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ustralias Free Trade Agreements(FTAs)  :  Implications, Assessment and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912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과 호주는 상호보완적 산업 경제구조를 지니고 있어서 지난 4반세가 동안 괄목할만한 교역증가세를 사현하였다. 한국경제의 입장에서 현재 실현가능성 점검단계에 있는 한 · 호 자유 ...

      한국과 호주는 상호보완적 산업 경제구조를 지니고 있어서 지난 4반세가 동안 괄목할만한 교역증가세를 사현하였다. 한국경제의 입장에서 현재 실현가능성 점검단계에 있는 한 · 호 자유 무역협정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려면 그 전제조건으로 호주의 자유무역협정 정책을 탐구해 보아 야할 과제에 직면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호주정부의 자유무역협정에 대한 의미, 평가
      및 정책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자유무역협정 (FTA) 확산의 세계적 추세 및 무역 과 투자의 자유화를 전제로 시장접근전략을 추구하는 호주정부로서는 FTA 의 확대추 구가 필요불가결한 명제이다. FTA확대추진의 타당성조사를 위하여 우선 호주의 기존 FTA(싱가포르, 태국, 미국)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상품, 서비스 및 투 자의 자유화 차원에서 질적으로 평가한 결과, 관세장벽의 완화 서비스 및 투자시장개 방, 자유화가 진전되었고, 둘째, 여타국들의 FTA와 포괄성 및 자유화의 정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호주의 FTA가 상대적으로 무역분야에 있어서 더욱 포괄적이고 무역, 서 비스 및 투자시장의 개방이 현저하게 달성되었으며, 셋째, FTA 체결 전과 를 비교 한 무역 彈度분석결과 FTA체결이후 조사기간 단기성 등의 요인으로 특이한 추세를 보여주지 않았으나 FTA 발효 후 기간의 경과에 따라 효과가 시현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평가에 근거한 호주의 FTA전략은 첫째, 세계무역기구 (WTO)를 중심으로 다 자간 무역체계의 무역 및 투자자유화라는 운용철학을 공유하면서 亞 · 太지역 무역 및 투자자유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PEC 에 지도적 역할을 하는 정책이 제시될 수 있 다. 둘째, 호주정부의 향후 FTA상대국 선정기준은 원칙성과 실용성의 균형을 이룬 정책방향이 바람직하다. 셋째, 시장접근전략으로는 새로운 수출 및 투자기회활용이 용 이하도록 정부는 장애요인을 제거하는 정책적 뒷받침을 해 주어야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2
      • 1. The Background of the Study 2
      • 2. The Purpose and Approach of the Study 3
      • Ⅱ. Foreign Economic Policy of Australia-Historical Perspectives 5
      • 1. Overview 5
      • Ⅰ.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2
      • 1. The Background of the Study 2
      • 2. The Purpose and Approach of the Study 3
      • Ⅱ. Foreign Economic Policy of Australia-Historical Perspectives 5
      • 1. Overview 5
      • 2. Optional Bilateralism 6
      • Ⅲ. Australia's Free Trade Agreements-Implications and Assessment 8
      • 1. Global Trends of Free Trade Agreements and Implications for Australia 8
      • 2. Assessment of Australia's FTAs 9
      • 1) Qualitative assessment 10
      • (1) Goods 10
      • (2) Services and investment 10
      • 2) Comparing Australia's FTAs with others 11
      • (1) Comprehensiveness 11
      • (2) Liberalization 12
      • 3) Changes in trade intensity 12
      • Ⅳ. Policy Directions of Australia's FTAs 14
      • 1. Building FTAs Compatible with the Multilateral Trade System 14
      • 2. Policy Directions of Australia's FTAs 16
      • 1) past criteria 16
      • 2) Future FTA benchmarks for bilateral and regional agreements 17
      • 3) Market access strategy 19
      • Ⅴ. Concluding Remarks 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