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60년대 한국 대중음악 중창단의 활동 양상과 그 의미에 관한 고찰 : 대표적인 중창단의 음악적 특성을 중심으로 = Activities and Significance of Vocal Ensemble Groups in Korean Popular Music during the 1960s: Focusing on musical characteristics of major vocal ensemble group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893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50년 6·25전쟁 이후 미군이 남한에 진주하며 탄생하게 된 미8군 쇼 무대는 한국에 미국 대중음악이 유입되는 배경이 되었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현실 속에서 음악가들이 설 수 있었던 가장 ...

      1950년 6·25전쟁 이후 미군이 남한에 진주하며 탄생하게 된 미8군 쇼 무대는 한국에 미국 대중음악이 유입되는 배경이 되었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현실 속에서 음악가들이 설 수 있었던 가장 크고 수입이 좋은 무대였던 미8군 쇼 무대에서는 미국의 최신 유행곡을 최대한 원곡에 가깝게 연주해야 했다. 이러한 조건 속에서 음악가들은 AFKN 라디오를 통해 미국의 대중음악을 접하며 미8군 쇼 무대에 올랐다. 당시 미국에서는 중창단이 유행이었고 이 여파로 미8군 쇼 무대에서도 중창단이 등장하게 된다. 1960년대 초기에는 미8군 무대뿐만 아니라 일반 무대에서도 중창단이 등장하게 되며 민영 방송국 프로그램의 영향으로 한국 대중음악계에는 중창단 붐이 일어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대중음악의 유입과정에서 특히 1960년대 중창단의 활동 양상과 그 의미에 관해 살펴보았다. 1960년대 초기 이전까지 한국 대중음악계는 주로 솔로 가수가 활동하였으나 미국 대중음악의 영향으로 중창단 활동이 유행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당시 중창단의 활동 양상을 대표적인 곡들을 중심으로 분석해보고 음악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1960년대를 대표하는 중창단들의 대표곡을 대상으로 성별, 장르별, 성부의 편성에 따라 분류하여 음악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춤과 악기 연주 등의 기능상 특징 및 무대 위의 연행 방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1960년대 한국 대중음악 중창단은 독창에 익숙했던 기존의 한국 대중음악계에 서구 전통 중창 형태를 토착화시킴으로써 음악적 표현 방식의 다양화를 가져다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당시 중창단은 기존 트로트 양식과는 다른 7음 음계와 3화음을 사용하였고 재즈나 블루스, 가스펠 느낌의 서구식 창법을 구사하였는데 이는 한국 대중음악 중창단이 가창 중심적 방식의 음악을 형상화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 대중음악 중창단은 1960년대 초기 활동했던 중창단들을 중심으로 이후 서구식 중창 형태로 자리 잡을 수 있었으며 1970년대 청년문화가 유입되면서 포크 듀엣, 트리오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중창단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것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변화시키며 다양한 양상으로 발전해왔다. 따라서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위해서는 중창단이 최초로 태동한 1950년대 이전과 오늘날 1세대 아이돌 그룹이 출현한 1990년대까지 대중음악사의 흐름에 따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는데 이는 향후 연구과제로 삼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US troops stationed in Korea following the Korean War in 1950, the “Eighth United States Army Show” was created, which facilitated the introduction of American pop music into Korea. The show was the largest and most profitable stage for music...

      With US troops stationed in Korea following the Korean War in 1950, the “Eighth United States Army Show” was created, which facilitated the introduction of American pop music into Korea. The show was the largest and most profitable stage for musicians amid the postwar ruins, where performers played the latest American pop music in a way that most resembled the original songs. In these circumstances, musicians listened to American pop music via AFKN radio to perform in these shows. As vocal ensembles were in fashion in the US at the time, they featured in the show. In the early 1960s, vocal ensembles started to appear in general shows beyond the “Eighth United States Army Show,” and thanks to mass private broadcasting, they began to thrive in the Korean pop music scene. This paper primarily examined vocal ensembles’ activities in the 1960s in Korea as well as their implications during the inflow process of American pop music. Noting that American pop music led to the boom of vocal ensembles in Korea, where solo artists had been the dominant players prior to the 1960s, this study analyzed vocal ensembles’ most popular songs and their musical traits. After categorizing the 30 most popular songs in the 1960s by gender, genre, and voice part formation, their musical trai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dance moves and musical instruments, and performance methods were identified. It was found that Korean vocal ensembles were able to bring variety to musical expressions by integrating the traditional Western vocal ensemble style with Korean pop music. In contrast to traditional trot, Korean vocal ensembles utilized a seven-note scale and a third chord, and adopted a Western singing style that resembled jazz, blues, and gospel. This demonstrates that Korean mainstream vocal ensembles embody a vocally focused style of music. With a focus on vocal ensembles in the early 1960s, Korean vocal ensembles were able to settle into a Western style, which developed into folk duets and trios as the culture of the young generation emerged in the 1970s. Vocal ensembles developed into various forms as they embraced and evolved with new trends along the way.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is transition, future studies should examine the history of Korean pop music from the period prior to the 1950s-when vocal ensembles were first created-to the 1990s-when first-generation idol groups were introduc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미국 대중음악의 유입과 중창단의 유행 3. 1960년대 한국 대중음악 중창단의 활동양상 4. 1960년대 한국 대중음악 중창단의 음악적 특성 5. 1960년대 한국 대중음악 중창단의 의미 6. 결론
      • 1. 서론 2. 미국 대중음악의 유입과 중창단의 유행 3. 1960년대 한국 대중음악 중창단의 활동양상 4. 1960년대 한국 대중음악 중창단의 음악적 특성 5. 1960년대 한국 대중음악 중창단의 의미 6.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음악저작권협회"

      2 한국 유성기 음반, "한국음반아카이브연구소"

      3 이영미, "한국대중가요사" 민속원 2006

      4 이준희, "한국가요사." 미지북스 2009

      5 신현준, "한국 팝의 고고학 1960" 탑출판사 2005

      6 이규탁, "케이팝의 시대 : 카세트테이프부터 스트리밍까지" 한울아카데미 : 한울엠플러스 2016

      7 케이팝 아카이브, "케이팝 뮤직 히스토리-1960년대"

      8 신현준, "변방의사운드" 채륜 2017

      9 지승훈, "방탄소년단, 美 '빌보드 200'서 41위…11주째 상위권" YTN star 신문

      10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2010

      1 "한국음악저작권협회"

      2 한국 유성기 음반, "한국음반아카이브연구소"

      3 이영미, "한국대중가요사" 민속원 2006

      4 이준희, "한국가요사." 미지북스 2009

      5 신현준, "한국 팝의 고고학 1960" 탑출판사 2005

      6 이규탁, "케이팝의 시대 : 카세트테이프부터 스트리밍까지" 한울아카데미 : 한울엠플러스 2016

      7 케이팝 아카이브, "케이팝 뮤직 히스토리-1960년대"

      8 신현준, "변방의사운드" 채륜 2017

      9 지승훈, "방탄소년단, 美 '빌보드 200'서 41위…11주째 상위권" YTN star 신문

      10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2010

      11 최규성, "걸그룹의 조상들" 안나푸르나 2018

      12 최상수, "‘BTS 너머의 케이팝’, 방탄소년단 영향력=팬덤 영역 확장… 문화생산 결과물"

      13 이용우, "[한국팝의사건·사고60년] 60년대는 중창단 전성시대" 한겨례 신문

      14 선성원, "8군쇼에서랩까지" 아름출판사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