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증식된 신생담세관 상피세포 기원을 초미형태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체중 250gm 정도의 Sprague-Dawley계 흰쥐 수컷의 총담관을 결찰한 후 간조직을 2, 4, 6 및 8주에 각각 3마리씩 광학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660152
1987
Korean
514.000
학술저널
113-122(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저자는 증식된 신생담세관 상피세포 기원을 초미형태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체중 250gm 정도의 Sprague-Dawley계 흰쥐 수컷의 총담관을 결찰한 후 간조직을 2, 4, 6 및 8주에 각각 3마리씩 광학현...
저자는 증식된 신생담세관 상피세포 기원을 초미형태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체중 250gm 정도의 Sprague-Dawley계 흰쥐 수컷의 총담관을 결찰한 후 간조직을 2, 4, 6 및 8주에 각각 3마리씩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적으로 관찰하였다.
광학현미경적으로는 증식된 담세관의 상피세포들 사이에서 간세포와 같은 형태를 가진 상피세포들이 있었다.
전자현미경적으로는 첫째, 기저막에 둘러싸인 담세관 상피세포의 일부는 RER 및 mitochondria가 풍부하고 세포질의 전자밀도가 높아 그 미세구조가 간세포와 매우 유사했으며, 둘째, 담세관의 내강을 공유하는 간세포의 일부에서 불완전하나 기저막이 형성되었으며, 세째, 세포소기관의 발달로 보아 간세포와 담세관 상피세포의 중간구조를 가진 세포들이 있었다. 이러한 소견들은 간세포가 담세관 상피세포로 이행하는 중간세포의 존재를 강력히 시사해 주며 따라서 담세관의 증식시에 신생상피세포는 담관이나 담세관 상피세포 뿐만 아니라 간세포에서도 유래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uthor studied ultrastructural changes on the proliferated bile ductules after ligation of common bile duct. Male Sprague-Dawley rats averaging 250 gm were ligated common bile duct and observed liver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 at 2, 4, 6, an...
The author studied ultrastructural changes on the proliferated bile ductules after ligation of common bile duct. Male Sprague-Dawley rats averaging 250 gm were ligated common bile duct and observed liver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 at 2, 4, 6, and 8 weeks after ligation.
On light microscopy, hepatocytic cells were interposed between ductular epithelial cells in proliferated bile ductules.
On electron microscopy, there were epithelial cells having abundant RER and mitochondria, which is similar to that in hepatocytes, in the proliferated ductules. But these cells were surrounded by basement membrane. The hepatocytes occupying common lumen with ductular epithelial cells had partial or discontinuous basement membrane. There were intermediate cells having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both ductular epithelial cells and hepatocytes.
Based on above results, it was strongly suggestive of presence of intermediate cells between ductular epithelial cells and hepatocytes in proliferated ductular lining. It would be considered that epithelial cells of newly formed bile ductules could be originated from the hepatocytes.
腹腔渗出細胞와 血淸을 移入받은 햄스터에서 肝吸蟲 免疫의 移入
腹腔渗出細胞를 移入받은 마우스와 햄스터에서 肝吸蟲에 대한 免疫應答의 比較
長期間 高鹽 攝取한 쥐에서 calcium 이 angiotensin Ⅱ 와 vasopressin 에 대한 昇壓反應에 미치는 影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