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판옵티콘 시대의 하이브리드 여성 히어로 : 「헝거게임」의 캣니스 에버딘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8460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820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Hybrid female hero in an age of panopticon : Katniss Everdeen in Hunger Games

      • 형태사항

        iii, 84 L.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인찬
        참고문헌: p. 79-81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미국 문학 중 수잔 콜린스의 『헝거 게임』3부작은 판매 부수에서『해리 포터』시리즈를 앞서며 신드롬에 가까운 인기를 얻은 작품이다. 이 작품은 청소년 문학으로 분류되지만 청소년과 성인 모두에게 폭넓은 지지를 받았으며, 디스토피아, 전쟁, 로맨스, 프로파간다, 탐정극, 서부 활극, 동화 등 다양한 장르를 망라하여 다룸으로써 탈세대, 탈장르적 성격을 띤다. 작품 자체가 지니는 혼종성은 『헝거 게임』의 주인공인 캣니스에게서도 나타난다. 본고는 캣니스가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하이브리드 영웅이라고 정의하고, 더 이상 순수주의적인 저항이 통하지 않는 판옵티콘적인 체제 안에서 어떻게 저항해야 하는지를 그녀의 행보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헝거 게임』의 배경인 파넴은 한때 노스 아메리카라 불리던 지역이 멸망한 이후에 생겨난 독재 정권으로 수도인 캐피톨과 그 지배를 받는 12개의 구역들로 이루어져 있다. 파넴은 과거 캐피톨을 상대로 구역들이 일으킨 반란에 대한 징벌로써 매년 각 구역에서 남녀 한 쌍을 뽑아서 단 한 명이 살아남을 때까지 싸우게 하는 살인 게임인 헝거 게임을 거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헝거 게임이 치러지는 아레나가 미셸 푸코의 『감시와 처벌』에서 언급된 신체형이 이루어지는 공개 처형장으로 보고, 헝거 게임의 플레이어인 청소년들의 몸을 신체형이 구현되는 공간이라고 본다. 헝거 게임은 일종의 리얼리티 쇼 프로그램으로써 파넴의 하나뿐인 TV채널을 통해 방영되며, 반드시 시청해야 한다. 헝거 게임은 이를 예능으로 즐기는 캐피톨 시민들이 정치 현안에 관심을 가지지 않도록 하고, 게임의 각 단계에서 구역민들끼리 경쟁하게 함으로써 캐피톨 정권을 강화하는 데 이바지 한다.
      또한 파넴은 캐피톨과 구역들 간의 지정학적 특성과 캐피톨이 구역민들을 관리하고 감시하는 방식에서 벤담이 제안하고 푸코가 구체화한 판옵티콘의 완벽한 은유라고 볼 수 있다. 캣니스가 영웅인 이유는 소수에 의한 다수의 감시인 판옵티콘의 시선을 시놉티콘으로 바꾸며, 캐피톨 정권을 강화하는 도구인 헝거 게임과 미디어를 역으로 이용하여 체제에 균열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또한 그녀는 사람의 죽음이 예능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일깨우며, 파넴의 국민은 물론 작품을 읽는 독자에게도 리얼리티 쇼 프로그램에 열광하는 현실을 돌아보게 한다.
      우리는 웹과 모바일 상의 모든 행동이 감시되는 IT판옵티콘의 시대에 살고 있다. 콜린스는 이처럼 미디어가 이미 우리의 일상의 전부가 되어버렸기 때문에 더 이상 모든 것을 뒤바꾸는 방식의 혁명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고 보는 듯하다. 따라서 파넴의 체제에 속하면서 체제에 저항하는 캣니스의 행보를 면밀히 살펴보는 것은 기술발전으로 인한 감시, 극심한 경쟁 등 파넴과 거울같이 닮은 시대를 맞이한 이 시점에서 한번쯤은 짚어야할 과제일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미국 문학 중 수잔 콜린스의 『헝거 게임』3부작은 판매 부수에서『해리 포터』시리즈를 앞서며 신드롬에 가까운 인기를 얻은 작품이다. 이 작품은 청소년 문학으로 분류되지만 청소...

      최근 미국 문학 중 수잔 콜린스의 『헝거 게임』3부작은 판매 부수에서『해리 포터』시리즈를 앞서며 신드롬에 가까운 인기를 얻은 작품이다. 이 작품은 청소년 문학으로 분류되지만 청소년과 성인 모두에게 폭넓은 지지를 받았으며, 디스토피아, 전쟁, 로맨스, 프로파간다, 탐정극, 서부 활극, 동화 등 다양한 장르를 망라하여 다룸으로써 탈세대, 탈장르적 성격을 띤다. 작품 자체가 지니는 혼종성은 『헝거 게임』의 주인공인 캣니스에게서도 나타난다. 본고는 캣니스가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하이브리드 영웅이라고 정의하고, 더 이상 순수주의적인 저항이 통하지 않는 판옵티콘적인 체제 안에서 어떻게 저항해야 하는지를 그녀의 행보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헝거 게임』의 배경인 파넴은 한때 노스 아메리카라 불리던 지역이 멸망한 이후에 생겨난 독재 정권으로 수도인 캐피톨과 그 지배를 받는 12개의 구역들로 이루어져 있다. 파넴은 과거 캐피톨을 상대로 구역들이 일으킨 반란에 대한 징벌로써 매년 각 구역에서 남녀 한 쌍을 뽑아서 단 한 명이 살아남을 때까지 싸우게 하는 살인 게임인 헝거 게임을 거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헝거 게임이 치러지는 아레나가 미셸 푸코의 『감시와 처벌』에서 언급된 신체형이 이루어지는 공개 처형장으로 보고, 헝거 게임의 플레이어인 청소년들의 몸을 신체형이 구현되는 공간이라고 본다. 헝거 게임은 일종의 리얼리티 쇼 프로그램으로써 파넴의 하나뿐인 TV채널을 통해 방영되며, 반드시 시청해야 한다. 헝거 게임은 이를 예능으로 즐기는 캐피톨 시민들이 정치 현안에 관심을 가지지 않도록 하고, 게임의 각 단계에서 구역민들끼리 경쟁하게 함으로써 캐피톨 정권을 강화하는 데 이바지 한다.
      또한 파넴은 캐피톨과 구역들 간의 지정학적 특성과 캐피톨이 구역민들을 관리하고 감시하는 방식에서 벤담이 제안하고 푸코가 구체화한 판옵티콘의 완벽한 은유라고 볼 수 있다. 캣니스가 영웅인 이유는 소수에 의한 다수의 감시인 판옵티콘의 시선을 시놉티콘으로 바꾸며, 캐피톨 정권을 강화하는 도구인 헝거 게임과 미디어를 역으로 이용하여 체제에 균열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또한 그녀는 사람의 죽음이 예능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일깨우며, 파넴의 국민은 물론 작품을 읽는 독자에게도 리얼리티 쇼 프로그램에 열광하는 현실을 돌아보게 한다.
      우리는 웹과 모바일 상의 모든 행동이 감시되는 IT판옵티콘의 시대에 살고 있다. 콜린스는 이처럼 미디어가 이미 우리의 일상의 전부가 되어버렸기 때문에 더 이상 모든 것을 뒤바꾸는 방식의 혁명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고 보는 듯하다. 따라서 파넴의 체제에 속하면서 체제에 저항하는 캣니스의 행보를 면밀히 살펴보는 것은 기술발전으로 인한 감시, 극심한 경쟁 등 파넴과 거울같이 닮은 시대를 맞이한 이 시점에서 한번쯤은 짚어야할 과제일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uzanne Collins's The Hunger Games trilogy has overtaken the sales of the Harry Potter series and proved its sensational popularity. Though The Hunger Games is classified as young adult literature, it appealed to both teenagers and adult readers. Moreover, it includes multiple sub genres, such as “dystopia,”
      “war,” “romance,” “propaganda,” “detective,” “western,” and “fairy tale.” This multiplicity of literary genres makes the novel a hybrid. Interestingly, Katniss Everdeen, the female hero of this novel, also has the quality of hybrid. She is a hybrid hero who corresponds to this age of panopticon. By tracing out Katniss Everdeen, this study tries to examine how one can relate to the modern society and its system that operates on the panoptical mechanism.
      The Hunger Games happens in Panem once called North
      America. Panem is a totalitarian country that consists of Capitol and twelve districts. As a punishment for and a reminder of the rebellion by the ancestors of the districts, the hunger game is held every year. Each of the twelve districts must provide one girl and one boy to participate in the hunger games. The participants of the hunger games have to fight to the death till only one person remains.
      This thesis analyses the arena in which the hunger games take place in terms of Michel Foucault's Discipline and Punish: The Birth of the Prison. The arena plays a role of an execution ground especially for teenagers. Through the only television channel of Panem, the hunger games are aired. Moreover it is compulsory to watch the hunger games. The games have a double purpose. On the one hand, they entertain the crowd in the Capitol and help to forget any political issue. Secondly, the games play a role of forcing the district people to compete with one another. All in all, the games serve to enhance Capitol's power.
      Moreover, due to the geographical attribute as well as the way of control, Panem is a perfect metaphor of panopticon. Panopticon is suggested by Jeremy Bentham, and developed by Foucault. Katniss tries to change panopticon into synopticon. Although the hunger games are political tool for the Capitol, Katniss uses them to make a leak in the Capitol system. Moreover, she cherishes the significance of real people's precious life which should not be treated as a mere entertainment. Through her resistance, not only
      the people of Panem but also the readers would critically reflect on their enthusiasm over reality show programs.
      These days we live in the age of IT panopticon in which the every footprint of web and mobile is under surveillance. Collins seems to assume that the past revolution which turns over the world is no longer valid. It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media has become our daily life itself. In this respect, scrutinizing the way Katniss reacts to the system is truly important for modern men whose world resembles Panem and panopticon system in many aspects.
      번역하기

      Suzanne Collins's The Hunger Games trilogy has overtaken the sales of the Harry Potter series and proved its sensational popularity. Though The Hunger Games is classified as young adult literature, it appealed to both teenagers and adult readers. More...

      Suzanne Collins's The Hunger Games trilogy has overtaken the sales of the Harry Potter series and proved its sensational popularity. Though The Hunger Games is classified as young adult literature, it appealed to both teenagers and adult readers. Moreover, it includes multiple sub genres, such as “dystopia,”
      “war,” “romance,” “propaganda,” “detective,” “western,” and “fairy tale.” This multiplicity of literary genres makes the novel a hybrid. Interestingly, Katniss Everdeen, the female hero of this novel, also has the quality of hybrid. She is a hybrid hero who corresponds to this age of panopticon. By tracing out Katniss Everdeen, this study tries to examine how one can relate to the modern society and its system that operates on the panoptical mechanism.
      The Hunger Games happens in Panem once called North
      America. Panem is a totalitarian country that consists of Capitol and twelve districts. As a punishment for and a reminder of the rebellion by the ancestors of the districts, the hunger game is held every year. Each of the twelve districts must provide one girl and one boy to participate in the hunger games. The participants of the hunger games have to fight to the death till only one person remains.
      This thesis analyses the arena in which the hunger games take place in terms of Michel Foucault's Discipline and Punish: The Birth of the Prison. The arena plays a role of an execution ground especially for teenagers. Through the only television channel of Panem, the hunger games are aired. Moreover it is compulsory to watch the hunger games. The games have a double purpose. On the one hand, they entertain the crowd in the Capitol and help to forget any political issue. Secondly, the games play a role of forcing the district people to compete with one another. All in all, the games serve to enhance Capitol's power.
      Moreover, due to the geographical attribute as well as the way of control, Panem is a perfect metaphor of panopticon. Panopticon is suggested by Jeremy Bentham, and developed by Foucault. Katniss tries to change panopticon into synopticon. Although the hunger games are political tool for the Capitol, Katniss uses them to make a leak in the Capitol system. Moreover, she cherishes the significance of real people's precious life which should not be treated as a mere entertainment. Through her resistance, not only
      the people of Panem but also the readers would critically reflect on their enthusiasm over reality show programs.
      These days we live in the age of IT panopticon in which the every footprint of web and mobile is under surveillance. Collins seems to assume that the past revolution which turns over the world is no longer valid. It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media has become our daily life itself. In this respect, scrutinizing the way Katniss reacts to the system is truly important for modern men whose world resembles Panem and panopticon system in many asp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Ⅱ. 권력 유지의 수단으로서 헝거 게임이 갖는 정치성 = 11
      • 1. 처형장과 고문소로서의 아레나 = 12
      • 2. 진짜 적이 누군지 기억 못 하게 하라 = 23
      • Ⅲ. 파넴과 판옵티콘 = 30
      • Ⅰ. 서론 = 1
      • Ⅱ. 권력 유지의 수단으로서 헝거 게임이 갖는 정치성 = 11
      • 1. 처형장과 고문소로서의 아레나 = 12
      • 2. 진짜 적이 누군지 기억 못 하게 하라 = 23
      • Ⅲ. 파넴과 판옵티콘 = 30
      • 1. 판옵티콘의 완벽한 은유, 파넴 = 30
      • 2. 권력의 시선이 내재화된 초기의 캣니스 에버딘 = 41
      • Ⅳ. 하이브리드 여성 히어로로서의 캣니스의 정체성 = 53
      • 1. 테세우스의 미래형 버전: 미디어라는 미로에서 탈출하기 = 53
      • 2. 여성 히어로로서의 캣니스, 위장된 저항인가 한계인가 = 71
      • Ⅴ. 결론 =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