "팬스타 홈페이지"
8 아주경제, "팬스타 그룹, ‘선박보험 1조원 시대’ 열어"
9 한국해운신문, "팬스타 국내 첫 스마트쉽 시스템 개발" 2017
10 중앙일보, "크루즈 전문가 “코로나 확진자 배에서 내렸으면 일본 확진자”"
11 최두원, "크루즈 선사의 서비스 공급사슬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34) : 135-158, 2016
12 윤여현, "크루즈 서비스 품질(CSQ) 비교분석 연구: 아시아 운항 선사 중심" 한국관광연구학회 31 (31): 229-247, 2017
13 유예경, "크루즈 서비스 종사원 속성이 감정적 브랜드 매력 및 고객의 헌신적 행위에 미치는 영향: 지인 구전 조절 효과" 한국호텔관광학회 18 (18): 291-306, 2016
14 박명섭, "크루즈 서비스 선택속성이 관광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28 (28): 193-214, 2012
15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크루즈 산업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 연구" 2015
16 정승훈, "크루즈 기항지의 서비스가 크루즈 관광객의 여행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06-314, 2014
17 박현지, "크루즈 관광객의 동기와 ICT 기반 유비쿼터스 서비스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1 (11): 4251-4259, 2010
18 삼정KPMG, "코로나 19에 따른 해운 산업 동향 및 전망" 2020
19 세계여행신문, "커지는 크루즈 시장"
20 한국은행, "최근 크루즈 산업의 동향과 포항의 정책적 대응방향" 2020
21 최자현, "최고경영자의 겸손함이 글로벌기업의 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회계부정 유인을 중심으로"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3 (23): 63-96, 2019
22 짐 콜린스,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김영사 2002
23 신동아, "이익보다 의리! 직원에게 기억되는 경영자 될 것"
24 브라이언 트레이시, "위대한 기업의 7가지 경영습관" 2012
25 해양국토, "우리나라의 크루즈 관광 정책의 주요 이슈와 개선방안"
26 박정인, "우리나라 항만 크루즈 기항지 경쟁력 제고 전략 연구 :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4 (34): 317-340, 2019
27 이태희, "우리나라 크루즈 서비스산업의 권역별 비교 연구: 환황해, 환남해, 환동해권 중심으로" 한국서비스경영학회 17 (17): 25-44, 2016
28 한국해운신문, "올해의 인물 / (주)팬스타라인닷컴 김현겸 사장"
29 중앙일보, "스타크루즈호 한-중 취항"
30 호텔&레스토랑, "세계 크루즈 산업과 한국의 크루즈 산업 특성" 2015
31 강효원, "서비스수지 개선을 위한 크루즈산업의 역할" 한국국제상학회 31 (31): 197-217, 2016
32 이기병, "사모펀드의 해운업 투자사례 연구: 에이치라인 해운을 중심으로"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4 (24): 91-103, 2020
33 "부산항만공사 홈페이지"
34 부산일보, "부산모항 크루즈 경과와 전망은"
35 동아일보, "부산 크루즈사 팬스타그룹 코스닥 상장사 ‘헤스본’ 인수"
36 이진로, "매체환경 및 정부정책 변화에 따른 지역방송의 전망 및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지역방송 전문가 심층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47-67, 2010
37 브렌 브라운, "리더의 용기" 갤리온 2019
38 박혜미, "럭셔리 크루즈 산업에서 체험경제이론에 따른 고객 세분화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5 (25): 71-84, 2016
39 한국해운신문, "또다시 새 사업에 도전하는 물류그룹 회장님"
40 여순심, "동북아 크루즈여행의 서비스품질이 선사 브랜드 이미지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8 (18): 165-183, 2019
41 부산일보, "꽉 막힌 한ㆍ중ㆍ일 하늘길, 페리ㆍ트럭 복합운송으로 뚫었다"
42 전자신문, "김현겸 팬스타그룹 회장, “한중일 랜드 브릿지로 무역분쟁 파고 넘는다"
43 최진혁, "기업 위기관리(Crisis Management) 전략에 관한 연구 -해외 Pandemic Planning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업경영학회 17 (17): 149-169, 2010
44 해사정보신문, "국내 최초의 크루즈선 팬스타허니호 운항 잠정중단"
45 동아일보, "국내 첫 국제 크루즈, 1년만에 운항 중단"
46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47 주식회사 팬스타, "감사보고서" 회계법인 원지 2020
48 주식회사 팬스타엔터프라이즈, "감사보고서" 회계법인 원지 2020
49 연합뉴스, "韓 구매력 기준 1인당 GDP 일본 추월한 의미는"
50 부산일보, "’코로나 19를 기회로‘..中ㆍ日 틈새 부산, ’징검다리 물류‘ 허브 부상하나"
51 Li, X. R., "Towards an Integrative Model of Loyalty Formation : The Role of Quality and Value" 32 (32): 201-221, 2010
52 Creswell, J. W.,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Sage 2003
53 Dwyer, L., "Economic significance of cruise tourism" 25 (25): 393-415, 1998
54 Padgett, D. K., "Does the Glove Really Fit? Qualitative Research and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43 (43): 373-381, 1998
55 Wild, P., "Development of and prospects for cruising in Europe" 27 (27): 315-333, 2000
56 Andriotis, K., "Cruise visitors' experience in a Mediterranean port of call" 12 (12): 390-404, 2010
57 노태우, "CJ CGV의 중국시장 초기 진입 실패에 따른 신속한 전략수정과 회생"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3 (23): 41-62, 2019
58 해양수산부 관계기관 공동, "2019년 크루즈 산업 육성 시행계획" 2019
59 해사정보신문, "2017년 세계 크루즈 관광객수 전년 대비 6%증가"
60 부산일보, "'부산 최대 카페리' 팬스타, 새 국적 크루즈 주인 될까"
What Motivates Expatriate Academics to Work in Uzbekistan?
잠재기업의 현지시장 진출에서의 시장실패 유형 분석 : 기존기업이 다국적 기업인 경우를 포함하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7 | 1.37 | 1.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39 | 1.62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