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 및 근대 공예의 제작기준, 견양(見樣) = The Production Standard of Crafts in the Joseon Dynasty and modern times, Gyeon-yang(見樣)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323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왕실은 의례나 이념적 규범에 따라 견양(見樣)을 참작하여 국가의 관리를 받으면서 왕실공예품을 제작하였다. 근대 도안이 등장하기 이전의 공예품 도안은‘견양(見樣)’이라 하여 입체 모형을 만들거나 혹은 그림을 그려두고 제작하는 방식이 동아시아 전반에서 애용되었다. 조선시대 관요에서는 견본용 도자기를 ‘견양’이라 하여 미리 견본을 만든 뒤에 이를 기준 삼아 제작하였다. 전통사회 공예의 형식 설계 기능을 가진 견양은 국가의 중요한 의례나 국가적 위의를 표상하는데 적극적으로 적용되었으며 국가의 공예제작 기술 통제를 통한 전통사회의 설계도 기능을 지닌 중요한 제작기준이 된다. 견양은 무형유산학의 기술문화적 측면에서 시대의 이념이 함유된 제작규범과 제작기준의 역할을 지니므로 무형유산에 포함되는 중요한 핵심적 요소라고 판단된다. 조선과 근대전환기 공예의 제작체제 맥락을 읽고 제작의 실상을 고증하는데 있어 견양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
      조선 왕실에서는 예치(禮治)를 실천하는 오례의식의 의전이 뒷날 변형되는 것을 막고자 예서(禮書)를 간행하였고 왕실공예품은 이에 의거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시대에 따른 양식적인 변모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조선전기와 후기에는 국가 공예관의 이념적 배경이 되는 예서가 간행되었는데 이를 토대로 각 시기에 제작된 왕실 공예품들은 형태와 문양 및 재료상에서 변화가 수반되었다. 즉 조선왕실의 오례의식은 1474년(성종 5년)에 간행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편찬하면서 제도적으로 완비되었고, 이는 1471년(성종 2년)에 법제적인 측면에서 왕조의 기틀을 세운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과 그 맥락을 같이 하였다. 이후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예제(禮制)가 흐트러지고 의전(儀典)체제가 문란해지자 영조는 이를 바로잡아 현실에 맞도록 고칠 목적으로 1744년(영조 20년)에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를 편찬하였다. 이는 『경국대전』 이후의 각종 법제를 찬집하여 1746년(영조 22년)에 편찬한 『속대전(續大典)』과 그 취지상 맥락을 같이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조선전기의 왕실 공예품에 대한 연구는 『국조오례의』를 전거로 삼았고, 조선후기의 왕실 공예품은 『국조속오례의』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이처럼 두 예서는 왕실의 의례를 국가적인 행사로 치루기 위해 편찬된 책으로서 국가 공예관의 이념적인 항상성(恒常性)을 유지하는 예제였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상설아문(常設衙門)과 권설도감(權設都監)은 왕실행사의 규모에 따라 그 임무를 수행하였다. 국가적인 총력을 기울여 치루는 오례는 대규모 행사였기 때문에 상설아문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었으므로 의식이 있을 때마다 권설도감을 개설하였다. 권설도감은 조정이 가능한 인력과 물력을 총동원하는 임시 관청체제로서 조선전기에는 국가의 통치기반을 공고히 하고 외침에 대비하고자 신도시를 건설하거나 무기를 만들기 위한 도감으로 빈번하게 설치되었으며, 점차 사회가 안정되면서 조선후기에는 궁궐의 영건이나 왕실의 위의를 주로 드러내는 오례 관련 도감으로 개설되었다. 오례를 성공적으로 치루기 위해 왕실 공예품의 안정된 공급이 반드시 필요했고 이를 위해 권설도감은 상설아문의 협조 아래 관리조직을 재편하고 제작장인들을 동원해야 했다. 그리고 공예품을 법식(法式)에 맞게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감조관의 기록형 견양과 화원의 기화(起畫)를 도설화(圖說化)한 것을 평면형 도화체제 견양으로 참작하였고, 이를 토대로 경공장이 실물대 혹은 축소형태의 입체형 견양(見樣)을 만든 후 외공장이나 사장(私匠)들이 대량제작하는 수급체제를 취하였다. 이렇게 분업화된 제작과정은 오례의식용 공예품은 물론 무기나 갑옷 등 군수용을 비롯하여 사대용 방물을 만들 때에도 적용되었다. 도감의 관리조직을 보면 명목상 책임자는 도제조 1-2인과 제조 3-5인이었으며, 실질적인 운영책임자는 도청 2-6인, 낭청 6-7인, 감조관 6인 등이었고 이들이 견양의 실질적인 제작기획자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견양의 의미로 중국 청대 도양(圖樣)이라 표현한 기록은 명·청실록에서 확인된다. 양(樣)의 표현은 견양적 의미로 고려사와 조선시대 견양 기록에서도 확인된다. 모양, 형태의 의미를 지니는 양(樣)의 표현은 중국 고대부터 견양의 의미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1370년 고려사 기록을 보면, 공민왕 19년에 명나라 태조가 신하들의 제사를 방조할 때 쓰는 관복을 중국 관리들의 9등급에서 왕국(王國) 7등급의 복장을 선사하였다. 그 안에는 복장 견본인 견양(樣) 한 벌과 술 견본(綬樣) 세 벌분이 포함되어 있었다.
      조선시대 관요에서는 견본용 도자기를‘견양’이라 하여 미리 견본을 만든 뒤에 이를 기준 삼아 제작하였다. 세종 연간에 제작된 <백자‘見樣’명발편>은 견양도자의 실례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세한 품질기준, 형식의 정형화, 엄격성이 중시된 왕실 공예품은 견양 형태로 치수와 양식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제작기준을 제시하고 국가주도 관영 수공업 체제에서 공예품이 제작되었다. 무엇보다 가치 높은 기술이나 쓰임의 중요도에 따라 기술 통제가 상대적으로 엄격했다. 경공장의 공예 제작에는 총감독의 역할을 하는 감조관과 견양을 통해 엄격한 기술통제와 제작기준을 시행했다. 분업화된 과정을 통해서 제작되는 왕실 공예품은 오례의식이 반복될 때마다 예서에서 선례를 상고하였으며 화원들은 도설에 따라 기화하는 작업에 주로 참여하였다.
      공예품의 제작기준인 견양을 통한 기술의 규제가 왕실의 면모와 위의를 드러내고 바로 세우는데 중요하게 인식되었던 증거라고 할 수 있겠다. 감조관은 경공장의 제작과정 전반을 감독하였고, 맡겨진 분야의 업무에 상당 수준의 기술과 이해를 지녀야 했다. 왕실 기물의 특별한 품격과 형식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견양을 통해 통제를 제도화한 이유였다.
      근대 이후 점차 공예기술이 통합되고 미분화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근대전환기 장인의 수가 줄어들고 비어있는 기술의 결손은 남은 장인이 통합하여 제작해야 했다. 견양이 제작기준이 되어 기술을 통제하고 협업 분업화되었던 조선왕조의 공예 제작체제가 근대전환기에 유기적으로 변모되었던 것이다.
      공예기술문화로서 무형유산의 제작기준이 되는 견양은 메이지기 노우토미 가이지로(納富介次郞)가 1873년(明治 6) 빈 만국박람회 참가를 위해 디자인의 역어로 고안된 근대도안으로 이행된다. 근대전환기 황실공예품의 견양은 조선의 전통을 계승하며 공예의 제작에서 형태와 의장, 표상의 체계화, 표준화, 균일화를 위한 제작기준으로 작용했다. 견양은 국가의 기술 통제를 드러낸 중요한 단서가 된다.
      도안의 탄생은 공예가의 손을 떠나 기계로 옮아간 제작 시스템의 전환에 따른 결과였다. 견양에서 도안으로 이행되면서 국가주의 디자인의 목적성과 함께 산업디자인의 시원으로 상업화에 중점적으로 쓰이게 된다. 도안과 디자인의 흐름에서는 작가 개인의 조형성을 담아낼 수 있는 다양한 의사소통의 창구가 반영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근대이전 공예의 설계도 역할을 하는 견양은 근대이후 도안과 오늘날 디자인, 프로토타입 시제품, 견본품으로 그 흐름의 맥락을 이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근대와 근대를 가름하는 기준이 되는 근대도안은 조선 및 근대전환기 왕실 공예품의 제작기준과 제작시스템의 패러다임 변화 맥락을 읽어내고 공예 제작의 실상을 고증하는데 논문의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을 통해 조선시대와 근대에 이르까지 ‘견양’의 흐름과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문헌사료를 제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견양 연구를 위한 중요한 토대를 마련하였고 무형유산, 공예디자인 연구에 보탬이 되길 기대해 본다.
      번역하기

      조선왕실은 의례나 이념적 규범에 따라 견양(見樣)을 참작하여 국가의 관리를 받으면서 왕실공예품을 제작하였다. 근대 도안이 등장하기 이전의 공예품 도안은‘견양(見樣)’이라 하여 입...

      조선왕실은 의례나 이념적 규범에 따라 견양(見樣)을 참작하여 국가의 관리를 받으면서 왕실공예품을 제작하였다. 근대 도안이 등장하기 이전의 공예품 도안은‘견양(見樣)’이라 하여 입체 모형을 만들거나 혹은 그림을 그려두고 제작하는 방식이 동아시아 전반에서 애용되었다. 조선시대 관요에서는 견본용 도자기를 ‘견양’이라 하여 미리 견본을 만든 뒤에 이를 기준 삼아 제작하였다. 전통사회 공예의 형식 설계 기능을 가진 견양은 국가의 중요한 의례나 국가적 위의를 표상하는데 적극적으로 적용되었으며 국가의 공예제작 기술 통제를 통한 전통사회의 설계도 기능을 지닌 중요한 제작기준이 된다. 견양은 무형유산학의 기술문화적 측면에서 시대의 이념이 함유된 제작규범과 제작기준의 역할을 지니므로 무형유산에 포함되는 중요한 핵심적 요소라고 판단된다. 조선과 근대전환기 공예의 제작체제 맥락을 읽고 제작의 실상을 고증하는데 있어 견양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
      조선 왕실에서는 예치(禮治)를 실천하는 오례의식의 의전이 뒷날 변형되는 것을 막고자 예서(禮書)를 간행하였고 왕실공예품은 이에 의거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시대에 따른 양식적인 변모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조선전기와 후기에는 국가 공예관의 이념적 배경이 되는 예서가 간행되었는데 이를 토대로 각 시기에 제작된 왕실 공예품들은 형태와 문양 및 재료상에서 변화가 수반되었다. 즉 조선왕실의 오례의식은 1474년(성종 5년)에 간행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편찬하면서 제도적으로 완비되었고, 이는 1471년(성종 2년)에 법제적인 측면에서 왕조의 기틀을 세운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과 그 맥락을 같이 하였다. 이후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예제(禮制)가 흐트러지고 의전(儀典)체제가 문란해지자 영조는 이를 바로잡아 현실에 맞도록 고칠 목적으로 1744년(영조 20년)에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를 편찬하였다. 이는 『경국대전』 이후의 각종 법제를 찬집하여 1746년(영조 22년)에 편찬한 『속대전(續大典)』과 그 취지상 맥락을 같이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조선전기의 왕실 공예품에 대한 연구는 『국조오례의』를 전거로 삼았고, 조선후기의 왕실 공예품은 『국조속오례의』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이처럼 두 예서는 왕실의 의례를 국가적인 행사로 치루기 위해 편찬된 책으로서 국가 공예관의 이념적인 항상성(恒常性)을 유지하는 예제였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상설아문(常設衙門)과 권설도감(權設都監)은 왕실행사의 규모에 따라 그 임무를 수행하였다. 국가적인 총력을 기울여 치루는 오례는 대규모 행사였기 때문에 상설아문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었으므로 의식이 있을 때마다 권설도감을 개설하였다. 권설도감은 조정이 가능한 인력과 물력을 총동원하는 임시 관청체제로서 조선전기에는 국가의 통치기반을 공고히 하고 외침에 대비하고자 신도시를 건설하거나 무기를 만들기 위한 도감으로 빈번하게 설치되었으며, 점차 사회가 안정되면서 조선후기에는 궁궐의 영건이나 왕실의 위의를 주로 드러내는 오례 관련 도감으로 개설되었다. 오례를 성공적으로 치루기 위해 왕실 공예품의 안정된 공급이 반드시 필요했고 이를 위해 권설도감은 상설아문의 협조 아래 관리조직을 재편하고 제작장인들을 동원해야 했다. 그리고 공예품을 법식(法式)에 맞게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감조관의 기록형 견양과 화원의 기화(起畫)를 도설화(圖說化)한 것을 평면형 도화체제 견양으로 참작하였고, 이를 토대로 경공장이 실물대 혹은 축소형태의 입체형 견양(見樣)을 만든 후 외공장이나 사장(私匠)들이 대량제작하는 수급체제를 취하였다. 이렇게 분업화된 제작과정은 오례의식용 공예품은 물론 무기나 갑옷 등 군수용을 비롯하여 사대용 방물을 만들 때에도 적용되었다. 도감의 관리조직을 보면 명목상 책임자는 도제조 1-2인과 제조 3-5인이었으며, 실질적인 운영책임자는 도청 2-6인, 낭청 6-7인, 감조관 6인 등이었고 이들이 견양의 실질적인 제작기획자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견양의 의미로 중국 청대 도양(圖樣)이라 표현한 기록은 명·청실록에서 확인된다. 양(樣)의 표현은 견양적 의미로 고려사와 조선시대 견양 기록에서도 확인된다. 모양, 형태의 의미를 지니는 양(樣)의 표현은 중국 고대부터 견양의 의미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1370년 고려사 기록을 보면, 공민왕 19년에 명나라 태조가 신하들의 제사를 방조할 때 쓰는 관복을 중국 관리들의 9등급에서 왕국(王國) 7등급의 복장을 선사하였다. 그 안에는 복장 견본인 견양(樣) 한 벌과 술 견본(綬樣) 세 벌분이 포함되어 있었다.
      조선시대 관요에서는 견본용 도자기를‘견양’이라 하여 미리 견본을 만든 뒤에 이를 기준 삼아 제작하였다. 세종 연간에 제작된 <백자‘見樣’명발편>은 견양도자의 실례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세한 품질기준, 형식의 정형화, 엄격성이 중시된 왕실 공예품은 견양 형태로 치수와 양식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제작기준을 제시하고 국가주도 관영 수공업 체제에서 공예품이 제작되었다. 무엇보다 가치 높은 기술이나 쓰임의 중요도에 따라 기술 통제가 상대적으로 엄격했다. 경공장의 공예 제작에는 총감독의 역할을 하는 감조관과 견양을 통해 엄격한 기술통제와 제작기준을 시행했다. 분업화된 과정을 통해서 제작되는 왕실 공예품은 오례의식이 반복될 때마다 예서에서 선례를 상고하였으며 화원들은 도설에 따라 기화하는 작업에 주로 참여하였다.
      공예품의 제작기준인 견양을 통한 기술의 규제가 왕실의 면모와 위의를 드러내고 바로 세우는데 중요하게 인식되었던 증거라고 할 수 있겠다. 감조관은 경공장의 제작과정 전반을 감독하였고, 맡겨진 분야의 업무에 상당 수준의 기술과 이해를 지녀야 했다. 왕실 기물의 특별한 품격과 형식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견양을 통해 통제를 제도화한 이유였다.
      근대 이후 점차 공예기술이 통합되고 미분화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근대전환기 장인의 수가 줄어들고 비어있는 기술의 결손은 남은 장인이 통합하여 제작해야 했다. 견양이 제작기준이 되어 기술을 통제하고 협업 분업화되었던 조선왕조의 공예 제작체제가 근대전환기에 유기적으로 변모되었던 것이다.
      공예기술문화로서 무형유산의 제작기준이 되는 견양은 메이지기 노우토미 가이지로(納富介次郞)가 1873년(明治 6) 빈 만국박람회 참가를 위해 디자인의 역어로 고안된 근대도안으로 이행된다. 근대전환기 황실공예품의 견양은 조선의 전통을 계승하며 공예의 제작에서 형태와 의장, 표상의 체계화, 표준화, 균일화를 위한 제작기준으로 작용했다. 견양은 국가의 기술 통제를 드러낸 중요한 단서가 된다.
      도안의 탄생은 공예가의 손을 떠나 기계로 옮아간 제작 시스템의 전환에 따른 결과였다. 견양에서 도안으로 이행되면서 국가주의 디자인의 목적성과 함께 산업디자인의 시원으로 상업화에 중점적으로 쓰이게 된다. 도안과 디자인의 흐름에서는 작가 개인의 조형성을 담아낼 수 있는 다양한 의사소통의 창구가 반영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근대이전 공예의 설계도 역할을 하는 견양은 근대이후 도안과 오늘날 디자인, 프로토타입 시제품, 견본품으로 그 흐름의 맥락을 이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근대와 근대를 가름하는 기준이 되는 근대도안은 조선 및 근대전환기 왕실 공예품의 제작기준과 제작시스템의 패러다임 변화 맥락을 읽어내고 공예 제작의 실상을 고증하는데 논문의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을 통해 조선시대와 근대에 이르까지 ‘견양’의 흐름과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문헌사료를 제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견양 연구를 위한 중요한 토대를 마련하였고 무형유산, 공예디자인 연구에 보탬이 되길 기대해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Joseon Dynasty, royal craftwork was produced under the national management, referring to Gyeon-yang(見樣) in accordance with ritual procedures or ideological norms. Before the introduction of modern design, the craftwork for royal families was produced based on Gyeon-yang, a three-dimensional model or a drawing made in advance of producing real craftwork, which was a way widely used to manufacture craftwork across the East Asia.
      In kilns operated by governmental offices in Joseon Dynasty, a sample pottery called ‘Gyeon-yang’was made in advance and then actual ceramics was produced based on that. Gyeon-yang had a function of a formal design of traditional crafts and was actively applied to performing important national rituals or representing national dignity as an important production standard with a function of blueprint in the traditional society through national control of crafts production technology. Since Gyeon-yang had roles of production norms and the production standard with ideas of the times in aspect of technological culture in intangible heritage studies, it is judged that it can be included in intangible heritage as a core factor.
      This study focuses on Gyeon-yang, reflecting national political indicators and ruling ideas, which has been partially mentioned, but not studied independently. Gyeon-yang acted as the production standard for form, design, systematization of representation, standardization, and uniformalization of crafts production in manufacturing crafts and it kept in with the concept of modern design. Hence, it is important to study Gyeon-yang in order to read the context of the crafts production system in Joseon dynasty and modernizing period and ascertain realities of production in that time.
      The Five Rituals (Oryeui) system in Joseon dynasty was completely equipped institutionally with publishing 『Gukjooryeui(國朝五禮儀)』 in the 5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gjong (1474), which shares the context of 『Gyeonggukdaejeon(經國大典)』 published in the 2nd year of the reign of the King Seongjong (1471) to tighten discipline of Joseon dynasty in aspect of legislative system. However, as the ritual system(禮制) and the protocol(儀典) system were in disorder after Japanese invasions of Korea and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the King Yeongjo ordered to publish 『Gukjosokoryeui(國朝續五禮儀)』 aming to correct them so as to correspond to realities and, eventually, it was published in the 20th year of the reign of the King Yeongjo (1744). It was to the same effect as 『Sokdaejeon(續大典)』, compiled from all kinds of laws published after 『Gyeonggukdaejeon』, in the 22nd year of the reign of the King Yeongjo (1746). Therefore, the studies on royal craftwork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that in its late period are based on 『Gukjooryeui』 and 『Gukjosokoryeui』 respectively.
      Two books of rituals were published to hold royal rites and ceremonies as national events and to maintain ideological constancy(恒常性) of national standpoint on crafts. To this end, based on these books, Sangselamun(常設衙門) and Gwonseoldogam(權設都監) as governmental offices in charge fulfilled their duties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royal events. Since the scale of the Five Rituals was too big for Sangseolamun to handle them on its own, Dogam was often established and operated temporarily to support it. To hold the Five Rituals successfully, it was necessary to supply royal crafts stably. For this, Gwonseoldogam had to reorganize the management organization under the cooperation of Sangseolamun and gather craftsmen. And crafts had to be made in accordance with rules and formalities(法式), so craftsmen belonging to central government offices(京工匠) made full-sized or downsized solid-shaped Gyeon-yang(見樣), referring to Gyeon-yang of a two dimensional drawing system illustrated from Gyeon-yang recorded by supervisors and Gihwa(起畫) drawn with inking lines by court painter(畫員). And then, craftsmen in local government offices(外工匠) and in private sector(私匠) mass-produced actual crafts. This is the production system of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royal crafts were produced on the basis of Gyeon-yang as the production standard, placing emphasis on exquisite quality standard, standardization of form, and rigidness. Technology of crafts used for the Five Rituals as well as military necessities such as weapons or armors and items for tribute was relatively strictly controlled by govern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high-valued technology or its importance. In producing cratfs by craftsmen in central government offices, the strict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the production standard were implemented by Gyeon-yang and supervisors who served as general managers.
      In kilns operated by governmental offices in Joseon Dynasty, a sample pottery called ‘Gyeon-yang’ was made in advance, and then based on it, craftsmen made ceramics actually. <White Porcelain‘Gyeon-yang(見樣)’Named Vol.>, a fragment of white ceramic bowl inscribed with letters of‘見樣’, produced in the reign of the King Sejong can be an actual example of Gyeon-yang pottery.
      Gyeon-yang, the production standard of intangible heritage as technological culture of crafts, was shifted to modern design, a word translated from Gyeon-yang by Noutomi Gaijiro(納富介次郞) in the period of Meiji(明治), in order to participate in World’s Fair held in Vienna in the 6th year of Meiji(1873). In turning point of modern ages, Gyeon-yang for royal crafts inherited the tradition of Joseon and served as the production standard for form, design, systematization of representation, standardization, and uniformalization of crafts production. It becomes an important clue to unveil the management of technology by the state.
      The birth of modern design was resulted from the change of production system, replacing the hands of craftsmen with machines. It is judged that the biggest difference in shifting from Gyeon-yang to modern design is to reflect various communications and to be used for commercialization as the origin of industrial design along with the purpose of nationalistic design. In this point, it can be found that Gyeon-yang, which functioned as a blueprint of crafts in pre-modern times, has led to modern design, today’s design, a prototype for trial product, and a sample.
      This thesis is significant in the sense of reading the context of paradigm change of the royal crafts production standard and the production system in Joseon dynasty and modernizing period and ascertaining its true picture of crafts production through modern design that is the standard differentiating pre-modern times from modern times.
      The process to transfer to Gyeon-yang and modern design aimed at public interest of humankind and local communities based on crafts technology, which is thought to be the ultimate direction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go forward.
      This thesis suggested and analyzed literature materials to examine the stream and characteristics of‘Gyeon-yang’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and modern times. It also provided an important foothold to study further on Gyeon-yang in the future and I hope to be helpful to study on intangible heritage and crafts design.

      keywords : Joseon Dynasty, Crafts for royal families, Gyeon-yang(見樣), Governmental Craftsmen(京工匠), Court Painter(畫員), Gihwa(起畫), Illustration,『Gukjooryeui(國朝五禮儀)』, 『Gukjosokoryeui(國朝續五禮儀)』,『Gyeonggukdaejeon(經國大典)』, 『Gwonseoldogamuigwe(權設都監儀軌)』, Modern times, Crafts desig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ublic interest, Prototype
      번역하기

      In Joseon Dynasty, royal craftwork was produced under the national management, referring to Gyeon-yang(見樣) in accordance with ritual procedures or ideological norms. Before the introduction of modern design, the craftwork for royal families was pr...

      In Joseon Dynasty, royal craftwork was produced under the national management, referring to Gyeon-yang(見樣) in accordance with ritual procedures or ideological norms. Before the introduction of modern design, the craftwork for royal families was produced based on Gyeon-yang, a three-dimensional model or a drawing made in advance of producing real craftwork, which was a way widely used to manufacture craftwork across the East Asia.
      In kilns operated by governmental offices in Joseon Dynasty, a sample pottery called ‘Gyeon-yang’was made in advance and then actual ceramics was produced based on that. Gyeon-yang had a function of a formal design of traditional crafts and was actively applied to performing important national rituals or representing national dignity as an important production standard with a function of blueprint in the traditional society through national control of crafts production technology. Since Gyeon-yang had roles of production norms and the production standard with ideas of the times in aspect of technological culture in intangible heritage studies, it is judged that it can be included in intangible heritage as a core factor.
      This study focuses on Gyeon-yang, reflecting national political indicators and ruling ideas, which has been partially mentioned, but not studied independently. Gyeon-yang acted as the production standard for form, design, systematization of representation, standardization, and uniformalization of crafts production in manufacturing crafts and it kept in with the concept of modern design. Hence, it is important to study Gyeon-yang in order to read the context of the crafts production system in Joseon dynasty and modernizing period and ascertain realities of production in that time.
      The Five Rituals (Oryeui) system in Joseon dynasty was completely equipped institutionally with publishing 『Gukjooryeui(國朝五禮儀)』 in the 5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gjong (1474), which shares the context of 『Gyeonggukdaejeon(經國大典)』 published in the 2nd year of the reign of the King Seongjong (1471) to tighten discipline of Joseon dynasty in aspect of legislative system. However, as the ritual system(禮制) and the protocol(儀典) system were in disorder after Japanese invasions of Korea and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the King Yeongjo ordered to publish 『Gukjosokoryeui(國朝續五禮儀)』 aming to correct them so as to correspond to realities and, eventually, it was published in the 20th year of the reign of the King Yeongjo (1744). It was to the same effect as 『Sokdaejeon(續大典)』, compiled from all kinds of laws published after 『Gyeonggukdaejeon』, in the 22nd year of the reign of the King Yeongjo (1746). Therefore, the studies on royal craftwork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that in its late period are based on 『Gukjooryeui』 and 『Gukjosokoryeui』 respectively.
      Two books of rituals were published to hold royal rites and ceremonies as national events and to maintain ideological constancy(恒常性) of national standpoint on crafts. To this end, based on these books, Sangselamun(常設衙門) and Gwonseoldogam(權設都監) as governmental offices in charge fulfilled their duties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royal events. Since the scale of the Five Rituals was too big for Sangseolamun to handle them on its own, Dogam was often established and operated temporarily to support it. To hold the Five Rituals successfully, it was necessary to supply royal crafts stably. For this, Gwonseoldogam had to reorganize the management organization under the cooperation of Sangseolamun and gather craftsmen. And crafts had to be made in accordance with rules and formalities(法式), so craftsmen belonging to central government offices(京工匠) made full-sized or downsized solid-shaped Gyeon-yang(見樣), referring to Gyeon-yang of a two dimensional drawing system illustrated from Gyeon-yang recorded by supervisors and Gihwa(起畫) drawn with inking lines by court painter(畫員). And then, craftsmen in local government offices(外工匠) and in private sector(私匠) mass-produced actual crafts. This is the production system of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royal crafts were produced on the basis of Gyeon-yang as the production standard, placing emphasis on exquisite quality standard, standardization of form, and rigidness. Technology of crafts used for the Five Rituals as well as military necessities such as weapons or armors and items for tribute was relatively strictly controlled by govern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high-valued technology or its importance. In producing cratfs by craftsmen in central government offices, the strict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the production standard were implemented by Gyeon-yang and supervisors who served as general managers.
      In kilns operated by governmental offices in Joseon Dynasty, a sample pottery called ‘Gyeon-yang’ was made in advance, and then based on it, craftsmen made ceramics actually. <White Porcelain‘Gyeon-yang(見樣)’Named Vol.>, a fragment of white ceramic bowl inscribed with letters of‘見樣’, produced in the reign of the King Sejong can be an actual example of Gyeon-yang pottery.
      Gyeon-yang, the production standard of intangible heritage as technological culture of crafts, was shifted to modern design, a word translated from Gyeon-yang by Noutomi Gaijiro(納富介次郞) in the period of Meiji(明治), in order to participate in World’s Fair held in Vienna in the 6th year of Meiji(1873). In turning point of modern ages, Gyeon-yang for royal crafts inherited the tradition of Joseon and served as the production standard for form, design, systematization of representation, standardization, and uniformalization of crafts production. It becomes an important clue to unveil the management of technology by the state.
      The birth of modern design was resulted from the change of production system, replacing the hands of craftsmen with machines. It is judged that the biggest difference in shifting from Gyeon-yang to modern design is to reflect various communications and to be used for commercialization as the origin of industrial design along with the purpose of nationalistic design. In this point, it can be found that Gyeon-yang, which functioned as a blueprint of crafts in pre-modern times, has led to modern design, today’s design, a prototype for trial product, and a sample.
      This thesis is significant in the sense of reading the context of paradigm change of the royal crafts production standard and the production system in Joseon dynasty and modernizing period and ascertaining its true picture of crafts production through modern design that is the standard differentiating pre-modern times from modern times.
      The process to transfer to Gyeon-yang and modern design aimed at public interest of humankind and local communities based on crafts technology, which is thought to be the ultimate direction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go forward.
      This thesis suggested and analyzed literature materials to examine the stream and characteristics of‘Gyeon-yang’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and modern times. It also provided an important foothold to study further on Gyeon-yang in the future and I hope to be helpful to study on intangible heritage and crafts design.

      keywords : Joseon Dynasty, Crafts for royal families, Gyeon-yang(見樣), Governmental Craftsmen(京工匠), Court Painter(畫員), Gihwa(起畫), Illustration,『Gukjooryeui(國朝五禮儀)』, 『Gukjosokoryeui(國朝續五禮儀)』,『Gyeonggukdaejeon(經國大典)』, 『Gwonseoldogamuigwe(權設都監儀軌)』, Modern times, Crafts desig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ublic interest, Prototyp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1
      • 1. 연구목적과 의의 1
      • 2. 연구범위와 방법 3
      • Ⅰ. 머리말 1
      • 1. 연구목적과 의의 1
      • 2. 연구범위와 방법 3
      • Ⅱ. 견양(見樣)의 개념과 연원 7
      • 1. 견양의 정의와 범주 7
      • 1) 견양과 도설(圖說)의 관계 9
      • 2) 견양과 화본(畫本), 도안(圖案)의 관계 13
      • 3) 樣, 樣子의 견양적 의미 16
      • 2. 『고공기(考工記)』와 중국 고대의 수공업 제작방식 25
      • 1) 도량형(度量衡)의 통일과 ‘기술전범(技術典範)’의 정립 26
      • 2) 공관(工官) 체제와 관료적 통제 29
      • Ⅲ. 견양의 제작규범과 유형 31
      • 1. 조선의 예제(禮制)와 견양의 제작규범 31
      • 1) 조선전기의『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예서(禮書) 편찬 31
      • 2) 조선후기의『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와 예제 39
      • 2. 경공장의 기술(技術)통제와 제작체제 42
      • 1) 경공장 체제와 기술통제 42
      • 2) 권설도감(權設都監) 의궤(儀軌)의 견양적 의미 49
      • 3. 견양의 유형과 특징 55
      • 1) 기록형 견양 56
      • 2) 평면형 도화체제 견양 63
      • 3) 입체형 견양 69
      • Ⅳ. 조선 왕실 공예의 제작기준 78
      • 1. 조선 왕실 공예품의 견양 78
      • 1) 왕실 의례용 공예품의 견양 81
      • 2) 왕실 일상용 공예품의 견양 93
      • 3) 군사기물의 견양 96
      • 2. 견양제작의 화원(畫員)과 기화(起畫) 128
      • 1) 화원의 도설(圖說)과 기화 129
      • 2) 기화의 의미와 분류 132
      • 3) 기화 재료와 화원의 역할 161
      • 3. 견양의 분류와 제작주체 169
      • 1) 기록형 견양과 감조관 169
      • 2) 평면형 견양과 기화 화원 174
      • 3) 입체형 견양과 경공장 176
      • Ⅴ. 견양과 근대도안으로의 이행 180
      • 1. 근대전환기 황실 공예품의 견양 180
      • 1) 궁내부 체제와 황실공예품의 제작규범 181
      • 2) 견양의 전통계승과 도안 유입 182
      • 2. 견양과 근대도안으로의 이행 193
      • 1) 근대도안의 탄생 193
      • 2) 견양과 근대도안의 이원성 197
      • 3. 공예 제작시스템의 변화와 무형유산적 의미 204
      • 1) 공예 제작시스템의 변화 204
      • 2) 공예도안과 무형문화유산의 공공성 206
      • Ⅵ. 맺음말 212
      • 부록 217
      • 참고문헌 232
      • Abstract 24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기훈, "弩解번역", 학예지4, 육군박물관, 1995

      2 홍선표, "조선회화", 한국미술연구소, 2014

      3 이태진, "서울상업사", 태학사, 2000

      4 최영성, "한국유학통사", 심산, 2006

      5 홍선표, "조선시대회화사론", 문예출판사, 2004

      6 김영식, 정형민, "조선후기의 기술도", 서울대 출판부, 2007

      7 민승기,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기획, 2019

      8 장경희, "의궤 속 조선의 장인", 솔과학, 2013

      9 안보연, "대한제국 적의본 소고", 국립고궁박물관, 2014

      10 박평식, "조선전기 상업사 연구", 지식산업사, 1999

      1 김기훈, "弩解번역", 학예지4, 육군박물관, 1995

      2 홍선표, "조선회화", 한국미술연구소, 2014

      3 이태진, "서울상업사", 태학사, 2000

      4 최영성, "한국유학통사", 심산, 2006

      5 홍선표, "조선시대회화사론", 문예출판사, 2004

      6 김영식, 정형민, "조선후기의 기술도", 서울대 출판부, 2007

      7 민승기,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기획, 2019

      8 장경희, "의궤 속 조선의 장인", 솔과학, 2013

      9 안보연, "대한제국 적의본 소고", 국립고궁박물관, 2014

      10 박평식, "조선전기 상업사 연구", 지식산업사, 1999

      11 송희경, "朝鮮 後期 雅會圖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12 서성호, "고려 전기 수공업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13 신선영, "기산 김준근 회화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2

      14 장경희, "조선 왕실의 궁릉 의물", 민속원, 2013

      15 김종임, "朝鮮王室 金屬祭器 硏究", 美術史學硏究, 2013

      16 정은우, "高麗後期 佛敎彫刻 硏究", 문예출판사, 2007

      17 정은우, "高麗後期 佛敎彫刻 硏究",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8 비숍, 이사벨라, 신복룡, "역,조선과 그 이웃나라들", 집문당, 2000

      19 최공호, "한국 현대 공예사의 이해", 재원, 1996

      20 Edgerton, "The Heritage of Giotto 's Geometry", 1992

      21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http://yoksa", aks.ac,kr, null

      22 박성실, "대한제국 황실의 적의제도", 고궁문화제4호, 국립고궁박물 관, 2011

      23 이철성, "조선후기 대청무역사 연구", 국학자료원, 1999

      24 이영희, "고대 삼국, 통일신라의 장인", 미술사학연구241, 한국미술 사학회, 2004

      25 김소연, "韓國 近代 '東洋畵' 敎育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6 이수나, "공예의 형식 설계, 견양(見樣)", 陶藝硏究Vol.26, 2017

      27 김세린, "조선시대 금속공예 入絲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28 박계리, "20세기 한국회화에서의 전통론",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29 김동오, "고대 중국의 공장과 기술 통제", 동양사학연구Vol.117, 동양 사학회, 2011

      30 구혜인, "조선시대 왕실 제기(祭器)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31 박평식, "조선전기 교환경제와 상인연구", 지식산업사, 2009

      32 최공호, "朝鮮初期의 工藝政策과 그 理念", 美術史學硏究 194 195, 1992

      33 장경희, "燕山君朝 王室工藝品 製作 硏究", 重山 鄭德基博士 華甲紀 念韓國史學論叢, 경인문화사, 1996

      34 홍선표, "동아시아 미술의 근대와 근대성", 학고재, 2009

      35 박평식, "조선전기 대외무역과 화폐 연구", 지식산업사, 2018

      36 장경희, "조선후기 흉례도감의 장인 연구", 미술사논단8, 한국미술연 구소, 1999

      37 이수나, "해방기 정현웅의 신문소설 삽화", 한국근현대미술사학Vol.30, 2015

      38 권행가, "시대의 눈 : 한국 근현대미술가론", 학고재, 2011

      39 김일환, "朝鮮初期 軍器監의 武器製造 硏究",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40 박익수, "조선시대 영건의궤의 건축도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41 장경희, "조선왕조 왕실가례용 공예품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42 권인혁, "『조선시대 화폐유통과 사회경제』", 경인문화사, 2011

      43 서유리, "한국 근대의 잡지 표지 이미지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3

      44 최공호, "韓國 近代工藝史 硏究 : 制度와 理念",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1

      45 이수나, "무형문화유산과 인류 보편의 공공성", 陶藝硏究Vol.28, 2019

      46 박윤희, "궁중자수의 전통과 화원의 수본 제작", 아름다운 궁중자수, 2014

      47 서유리, "시대의 얼굴 : 잡지 표지로 보는 근대", 소명출판, 2016

      48 최공호, "조선 전기 경공장의 기술 통제와 분업", 미술사논단, 2018

      49 홍선표, "朝鮮後期 通信使 隨行畵員의 繪畵活動", 美術史論壇Vol.6, 1998

      50 홍선표, "17・18세기 조선의 독서문화와 문화변동", 혜안, 2007

      51 신숙, "한국 고대 보석장식 공예품과 국제교류",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6

      52 목수현, "대한제국기 국가시각상징의 연원과 변천", 미술사논단27, 2008

      53 박정혜, "궁중회화의 전통과 대한제국 황실의 회화", 대한제국의 미 술, 국립현대미술관, 2018

      54 장남원, "물질문화 관점으로 본 조선후기 玩物 陶瓷", 美術史學報39, 미술사학연구회, 2012

      55 이수나, "대한제국 황실복식의 제작기준, 견양(見樣)", 한국근현대미술사 학Vol.37, 2019

      56 이수나, "조선중기 불랑기포(佛郞機砲)의 견양(見樣)", 한국전통문화연 구Vol.28, 2021

      57 최공호, "한국 근대공예사론-산업과 예술의 기로에서", 미술문화, 2008

      58 박경자, "공납용 분청사기의 통일된 양식과 제작 배경", 미술사논단 27, 2008

      59 구혜인, "대한제국기 경운궁 선원전 禮器의 구성과 함의", 미술사학연 구, 2015

      60 조은정, "권력과 미술:대한민국 제1공화국의 권력과 미술", 아카넷, 2009

      61 공상희, "조선시대 섬마(纖麻)기술의 변천과 근대적 개량", 한국전통문화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62 이영희, "고려시대 공예기법 연구-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미술사학 보22, 미술사학연구회, 2004

      63 이경미, "일본 메이지기 문관대례복의 성립과 형태적 특징", 복식60 권 5호, 한국복식학회, 2010

      64 제지현, "1705년 금보개조도감(金寶改造都監) 제작 금보 연구", 문화 재Vol.50,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

      65 이수나, "대한민국 정부수립기-1954)의 미술교과서 삽화 연구", 이 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945

      66 신유미, "한 일 근대 공예도안 연구 : 工藝圖案集을 中心으로", 이화여 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67 홍선표, "한국 근현대미술사에서 대한제국 황실 미술의 의의", 대한제 국의 미술, 국립현대미술관, 2018

      68 손설빈, "朝鮮前期 漢陽都城 軍器寺 建物址 配置와 空間構成 硏究", 충 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69 송인희, "대한제국기 황실공예품에 나타난 이화문(李花文)의 변화", 역사와 담론No.67, 2013

      70 권행가, "신성의 공간에서 대중의 공간으로: 대한제국기 황실 사진", 대 한제국의 미술, 국립현대미술관, 2018

      71 이수나, "대한민국 정부수립기-1954)의 미술교과서 편찬배경과 삽 화", 한국근현대미술사학Vol.25, 2013, 1945

      72 김영원, "분원 관요에 대한 재론: 명칭과 설치시기의 연구사적 검토", 동양미술사학3, 2015

      73 엄승희, "일제강점기 도자사 연구 : 도자정책과 제작구조를 중심으로", 景仁文化社, 2014

      74 최공호, "식산흥업 정책과 한국 근대 공예도안-明治도안의 수용과 전 개", 근대미술연구제3호, 국립현대미술관, 2005

      75 최영성, "韓國儒學思想史 Ⅱ : 朝鮮前期篇, 朝鮮後期篇 上 下, 近 現代 篇", 아세아문화사, 1995

      76 정성미, "향제줄풍류의 변화와 지속에 관한 연구 : 무형문화유산의 전승 력과 재생산 과정",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77 정창미, "아이웨이웨이(艾未未)의 작품세계 연구 : - 중국 개념미술의 혼 종성을 중심으로 -",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78 오영인, "15세기 초반 경상도 상주목 일대 화기(花器)의 감조(監造) 배경과 견양(見樣)으로서의 의미", 문화재지Vol.52,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