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articipation Divide in a Participatory Culture: Focus on the Deep Participation Divide for North Korean Young Adult and North Korean Teenager Defe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705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ange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has expanded the conceptof media literacy. Media literacy is re-conceptualized as an essentiallife skill and a cultural competence for participation in society, anddiscussions on media use divide currently is b...

      Change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has expanded the conceptof media literacy. Media literacy is re-conceptualized as an essentiallife skill and a cultural competence for participation in society, anddiscussions on media use divide currently is being extended to coverthe concept of “participation divide.” People with a low level of medialiteracy and participation competence are more exposed to inequalitiesin their private and public lives. North Korean defectors are amongthose who belong to these underprivileged groups with greater risks ofinformational disadvantages. An intense study on this issue shows thatthey are experiencing various kinds of exclusion. The aim of study isto diagnose the participation divide of North Korean young, adult, andteenager defectors and propose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this end, a measuring tool from Jenkins’ participatory cultureand new media literacy is used in this study; three groups.NorthKorean young adult defectors, and North Korean teenager defectorsand South Korean young adults.are compared based on their digitalmedia literac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hree groups have homogeneouspattern in the time of their media use, but meaningful differencesin means across all other competencies, except “co-evolutionarycollaboration.” Even North Korean young adult defectors and NorthKorean teenager defectors have substantial inter-group differences.
      Age, education level, and/or cultural factors can play a role here, butthe participation divide seems to play the most substantial role. Based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media culture literacy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은식,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자본 : 새터민들의 SNS사용과 결속적 사회자본 및 교량적 사회자본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7 (17): 175-210, 2013

      2 임성빈, "세대 차이와 통일인식에 대한 신학적 반성"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6 (46): 247-270, 2014

      3 곽정래, "새터민의 매스미디어 이용과 사회적응: 신뢰, 네트워크, 그리고 사회정치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415-439, 2006

      4 이동후, "사이버 대중으로서의 청년 세대에 대한 고찰 : 사회적 소통과 관여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3 (23): 409-448, 2009

      5 이준, "북한이탈 청소년의 정보격차 해소와 기독교교육의 과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3 (23): 357-381, 2009

      6 유은희, "북한의 상황을 고려한 신학교육 커리큘럼과 교수-학습방법에 대한고찰-탈북민 신학생들의 한국 신학교에서의 학습경험을 바탕으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2) : 1-36, 2012

      7 금희조, "미디어와 사회 자본 - 새터민의 사회적응을 위한 제언" 한국언론학회 4 (4): 128-149, 2008

      8 김효숙, "디지털 문화 역량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개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6) : 395-421, 2013

      9 오현선, "다문화사회와 개신교의 기독교교육" 한국종교교육학회 36 : 21-38, 2011

      10 김은정, "간문화적 기독교 종교교육방법론"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7) : 153-170, 2010

      1 전은식,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자본 : 새터민들의 SNS사용과 결속적 사회자본 및 교량적 사회자본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7 (17): 175-210, 2013

      2 임성빈, "세대 차이와 통일인식에 대한 신학적 반성"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6 (46): 247-270, 2014

      3 곽정래, "새터민의 매스미디어 이용과 사회적응: 신뢰, 네트워크, 그리고 사회정치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415-439, 2006

      4 이동후, "사이버 대중으로서의 청년 세대에 대한 고찰 : 사회적 소통과 관여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3 (23): 409-448, 2009

      5 이준, "북한이탈 청소년의 정보격차 해소와 기독교교육의 과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3 (23): 357-381, 2009

      6 유은희, "북한의 상황을 고려한 신학교육 커리큘럼과 교수-학습방법에 대한고찰-탈북민 신학생들의 한국 신학교에서의 학습경험을 바탕으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2) : 1-36, 2012

      7 금희조, "미디어와 사회 자본 - 새터민의 사회적응을 위한 제언" 한국언론학회 4 (4): 128-149, 2008

      8 김효숙, "디지털 문화 역량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개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6) : 395-421, 2013

      9 오현선, "다문화사회와 개신교의 기독교교육" 한국종교교육학회 36 : 21-38, 2011

      10 김은정, "간문화적 기독교 종교교육방법론"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7) : 153-170, 2010

      11 김은미, "‘디지털 네이티브’의 시민성" 한국언론학회 57 (57): 305-334, 2013

      12 Bennet, W., "Young Citizens and Civic Learning: Two Paradigms of Citizenship in the Digital Age" 1 (1): 105-120, 2009

      13 Hobbs, R., "The State of Media Literacy: A Response to Potter" 55 (55): 419-430, 2011

      14 Hargittai, E., "The Participation Divide: Content Creation and Sharing in the Digital Age" 11 (11): 239-256, 2008

      15 Jin, Mi-Jung, "Talbukinui sahoegwangyemanggwa sahoejeok jabon" Hakjisa 2009

      16 Jenkins, H., "Spreadable Media: Creating Value and Meaning in a Networked Cultur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3

      17 Yang, Kum-Hee, "So One, Reunification Missionary Training"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Institute of Shalom Theology for South and North Korea 2014

      18 Allport, G. W, "Pyeongyeonui simri" Sungwonsa 1993

      19 Mannheim, Karl, "Essays on the Sociology of Knowledge" Oxford University Press 276-320, 1952

      20 John Bondy, "Digital Natives, Christian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A Rapprochement"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15) : 97-115, 2009

      21 Ahn, Jung-Im, "Development of Assessment Instrument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Evaluation of Its Effectiveness"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3

      22 Jenkins, H., "Confronting the Challenges of Participatory Culture: Media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MIT Press 2009

      23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3 Survey on the Information Divide Index and Status"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4

      24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2 Survey on the Information Divide Index and Status"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10-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 Korea Presbyterian Journal of Theology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11-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통합신학연구원 ->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영문명 : 미등록 -> Center for Studies of Christian Thoughts and Culture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58 0.85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