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東周~西漢代 關中地域 鐵器文化의 展開過程과 意味 = The Iron Culture of Guanzhong Plain Area in China from the Dongzhou Period to Ha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16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iron tools dated to the periods of the Dongzhou, Qin, and Xihan Dynasties in the Guanzhong Plain of China. It is suggested that sites in these periods be divided into seven sub-periods. By arranging the iron tools within this chronological framework, it shows that iron tools changed in their kinds and types as time passed by.
      Until Period IV, which is the late phase of the 4th century BC, most iron tools were combined with bronze or gold and used unpractically. In Period V, which is the early and the mid 3rd century BC, the iron culture of the guanzhong plains rapidly developed based on the resources and techniques secured by conquering neighboring countries by Qin. it was started that cast iron tools were made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nd iron weapons such as long swords, spears were emerged. The Parching iron technique was invented in this time.
      In Period VI, which is the late 3rd to the mid 2nd century BC, the iron culture of the Guanzhong plains was brought into Central Plains Area and it begins to form a Han Dynasty iron culture by converging with the existing iron culture.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iron tools dated to the periods of the Dongzhou, Qin, and Xihan Dynasties in the Guanzhong Plain of China. It is suggested that sites in these periods be divided into seven sub-periods. By arranging the iron tools within this chron...

      This study examines iron tools dated to the periods of the Dongzhou, Qin, and Xihan Dynasties in the Guanzhong Plain of China. It is suggested that sites in these periods be divided into seven sub-periods. By arranging the iron tools within this chronological framework, it shows that iron tools changed in their kinds and types as time passed by.
      Until Period IV, which is the late phase of the 4th century BC, most iron tools were combined with bronze or gold and used unpractically. In Period V, which is the early and the mid 3rd century BC, the iron culture of the guanzhong plains rapidly developed based on the resources and techniques secured by conquering neighboring countries by Qin. it was started that cast iron tools were made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nd iron weapons such as long swords, spears were emerged. The Parching iron technique was invented in this time.
      In Period VI, which is the late 3rd to the mid 2nd century BC, the iron culture of the Guanzhong plains was brought into Central Plains Area and it begins to form a Han Dynasty iron culture by converging with the existing iron cul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關中지역 출토 철기의 기종과 형식을 추출하여, 철기문화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철기가 출토된 중국 관중지역 東周~西漢代 유적의 부장유물 조합관계와 화폐, 동경 등을 검토하고, 병행관계를 설정하여 7개 분기로 구분하였다. 또 각 분기에서 확인되는 철기 기종과 형식을 중원지역과 비교검토하여, 관중지역 철기문화의 특징과 한나라 철기문화 형성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관중지역에서 가장 이른 시기 철기는 隴縣 邊家莊 春秋墓 출토 銅柄鐵劍으로 春秋 前期에 해당한다. 이미 중원지역에서 철제 농공구가 등장하는 戰國 中期 後半(기원전 4세기 후반)까지도 관중지역 철기문화는 儀器 혹은 위신재적 성격이 강한 銅(金)鐵複合器와 鐵帶鉤를 비롯한 장식류 非利器가 주를 이룬다.
      戰國 後期(기원전 3세기 초~중후엽)에는 관중지역에 본격적으로 주철제 농공구류와 철제 장병기들이 등장하며, 철기의 기종과 수량이 급증한다. 鑄鐵脫炭기술과 炒鋼 등 기술적인 발전도 급속히 이루어진다. 이 시기 관중지역 철기문화의 급격한 발전은 巴蜀, 河東, 南陽(宛) 등을 병합하는 진나라의 대외팽창 과정에서 부족했던 철자원과 제작기술을 확보한 것에 기인할 것으로 생각된다.
      戰國 末~西漢 初에는 기존 단조철기 중심 철기문화를 기반으로 中原과 楚지역 철기기술을 흡수, 발전시킨 관중지역의 철기문화는 秦의 중국 통일을 계기로 중원지역 철기문화와 융합하며 漢代 철기문화를 형성한다. 秦 통일과 漢나라 성립의 영향을 받아 蒜頭壺, 繭形壺 등 秦文化 요소와 함께 一자형 鍤(A식)과 銎部 방형 鑿(B식), 평면 제형에 銎部가 방형인 斧(Bb식)가 중원지역뿐 아니라 중국 東北지역까지 확산된다. 반면 관중지역에도 중원지역 철기 기종과 형식이 유입되면서 중국 전역에 철기 편차가 감소하며 전체적으로 철기 기종과 형식이 다양화된다.
      번역하기

      본고는 關中지역 출토 철기의 기종과 형식을 추출하여, 철기문화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철기가 출토된 중국 관중지역 東周~西漢代 유적의 부장유물 조합관계와 화폐, 동경 등을...

      본고는 關中지역 출토 철기의 기종과 형식을 추출하여, 철기문화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철기가 출토된 중국 관중지역 東周~西漢代 유적의 부장유물 조합관계와 화폐, 동경 등을 검토하고, 병행관계를 설정하여 7개 분기로 구분하였다. 또 각 분기에서 확인되는 철기 기종과 형식을 중원지역과 비교검토하여, 관중지역 철기문화의 특징과 한나라 철기문화 형성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관중지역에서 가장 이른 시기 철기는 隴縣 邊家莊 春秋墓 출토 銅柄鐵劍으로 春秋 前期에 해당한다. 이미 중원지역에서 철제 농공구가 등장하는 戰國 中期 後半(기원전 4세기 후반)까지도 관중지역 철기문화는 儀器 혹은 위신재적 성격이 강한 銅(金)鐵複合器와 鐵帶鉤를 비롯한 장식류 非利器가 주를 이룬다.
      戰國 後期(기원전 3세기 초~중후엽)에는 관중지역에 본격적으로 주철제 농공구류와 철제 장병기들이 등장하며, 철기의 기종과 수량이 급증한다. 鑄鐵脫炭기술과 炒鋼 등 기술적인 발전도 급속히 이루어진다. 이 시기 관중지역 철기문화의 급격한 발전은 巴蜀, 河東, 南陽(宛) 등을 병합하는 진나라의 대외팽창 과정에서 부족했던 철자원과 제작기술을 확보한 것에 기인할 것으로 생각된다.
      戰國 末~西漢 初에는 기존 단조철기 중심 철기문화를 기반으로 中原과 楚지역 철기기술을 흡수, 발전시킨 관중지역의 철기문화는 秦의 중국 통일을 계기로 중원지역 철기문화와 융합하며 漢代 철기문화를 형성한다. 秦 통일과 漢나라 성립의 영향을 받아 蒜頭壺, 繭形壺 등 秦文化 요소와 함께 一자형 鍤(A식)과 銎部 방형 鑿(B식), 평면 제형에 銎部가 방형인 斧(Bb식)가 중원지역뿐 아니라 중국 東北지역까지 확산된다. 반면 관중지역에도 중원지역 철기 기종과 형식이 유입되면서 중국 전역에 철기 편차가 감소하며 전체적으로 철기 기종과 형식이 다양화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陳建立, "梁帶村遺址M27出土銅鐵複合器的製作技術" (9) : 2009

      2 劉建安, "洛陽地區秦墓探析" (1) : 2010

      3 김주호, "중국 중원지역 주조철기의 등장과 발전" 한국고고학회 (102) : 4-47, 2017

      4 김주호, "동주~서한대 중원지역 철기문화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6

      5 趙化成, "동아시아의 철기문화 –도입기의 제양상-" 문화재관리국 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6 雝城考古工作隊, "鳳翔縣高莊戰國秦墓發掘簡報" (9) : 1980

      7 陝西省雝城考古隊, "風翔馬家莊一號建築群遺址發掘簡報" (2) :

      8 陝西省考古硏究所, "隴縣店子秦墓" 三秦出版社 1998

      9 陝西省考古硏究院, "陝西藍田支家溝漢墓發掘簡報" (5) : 2013

      10 陝西省考古硏究院, "陝西鳳翔六道村戰國秦墓發掘簡報" (2) : 2013

      1 陳建立, "梁帶村遺址M27出土銅鐵複合器的製作技術" (9) : 2009

      2 劉建安, "洛陽地區秦墓探析" (1) : 2010

      3 김주호, "중국 중원지역 주조철기의 등장과 발전" 한국고고학회 (102) : 4-47, 2017

      4 김주호, "동주~서한대 중원지역 철기문화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6

      5 趙化成, "동아시아의 철기문화 –도입기의 제양상-" 문화재관리국 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6 雝城考古工作隊, "鳳翔縣高莊戰國秦墓發掘簡報" (9) : 1980

      7 陝西省雝城考古隊, "風翔馬家莊一號建築群遺址發掘簡報" (2) :

      8 陝西省考古硏究所, "隴縣店子秦墓" 三秦出版社 1998

      9 陝西省考古硏究院, "陝西藍田支家溝漢墓發掘簡報" (5) : 2013

      10 陝西省考古硏究院, "陝西鳳翔六道村戰國秦墓發掘簡報" (2) : 2013

      11 吳鎭烽, "陝西鳳翔高莊秦墓地發掘簡報" (3) : 1980

      12 陝西省考古硏究院, "陝西鳳翔路家村墓葬發掘簡報" (4) : 2013

      13 陝西省考古硏究院, "陝西鳳翔甕山血池秦漢祭祀遺址考古調査與發掘簡報" (6) : 2020

      14 陝西省雝城考古工作隊, "陝西鳳翔八旗屯秦國墓葬發掘報告" (3) : 1980

      15 陝西省考古硏究所, "陝西韓城梁帶村遺址M27發掘簡報" (6) : 2007

      16 陝西省考古硏究院, "陝西韓城陶渠秦墓發掘簡報" (2) : 2022

      17 陝西省考古硏究所寶鷄工作站, "陝西隴縣邊家莊五號春秋墓發掘簡報" (11) : 1988

      18 寶鷄市考古工作隊, "陝西隴縣原子頭漢墓發掘簡報" (2) : 2002

      19 陝西省考古硏究院, "陝西長安神禾原戰國秦陵園大墓發掘簡報" (5) : 2021

      20 陝西省考古硏究所, "陝西西安西咸新區西石羊漢墓發掘簡報" (6) : 2020

      21 西安市文物保護考古硏究院, "陝西西安南郊上塔坡村西漢墓發掘簡報" (2) : 2021

      22 西安市文物保護考古硏究院, "陝西西咸新區空港新城岩村墓地發掘簡報" (2) : 2022

      23 陝西省考古硏究所, "陝西西咸新區坡劉村秦墓發掘簡報" (4) : 2020

      24 咸陽地區文管會, "陝西茂陵一號無名塚一號叢葬坑的發掘" (9) : 1982

      25 陝西省博物館, "陝西省發現的漢代鐵鏵和鐴土" (1) : 1966

      26 寶鷄市博物館, "陝西省千陽縣漢墓發掘簡報" (3) : 1975

      27 陝西省考古硏究院, "陝西渭南陽郭廟灣戰國秦墓發掘簡報" (5) : 2011

      28 周原博物館, "陝西扶風官務漢墓淸理發掘簡報" (5) : 2001

      29 陝西省考古硏究院, "陝西寶鷄苟家嶺西漢墓葬發掘簡報" (1) : 2012

      30 陝西省考古硏究院, "陝西咸陽闫家寨戰國秦遺址, 墓葬發掘簡報" (4) : 2018

      31 咸陽市文物考古硏究所, "陝西二0二所西漢墓葬發掘簡報" (1) : 2006

      32 陝西省考古硏究院, "陕西鳳翔孫家南頭春秋秦墓發掘簡報" (4) : 2013

      33 滕銘予, "關中秦墓硏究" (3) : 1992

      34 陳洪, "關中秦墓出土陶器編年硏究" (6) : 2014

      35 何家歡, "關中戰國西漢中小型墓葬形制演變探析" (6) : 2021

      36 邸楠, "關中地區秦墓出土鐵器初步硏究" (11) : 2012

      37 西安市文物保護考古所, "長安漢墓" 陝西人民出版社 2004

      38 張天恩, "邊家莊春秋墓地與汧邑地望" (5) : 1990

      39 黃展岳, "近年出土的戰國兩漢鐵器" (3) : 1957

      40 賀勇, "試論燕國墓葬陶器分期" (7) : 1989

      41 裵建隴, "試論出土秦式短劍" (3) : 2017

      42 劉振東, "西漢長樂宮遺址的發現與初步硏究" (10) : 2006

      43 西安市文物保護考古所, "西安龍首原漢墓" 西北大學出版社 1999

      44 陝西省考古硏究院, "西安龍家莊秦墓" 陝西科學技術出版社 2008

      45 文物工作報導, "西安繆家寨村淸理了漢墓一座" (2) : 1956

      46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漢長安城工作隊, "西安市漢長安城長樂宮六號建築遺址" (6) : 2011

      47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漢長安城工作隊, "西安市漢長安城長樂宮四號建築遺址" (10) : 2006

      48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漢長安城工作隊, "西安市漢長安城城墻西南角遺址的鑽探與試掘" (10) : 2006

      49 西安市文物保護考古硏究院, "西安南郊郭杜鎭西漢墓發掘簡報" (9) : 2009

      50 西安市文物保護考古所, "西安南郊荊寺二村西漢墓發掘簡報" (4) : 2009

      51 西安市文物保護考古所, "西安南郊秦墓" 陝西人民出版社 2004

      52 陝西省考古硏究所, "西安北郊秦墓" 三秦出版社 2006

      53 陝西省考古硏究院, "西安北郊棗園南嶺西漢墓發掘簡報" (6) : 2017

      54 陝西省考古硏究所, "西北農林科大戰國秦墓發掘簡報" (5) : 2006

      55 秦俑考古隊, "臨潼上焦村秦墓清理簡報" (2) : 1980

      56 陝西省考古硏究所, "秦陵徭役刑徒墓" 陝西旅遊出版社 1992

      57 陝西省考古硏究所, "秦都咸陽考古報告" 文物出版社 713-714, 2003

      58 陝西省考古硏究所, "秦都咸陽考古報告" 文物出版社 2003

      59 秦都咸陽考古工作站, "秦都咸陽第一號宮殿建築遺址簡報" (11) : 1976

      60 陝西省博物館, "秦都咸陽故城遺址發現的窯址和銅器" (1) : 1974

      61 朱倩倩, "秦漢時期關中地區土地利用方式與生態環境" (15) : 2016

      62 王學理, "秦文化" 文物出版社 2005

      63 秦始皇陵兵馬俑博物館, "秦始皇陵銅車馬發掘報告" 文物出版社 1998

      64 始皇陵秦俑坑考古發掘隊, "秦始皇陵西側趙背戶村秦刑徒墓" (3) : 1982

      65 始皇陵秦俑坑考古發掘隊, "秦始皇陵東側第二號兵馬俑坑鑽探試掘簡報" (5) : 1978

      66 秦俑坑考古隊, "秦始皇陵東側第三號兵馬俑坑淸理簡報" (12) : 1979

      67 臨潼縣博物館, "秦始皇陵北二, 三, 四號建築遺跡" (12) : 1979

      68 陝西省考古硏究所, "秦始皇陵兵馬俑坑 一號坑發掘報告 1974-1984" 文物出版社 1988

      69 秦俑考古隊, "秦始皇陵二號銅車馬淸理簡報" (7) : 1983

      70 陝西省考古硏究所, "秦始皇帝陵園考古報告(2001~2003)" 文物出版社 2007

      71 陝西省考古硏究所, "秦始皇帝陵園考古報告(2000)" 文物出版社 2006

      72 陝西省考古硏究所, "秦始皇帝陵園考古報告(1999)" 科學出版社 2000

      73 秦始皇帝陵博物院兵馬俑坑考古隊, "秦始皇帝陵一號兵馬俑陪葬坑2009~2011年發掘簡報" (9) : 2015

      74 寶鷄市考古硏究所, "秦墓遺珍 –寶鷄益門二號春秋墓-" 科學出版社 2016

      75 葉小燕, "秦墓初探" (1) : 1982

      76 張天恩, "秦器三論" (10) : 1993

      77 秦始皇兵馬俑博物館, "秦兵馬俑一號坑後五方遺物淸理簡報" (1) : 2012

      78 丁岩, "神禾原戰國秦陵園主人試探" (4) : 2009

      79 韓偉, "略論陝西春秋戰國秦墓" (1) : 1981

      80 조진선, "燕下都의 造營과 都城 機能의 變遷" 한국고고학회 (96) : 66-103, 2015

      81 秦中行, "漢陽陵附近鉗徒墓的發現" (7) : 1972

      82 陝西省考古硏究院, "漢陽陵帝陵陵園南門遺址發掘簡報" (5) : 2011

      83 陝西省考古硏究院, "漢陽陵帝陵東側11~21號外藏坑發掘簡報" (3) : 2008

      84 焦南峰, "漢陽陵叢葬坑初探" (7) : 2006

      85 漢陽陵博物館, "漢陽陵" 文物出版社 2016

      86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漢長安城工作隊, "漢長安城長樂宮發現凌室遺址" (9) : 2005

      87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漢長安城工作隊, "漢長安城長樂宮二號建築遺址發掘報告" (1) : 2004

      88 西安市文物保護考古硏究所, "漢長安城泬水古橋遺址發掘報告" (3) : 2012

      89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漢城工作隊, "漢長安城武庫遺址發掘的初步收穫" (4) : 1978

      90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漢長安城武庫" 文物出版社 2005

      91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漢長安城桂宮 1996-2001年考古發掘報告" 文物出版社 2007

      92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漢長安城未央宮-1980~1989年考古發掘報告"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96

      93 陝西省考古硏究所漢陵考古隊, "漢景帝陽陵南區叢葬坑發掘第二號簡報" (5) : 1994

      94 陝西省考古硏究所漢陵考古隊, "漢景帝陽陵南區叢葬坑發掘第一號簡報" (4) : 1992

      95 李南珪, "東アジア初期鐵器文化の硏究 - 中國を中心として" 廣島大學 1992

      96 潮見浩, "東アジアの初期鐵器文化" 吉川弘文館 1982

      97 陝西省文管會, "朝邑戰國墓葬發掘簡報" (2) : 1978

      98 村上恭通, "新弥生時代のはじまり 第3卷 東アジア靑銅器の系譜" 雄山閣 2008

      99 石川岳彦, "戰國期における燕の墓葬について" (16) : 2001

      100 李成珪, "戰國時代 官營産業의 構造와 性格" 연세대학교국학연구원 (30) : 1982

      101 陝西省考古硏究院, "寶鷄郭家崖秦國墓地(北區)發掘簡報" (6) : 2018

      102 寶鷄市考古隊, "寶鷄市譚家村四號漢墓" (12) : 1987

      103 寶鷄市考古工作隊, "寶鷄市益門村二號春秋墓發掘簡報" (10) : 1993

      104 寶鷄市考古工作隊, "寶鷄市益門村M2出土春秋鐵劍殘壞分析鑑定報告" (9) : 1994

      105 陝西省考古硏究所, "寶鷄健河墓地" 陝西科學技術出版社 2006

      106 陝西省考古硏究院, "寨頭河 -陝西黃陵戰國戎人墓地考古發掘報告" 上海古籍出版社 2018

      107 咸陽市文物考古硏究所, "塔兒坡秦墓" 三秦出版社 1998

      108 王學理, "咸陽帝都記" 三秦出版社 1999

      109 咸陽市文管會, "咸陽市空心磚漢墓淸理簡報" (3) : 1982

      110 陝西省考古硏究院, "咸陽市渭城區聶家溝西漢墓發掘簡報" (6) : 2017

      111 咸陽市文物考古硏究所, "咸陽塔兒坡戰國秦甕棺葬墓發掘簡報" (3) : 1998

      112 李文信, "古代的農工具" (9) : 1954

      113 白雲翔, "先秦兩漢鐵器的考古學硏究" 科學出版社 2005

      114 咸陽市文物考古硏究所, "任家咀秦墓" 科學出版社 2005

      115 宮本一夫, "中國鐵器生産開始の諸問題" 日本中國考古學會 (15) : 2015

      116 김주호, "中國東北地域 鐵器의 流入과 發展" 호남고고학회 57 : 128-162, 2017

      117 王巍, "中國古代鐵器及冶鐵術對朝鮮半島的傳播" (3) : 1997

      118 李南珪, "中國 鐵使用開始期의 諸問題 –殷~西周時代 鐵의 問題-" 역사학회 (125) : 1990

      119 葉小燕, "中原地區戰國墓初探" (2) : 1985

      120 Liu, Yaxiong, "Iron production in the State of Qin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University College London 2021

      121 Liu, "Iron decarburisation techniques in the eastern Guanzhong Plain, China, during Late Warring States period - an investigation based on slag inclusion analyses" 11 : 2019

      122 村上恭通, "2013 동아시아고대 철기문화연구 국제학술포럼-중국 전국시대 철기문화와 동아시아"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