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피드백의 조절역할 =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Feedbac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973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feedback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role organizational feedbac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workplace. Data were collected from 287 employees in the manufacturing firms. Results indicated that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ults also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feedback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specially, The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trengthened when organizational feedback was high than it was low.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feedback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role organizational feedbac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feedback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role organizational feedbac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workplace. Data were collected from 287 employees in the manufacturing firms. Results indicated that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ults also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feedback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specially, The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trengthened when organizational feedback was high than it was low.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개인주의와 무한경쟁의 심화로 공동체의식의 형성이 쉽지 않은 기업 상황에서 조직몰입에 대한 관심이 높다. 조직몰입은 가장 중요한 종업원 태도 가운데 하나로 여겨져 왔으며, 학계 및 기업에서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강조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피드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피드백의 조절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국내 제조업체에 근무하는 287명의 종업원들로부터 수집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는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피드백은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 간의 정(+)의 관계는 조직피드백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강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들은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하여 종업원들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경영자들은 조직차원의 피드백 제공을 통하여 내재적 동기부여를 가진 종업원들의 조직몰입 수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경영자들은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 수준이 높을 때, 조직피드백을 효과적으로 줄 때 종업원의 조직몰입 수준을 가장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번역하기

      최근 개인주의와 무한경쟁의 심화로 공동체의식의 형성이 쉽지 않은 기업 상황에서 조직몰입에 대한 관심이 높다. 조직몰입은 가장 중요한 종업원 태도 가운데 하나로 여겨져 왔으며, 학계 ...

      최근 개인주의와 무한경쟁의 심화로 공동체의식의 형성이 쉽지 않은 기업 상황에서 조직몰입에 대한 관심이 높다. 조직몰입은 가장 중요한 종업원 태도 가운데 하나로 여겨져 왔으며, 학계 및 기업에서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강조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피드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피드백의 조절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국내 제조업체에 근무하는 287명의 종업원들로부터 수집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는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피드백은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 간의 정(+)의 관계는 조직피드백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강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들은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하여 종업원들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경영자들은 조직차원의 피드백 제공을 통하여 내재적 동기부여를 가진 종업원들의 조직몰입 수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경영자들은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 수준이 높을 때, 조직피드백을 효과적으로 줄 때 종업원의 조직몰입 수준을 가장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진, "피드백과 조직유효성: 대인갈등의 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 24 (24): 2477-2497, 2011

      2 서재현, "팀 몰입을 통한 조직몰입의 발전" 한국인사조직학회 11 (11): 1-33, 2003

      3 이덕로, "상사의 유머가 부하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와 팀인적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21 (21): 29-63, 2013

      4 최병권, "목표지향성, 상사부하 교환관계, 부하 신뢰성 인식이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조직학회 19 (19): 93-142, 2011

      5 이지우, "고용형태에 따른 직무특성과 조직몰입의 관계" 한국인사조직학회 10 (10): 1-26, 2002

      6 한태영, "개인 및 팀 적응성과의 고찰:성과코칭과 피드백 환경에 의한 다수준 상동모형의 검증" 한국인사조직학회 19 (19): 1-40, 2011

      7 Hausknecht, P., "Work-unit absenteeism : Effects of satisfaction, commitment, labor market conditions, and time" 51 (51): 1223-1245, 2008

      8 Hackman, J. R., "Work redesign, Reading" Addison Wesley 1980

      9 Zhou, J., "When job dissatisfaction leads to creativity : Encouraging the expression of voice" 44 (44): 682-696, 2001

      10 Murphy, K. R., "Understanding performance appraisal: Social, organizational, and goal-based perspectives" Sage 1995

      1 김명진, "피드백과 조직유효성: 대인갈등의 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 24 (24): 2477-2497, 2011

      2 서재현, "팀 몰입을 통한 조직몰입의 발전" 한국인사조직학회 11 (11): 1-33, 2003

      3 이덕로, "상사의 유머가 부하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와 팀인적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21 (21): 29-63, 2013

      4 최병권, "목표지향성, 상사부하 교환관계, 부하 신뢰성 인식이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조직학회 19 (19): 93-142, 2011

      5 이지우, "고용형태에 따른 직무특성과 조직몰입의 관계" 한국인사조직학회 10 (10): 1-26, 2002

      6 한태영, "개인 및 팀 적응성과의 고찰:성과코칭과 피드백 환경에 의한 다수준 상동모형의 검증" 한국인사조직학회 19 (19): 1-40, 2011

      7 Hausknecht, P., "Work-unit absenteeism : Effects of satisfaction, commitment, labor market conditions, and time" 51 (51): 1223-1245, 2008

      8 Hackman, J. R., "Work redesign, Reading" Addison Wesley 1980

      9 Zhou, J., "When job dissatisfaction leads to creativity : Encouraging the expression of voice" 44 (44): 682-696, 2001

      10 Murphy, K. R., "Understanding performance appraisal: Social, organizational, and goal-based perspectives" Sage 1995

      11 Kammeyer-Mueller, J. D., "The role of temporal shifts in turnover processes : It’s about time" 90 (90): 644-658, 2005

      12 Bentein, K., "The role of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and turnover : A latent growth modeling approach" 90 (90): 468-482, 2005

      13 Dysvik, A.,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raining opportunities, work motivation and employee outcomes" 12 (12): 138-157, 2008

      14 Wright, T. A., "The moderating effects of employee ten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 A meta-analysis" 87 (87): 1183-1190, 2002

      15 Mowday, R. T.,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14 (14): 224-247, 1979

      16 Heimann, B., "The impact of formal mentorship on socialization and commitment of newcomers" 8 (8): 108-117, 1996

      17 Pfeffer, J., "Seven practices of successful organizations" 40 : 96-124, 1998

      18 Gagne´,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work motivation" 26 (26): 331-362, 2005

      19 Amabile, T. M.,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0" JAI 123-168, 1988

      20 Slocum Jr.J. W., "Principles of organizational behavior(12th ed. )" South-Western 2009

      21 Prue, D. M., "Performance feedback in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 A review" 3 (3): 1-16, 1981

      22 Wu, C. C.,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9 (9): 61-88, 2014

      23 Van Dyne, 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Construct redefinition, measurement, and validation" 37 (37): 765-802, 1994

      24 Amabile, T. M., "Motivational synergy : Toward new conceptualizations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the workplace" 3 (3): 185-201, 1993

      25 Eby, L. T., "Motivational bases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 A partial test of an integrative theoretical model" 72 (72): 463-483, 1999

      26 Hackman, J. R.,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 Test of a theory" 16 (16): 250-279, 1976

      27 Scandura, T. A., "Mentorship and career mobility : An empirical investigation" 13 (13): 169-174, 1992

      28 Donaldson, S. I., "Longitudinal examination of mentoring relationship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itizenship behavior" 26 (26): 233-249, 2000

      29 Tett, R. P.,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 A path analysis based on meta-analytic findings" 46 : 259-293, 1993

      30 London, M., "Job feedback" Lawrence Erlbaum 2003

      31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Press 1985

      32 Humphrey, S. E., "Integrating motivational, social and contextual work design features : A meta-analytic Summary and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work design literature" 92 (92): 1332-1356, 2007

      33 Kehr, H. M., "Integrating implicit motives, explicit motives, and perceived abilities : The compensatory model of work motivation and volition" 29 (29): 479-499, 2004

      34 Mathis, R. L., "Human resource management(13th ed. )" South-Western 2011

      35 Ashford, S. J., "Feedback-seeking in individual adoption : A resource perspective" 29 (29): 465-487, 1986

      36 Vallerand, R. J.,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9" Academic Press 271-360, 1997

      37 Hoffman, B. J., "Expanding the criterion domain? A quantitative review of the OCB literature" 92 (92): 555-566, 2007

      38 Mowday, R. T., "Employee-organization linkages :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Academic Press 1982

      39 Grant, A. M., "Does intrinsic motivation fuel the prosocial fire? Motivational synergy in predicting persistence,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93 (93): 48-58, 2008

      40 Yuan, F., "Differential effects of expected external evaluation on different parts of the creative idea production process and on final product creativity" 20 (20): 391-403, 2008

      41 Hackman, J. R.,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60 (60): 159-170, 1975

      42 Parker, S. K., "Designing a safer workplace : Importance of job autonomy, communication quality, and supportive supervisors" 6 (6): 211-228, 2001

      43 Amabile, T. M., "Creativity in context :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Westview Press 1996

      44 Podsakoff, P. M.,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88 (88): 879-903, 2003

      45 Freund, A.,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s predictors of turnover intentions among welfare workers" 29 (29): 5-21, 2005

      46 Thomas, K. W., "Cognitive elements of empowerment: An 'interpretative' model of intrinsic task motivation" 15 (15): 666-681, 1990

      47 Solinger, O. N., "Beyond the three-component mod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93 (93): 70-83, 2008

      48 Bass, B. M., "Bass and Stogdill's handbook of leadership(3rd ed. )" Free Press 1990

      49 Perry, J., "Anteceden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7 (7): 181-197, 1997

      50 Harrison, S. H., "An inductive study of feedback interactions over the course of creative projects" 58 (58): 375-404, 2015

      51 Tierney, P., "An examination of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 The relevance of traits and relationships" 52 (52): 591-620,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12 1.187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