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아동 어머니가 겪는 편견 및 차별경험 극복과정 = The Process of Overcom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Mothers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31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overcom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mothers with disabilities and looks for improvement points. It is interviewed 9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were experiencing prejudice and discrim...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overcom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mothers with disabilities and looks for improvement points. It is interviewed 9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were experienc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while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18 and one by on one in depth interview by using semi -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was done through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he result of CQR while it is a experiencing the process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s well as coping the raising disabled children.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of mothers with disabilities' and 'overcoming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mothers with disabilities' were derived. And the seven sub-regions, 28 categories, were finally constr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mothers with disabilities in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view of looking 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mparing to those of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seems that they want to treat the disabled child as the general child with an attitude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 disabled child rather than looking at the disabled child with wrong perception, prejudice, stereotypes and rejection. Secondly,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the mother of the disabled child is strengthening the cohesion and cohesion within the family in the process of accepting and coping with the disability family of the child with disabilities even if they raise the child with disability and have difficulties such as recognition bias and discrimination of the general public.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mother's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child with disability and the disabled child's healthy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가 겪는 편견 및 차별경험 극복과정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아동을 양육하면서 편견 및 차별경험을 겪고 있는 장애아동 어머니 9명...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가 겪는 편견 및 차별경험 극복과정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아동을 양육하면서 편견 및 차별경험을 겪고 있는 장애아동 어머니 9명을 선정하여 인터뷰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10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었으며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일대일 심층 면담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수집한 자료를 근거로 현상을 기술하고 결론을 도출하는 귀납적 접근 방식인 합의적 질적 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 CQR)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CQR 은 연구자들을 포함한 3명이상의 평정 자와 감사자로 구성된 합의 팀을 통해 연구의 전 과정에서 결과를 합의적으로 추론하게 되어 있어 연구자의 주관적인 오류를 방지하여 객관성과 일반화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장애아동을 양육하면서 편견 및 차별경험과 극복과정을 CQR 분석한 결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편견 및 차별 경험’, ‘장애아동 어머니의 차별 경험의 극복’ 2개의 영역을 도출되었고, 그에 따른 7개의 하위영역, 28개 의 범주로 최종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어머니가 장애아를 양육하면서 겪는 편견 및 차별경험은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을 비교하고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이다. 잘못된 지각, 편견, 고정관념, 거부감으로 장애아동을 바라보기 보다는 장애아동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로 장애아동으로 대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아동 어머니가 겪는 차별경험의 극복과정은 장애아동을 양육하면서 자신의 대한 인식의 심화 및 심리적 성장을 통해 타인에 대한 깊은 이해와 수용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제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문제 상황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이 생기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내적 성장은 사회구성원의 편견 및 차별 등에 어려움을 겪더라도 가족 내의 결속력과 응집력이 강화되는 동기로 작동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장애아동 어머니 심리적 안녕 과 장애아동이 사회구성원으로서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화, "초심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교육 필요성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73-594, 2017

      2 김미애, "집단미술치료가 농촌주부의 결혼만족도와 부부갈등해결방식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6

      3 김진옥, "중·노년층 여성 초심상담자의상담과 학업스트레스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8 (18): 573-586, 2018

      4 서명석, "장애인 형제의 사회적응에 관한 가족탄력성 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5

      5 김지숙,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및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6 권진아,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7 박아영, "장애아동 어머니의 가족기능과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공주교육대학원 2015

      8 최미숙, "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적 경험과 상담요구에 대한 질적연구 : 부와 모의 차이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2

      9 오세철, "장애아동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 및 만족에 미치는 관련 변인 분석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8 : 15-29, 2006

      10 장민경, "장애아가족 어머니의 장애아 차별 경험극복과정에 관한 질적 분석: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6

      1 김명화, "초심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교육 필요성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73-594, 2017

      2 김미애, "집단미술치료가 농촌주부의 결혼만족도와 부부갈등해결방식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6

      3 김진옥, "중·노년층 여성 초심상담자의상담과 학업스트레스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8 (18): 573-586, 2018

      4 서명석, "장애인 형제의 사회적응에 관한 가족탄력성 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5

      5 김지숙,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및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6 권진아,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7 박아영, "장애아동 어머니의 가족기능과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공주교육대학원 2015

      8 최미숙, "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적 경험과 상담요구에 대한 질적연구 : 부와 모의 차이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2

      9 오세철, "장애아동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 및 만족에 미치는 관련 변인 분석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8 : 15-29, 2006

      10 장민경, "장애아가족 어머니의 장애아 차별 경험극복과정에 관한 질적 분석: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6

      11 이종신, "장애아 어머니의 역할행동 연구: 내외통제성, 심리적 안녕감, 우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5-24, 2010

      12 김미혜, "장애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대처자원 척도 개발" 한국재활심리학회 24 (24): 49-75, 2017

      13 김미진, "장애아 어머니의 삶 : 동일시로부터 분리된 존재의 자유로움"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4

      14 윤종희, "장애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가족 기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탐색"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149-163, 2006

      15 박능후, "장애 출 현율, 장애인구 추정, 장애인(가구)의 생활실태, 복지욕구, 건강상태 실태조사" 2017

      16 박혜정, "자폐 스펙트럼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행동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22 (22): 69-88, 2017

      17 최정아, "일반아동 부모와 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적 안녕감 비교"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0

      18 박지연, "부모연계 격려집단상담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9 이경학, "발달장애인 부모의 양육부담이 심리적안녕에 미치는 영향: 거주시설 이용만족도의 매개 효과 검증" 평택대학교 대학원 2017

      20 박은희,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21 이진옥,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 감에대한 대상관계 집단미술 치료사례 연구" 대구사이버대학교 휴먼케어대학원 2017

      22 윤영희,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삶의 질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23 신현정, "발달장애아 어머니 양육체험의 교육적 가능성" 한국자폐학회 15 (15): 179-202, 2015

      24 김영아, "미술치료를 활용한 지지격력 프로그램이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장애수용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25 이은혜, "대학생의 장애인 접촉 경험이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통대학교대학원 2015

      26 김계숙, "가족탄력성이 장애아동 가족의 가족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13

      27 안주선, "가족탄력성에 기반한 집단프로그램이 장애아동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28 D. R, Hawley, "Towaed a Definition of Family Resilience: Integration Life-Span and Family Perspective" 35 : 284-287, 1996

      29 C. Telford, "The exceptional individual" Prentice-Hall 1981

      30 S. Searl, "Stages of parent reaction" 8 : 27-29, 1978

      31 N. Stinett, "Secrets of strong families" Little, Brown 1986

      32 M. N. Bristol, "Mother and father of young developmentally" 24 (24): 189-200, 1988

      33 J. Park, "Impact of Poverty on quality of Life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68 (68): 151-170, 2002

      34 R. L. Silver, "Human helplessness: Theory and application" New york academic press 1980

      35 J. M. Patterson, "Family Resilience to the Challenge of a Child’s Disability" 20 : 492-, 1991

      36 J. M. Patterson, "Family Resilience to the Challenge of a Chid’s Disability" 20 : 492-, 1976

      37 D. O’shea, "Families and teacher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ollaborative orientations and responsive practices" Allyn & Bacon 2001

      38 J. Friendland, "Disability and Depression; Some Etiological Consideration" 34 : 1989

      39 C. E, Hill,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load" 52 : 196-205, 2005

      40 P. J. Beckman, "Comparisons of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the effect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95 (95): 585-595, 1991

      41 D. R. Hawley, "Clinical Implication of Family Resilience" 28 : 102-103, 2000

      42 D. R. Hawley, "Clinical Implication of Family Resilience" 28 : 102-103, 1996

      43 L. McAndrow, "Children with handicap and their families"

      44 F. Walsh, "A Family Resilience Framework:Innovative Practice Application" 51 : 12-130,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