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周邊에서 본 文化大革命-廣西 派閥鬪爭을 중심으로- =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from the Periphery: Focusing on the Factional Struggle in Guangxi(廣西)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168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광서문혁에 관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대학살[大屠殺, Genocide]・식인[Cannibalism] 등의 문제에 초점을 맞췄다. 그 결과 학살과 식인의 주체・대상・피해자 수와 양상은 물론 그 원인과 집행의 과정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본연구는 학살・식인의 현상문제를 촉발시킨 파벌투쟁의 심각성을 포함한 광서문혁의 구조적 특징을 중앙의 전략적 배치 혹은 전국적 통일성 그리고 지방의 대응이라는 구조 속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 경우 중앙에서 지속적으로 이뤄진 대중조직 대표에 대한 ‘접견정치’ 분석을 통해 지방의 파벌투쟁 실상과 중앙의 개입과정을 검토하였고 광서문혁 참가자의 대표적 문건 분석을 통해 지방 문혁의 논리를 재구성했다. 아울러 ‘변경의 지정학’을 통해 (베트남)‘전쟁’과 (문화대)‘혁명’의 긴장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주변의 시각에서 문혁상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결국 ‘4・22’가 주요 공격목표가 된 광서문혁의 비극은 어쩌면 예고된 수순에 따른 것이었다. 북경에서 이루어진 접견정치에 따른 협의 종용 및 갈등의 미봉은 전쟁과 혁명의 갈등 속에서 불가피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여러 문건을 통해 본 광서의 지방문혁 담당자들은 급진조반파와 보수파의 입장에서 각각 문혁과 문혁파 심지어 당 중앙을 비판하였다. 하지만 이들의 주장은 모두 문혁시기 광서가 처한 지정학의 한계 속에서 수용될 수 없는 이단적 사고에 불과했으며 탄압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다. 아울러 폭압적 탄압을 받은 광서문혁은 단지 한 변경의 비극으로 끝나지 않고 전국적 차원의 문혁 탄압으로 이어졌다는 측면에서 지방과 중앙 그리고 전국의 문혁은 서로 긴밀히 연결되었다.
      번역하기

      광서문혁에 관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대학살[大屠殺, Genocide]・식인[Cannibalism] 등의 문제에 초점을 맞췄다. 그 결과 학살과 식인의 주체・대상・피해자 수와 양상은 물론 그 원인과 집행의 과...

      광서문혁에 관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대학살[大屠殺, Genocide]・식인[Cannibalism] 등의 문제에 초점을 맞췄다. 그 결과 학살과 식인의 주체・대상・피해자 수와 양상은 물론 그 원인과 집행의 과정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본연구는 학살・식인의 현상문제를 촉발시킨 파벌투쟁의 심각성을 포함한 광서문혁의 구조적 특징을 중앙의 전략적 배치 혹은 전국적 통일성 그리고 지방의 대응이라는 구조 속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 경우 중앙에서 지속적으로 이뤄진 대중조직 대표에 대한 ‘접견정치’ 분석을 통해 지방의 파벌투쟁 실상과 중앙의 개입과정을 검토하였고 광서문혁 참가자의 대표적 문건 분석을 통해 지방 문혁의 논리를 재구성했다. 아울러 ‘변경의 지정학’을 통해 (베트남)‘전쟁’과 (문화대)‘혁명’의 긴장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주변의 시각에서 문혁상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결국 ‘4・22’가 주요 공격목표가 된 광서문혁의 비극은 어쩌면 예고된 수순에 따른 것이었다. 북경에서 이루어진 접견정치에 따른 협의 종용 및 갈등의 미봉은 전쟁과 혁명의 갈등 속에서 불가피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여러 문건을 통해 본 광서의 지방문혁 담당자들은 급진조반파와 보수파의 입장에서 각각 문혁과 문혁파 심지어 당 중앙을 비판하였다. 하지만 이들의 주장은 모두 문혁시기 광서가 처한 지정학의 한계 속에서 수용될 수 없는 이단적 사고에 불과했으며 탄압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다. 아울러 폭압적 탄압을 받은 광서문혁은 단지 한 변경의 비극으로 끝나지 않고 전국적 차원의 문혁 탄압으로 이어졌다는 측면에서 지방과 중앙 그리고 전국의 문혁은 서로 긴밀히 연결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閻長貴, "林彪不讓祝他“永遠健康”內情" 10 : 2004

      2 유용태, "전원시와 광시곡: 농민학에서 본 중국의 역사와 현실사회 비판" 이산 2000

      3 박호성, "사회민주주의의 역사와 전망" 책세상 2005

      4 이한우, "베트남전쟁시 중국의 북베트남 지원과 양국관계, 1950-1975"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05

      5 손승회, "문화대혁명과 경제주의(자) -사회주의체제하의 비정규직 노동운동을 중심으로-" 대구사학회 139 : 73-112, 2020

      6 구소영, "문화대혁명 시기 광서(廣西) 대학살의 실태- 전주현(全州縣)을 사례로 -" 인문과학연구소 (82) : 247-278, 2018

      7 시노하라 도시아키, "맑스사전" b 2011

      8 정병기, "리쌀의 국가관과 독일사민당에 대한 라쌀주의의 영향과 의미" 한국정치학회 36 (36): 285-302, 2002

      9 아이힐러, "독일사회민주주의100년" 중앙교육문화 1989

      10 김재선, "독일 사민당(1860년-1910년)의 정치이념적 성격에 대한 고찰" 중부대학 5 (5): 2001

      1 閻長貴, "林彪不讓祝他“永遠健康”內情" 10 : 2004

      2 유용태, "전원시와 광시곡: 농민학에서 본 중국의 역사와 현실사회 비판" 이산 2000

      3 박호성, "사회민주주의의 역사와 전망" 책세상 2005

      4 이한우, "베트남전쟁시 중국의 북베트남 지원과 양국관계, 1950-1975"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05

      5 손승회, "문화대혁명과 경제주의(자) -사회주의체제하의 비정규직 노동운동을 중심으로-" 대구사학회 139 : 73-112, 2020

      6 구소영, "문화대혁명 시기 광서(廣西) 대학살의 실태- 전주현(全州縣)을 사례로 -" 인문과학연구소 (82) : 247-278, 2018

      7 시노하라 도시아키, "맑스사전" b 2011

      8 정병기, "리쌀의 국가관과 독일사민당에 대한 라쌀주의의 영향과 의미" 한국정치학회 36 (36): 285-302, 2002

      9 아이힐러, "독일사회민주주의100년" 중앙교육문화 1989

      10 김재선, "독일 사민당(1860년-1910년)의 정치이념적 성격에 대한 고찰" 중부대학 5 (5): 2001

      11 진후이, "고뇌하는 중국: 현대 중국 지식인의 담론과 중국 현실" 도서출판 길 2006

      12 陳憲中, "追究與命運-造反派自述" 美國華憶出版社 2021

      13 鄭義, "紅色紀念碑" 華視文化公司出版 1993

      14 蘇智良, "民國三敎九流歸宿" 上海書店出版社 1993

      15 朱建榮, "毛澤東のベトナム戰争―中国外交の大轉換と文化大革命の起源" 東京大學出版會 2001

      16 "文革與當代史硏究網"

      17 "文革機密檔案-廣西報告" 明鏡出版社 204-, 2014

      18 蕭喜東, "文革所處的世界和歷史時刻-文革群衆運動發展與結束的原因另探-" (2) : 1997

      19 蕭喜東, "文革所處的世界和歷史時刻-文革群衆運動發展與結束的原因另探" 2 : 1997

      20 宋永毅, "文革史料學和廣西的大屠殺" Shizuoka University, Center of Research on Asia Faculty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s 5 : 2017

      21 孫承會, "文化大革命과 極左派" 한울아카데미 2019

      22 손승회, "文化大革命과 戚本禹(1931~2016)" 동아시아문화연구소 (67) : 83-120, 2016

      23 宋永毅, "文化大革命和它的異端思潮" 田園書屋 1997

      24 宋永毅, "文化大革命: ‘造反有理’の現代的地平" 白水社 2017

      25 구소영, "文化大革命 시기 廣西 武宣縣의 파벌투쟁과 食人" 중국사학회 (134) : 317-355, 2021

      26 嚴飛, "政治運動中的集體暴力: ‘非正常死亡’再回顧」(1966-1976)" 2016

      27 徐友魚, "形形色色的造反-紅衛兵精神素質的形成及演變" 中文大學 1999

      28 賴兆年, "廣西與越南抗法戰爭硏究(1950-1954年)" 廣西民族大學 2015

      29 廣西文化大革命大事年表編寫小組, "廣西文革大事年表" 廣西人民出版社 1990

      30 宋永毅, "廣西文革中的吃人狂潮" 2016

      31 印紅標, "失踪者的足跡" 中文大學出版社 2009

      32 餘習廣, "位卑未敢忘憂國-文化大革命上書集-" 湖南人民出版社 1989

      33 "人民日報"

      34 劉國凱, "人民文革論" 博大出版社 2006

      35 丹慧, "中蘇在援越抗美問題上的冲突與矛盾(1965—1972)(上)" 4 : 2000

      36 宋永毅, "中外學者談文革" 香港中文大學出版社 2018

      37 宋永毅, "中國文化大革命文庫" 香港中文大學中國硏究大學服務中心 2010

      38 朱建榮, "中國における冷戰史硏究の動向-べとナム戰爭を中心に-" (627) : 2002

      39 吳若愚, "中共機密文件記錄的文革廣西大屠殺" 7 : 2003

      40 周孜仁, "一個紅衛兵小報主編的文革記憶" 秀威資訊科技股份有限公司 2012

      41 秦暉, "一九六六 我們那一代的回憶" 中國文聯出版公司 1998

      42 楊海英, "フロンテイアと國際社會の中國文化大革命" 集廣社 2016

      43 "『칼 맑스/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 선집』 제4권" 박종철 출판사 1995

      44 中共廣西壯族自治區委員會整黨領導小組辦公室, "『廣西文革機密檔案資料』(1-36)" 國史出版社 2016

      45 심주형, "“순망치한(脣亡齒寒; Môi Hở Răng Lạnh)”과 비대칭성의 구조 - 베트남·중국 관계와 국경의 역사경관(historyscapes) -" 중앙사학연구소 (52) : 447-499, 2020

      46 閻長貴, "“四個偉大”是誰提出來的?" 8 : 2006

      47 秦暉, "“否定”幷未徹底“眞相”仍待揭示-從文革中的淸華與廣西談起" 4 (4): 2015

      48 Donald S. Sutton, "Consuming Counterrevolution : The Ritual and Culture of Cannibalism in Wuxuan, Guangxi, China, May to July 1968" 37 : 1995

      49 Su Yang, "Collective Killings in Rural China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