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부 보건소 모자보건실 연계 비외과적 치주처치 중심의 치위생관리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 Case study on Dental Hygiene Care Program with the Focus on Non-surgical Periodontal Treatments with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Cen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31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targeting pregnant women in the trial operation of dental hygiene care program with the focus on non-surgical periodontal treatments at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center in the public health center. This study was c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targeting pregnant women in the trial operation of dental hygiene care program with the focus on non-surgical periodontal treatments at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center in the public health cent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dental hygienists who operate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s by targeting pregnant women of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 evaluation on structure, the assessment process and results from the pilot program at the public health center. The targets are nine pregnant women who have been involved in the Dental hygiene care program three times. An evaluation on the structure, process and results according to the Indicators of each program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dental hygiene care program found that the retention rate decreased. The retention of the probing pocket depth larger than 4mm was 40.4% to 14.0%(p<0.05). The retention rate of the gingival bleeding teeth was 4.6% to 2.7% (p=0.180). PHP Index improved. 1.7 points in the 1st to 1.4 points in the 3rd in the case of the second pregnant woman and 2.4 points in the 1st to 1.3 points (p<0.05) in the 3rd in the case of the third pregnant woman. The applicable and expandable possibility of the dental hygiene care program with the focus on non-surgical periodontal treatments at the Community Health Center is significant in the result of this study. In the future, long-term operation and ongoing monitoring of this program is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천시보건소 모자보건실을 이용하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비외과적 치주처치 중심의 치위생관리 프로그램을 시범운영하고, 시범운영의 구조평가, 과정평가, 결과평가를 통하여 ...

      본 연구는 제천시보건소 모자보건실을 이용하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비외과적 치주처치 중심의 치위생관리 프로그램을 시범운영하고, 시범운영의 구조평가, 과정평가, 결과평가를 통하여 보건소에서 치과위생사가 지역사회 임산부를 대상으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총 3회의 치위생관리 프로그램에 모두 참여한 9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위생관리 프로그램 결과 4mm 이상 치주낭 보유율은 40.4%에서 14.0%로(p<0.05), 치은출혈 치아 보유율은 4.6%에서 2.7%로(p=0.180), 치석형성 치아 보유율은 23.7%에서 0%로(p<0.05) 감소하였다. PHP Index(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는 2기 임산부의 경우 1차 1.7점에서 3차 1.4점으로 개선되었고, 3기 임산부의 경우 1차 2.4점에서 1.3점으로 개선되었다(p<0.05). 본 연구 결과 비외과적 치주처치 중심의 치위생관리 프로그램을 보건소 구강보건실에서 적용 및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본 프로그램의 장기적인 운영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용금, "회전법과 바스법의 잇솔질 수행요소별 적절성과 난이도인식 및 치면세균막지수의 연관성"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33 (33): 192-200, 2009

      2 장기완, "전문가잇솔질에 의한 치면세균막관리" 39 (39): 443-449, 2001

      3 이동익, "임신과 구강건강상태 및 뮤탄스 균주의 분포"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30 (30): 163-173, 2006

      4 김미정, "임산부의 주관적 구강건강사정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 10 (10): 323-334, 2010

      5 박지현, "임산부의 임신 전과 임신 중의 구강건강관리 행태 비교" 한국치위생과학회 11 (11): 273-278, 2011

      6 장경애, "임산부의 구강보건관리 실태와구강보건지식에 관한 연구" 14 (14): 55-63, 2008

      7 김진수, "일부지역 임산부의 구강위생실태에 관한 연구" 6 (6): 101-105, 2006

      8 이가연, "일부지역 임산부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치위생학회 9 (9): 1-14, 2009

      9 유상희, "일부 보건소 고혈압·당뇨관리교실 연계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운영 및 평가: 논리적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치위생과학회 16 (16): 293-301, 2016

      10 정세환, "생애주기별 구강보건사업 발전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07

      1 최용금, "회전법과 바스법의 잇솔질 수행요소별 적절성과 난이도인식 및 치면세균막지수의 연관성"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33 (33): 192-200, 2009

      2 장기완, "전문가잇솔질에 의한 치면세균막관리" 39 (39): 443-449, 2001

      3 이동익, "임신과 구강건강상태 및 뮤탄스 균주의 분포"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30 (30): 163-173, 2006

      4 김미정, "임산부의 주관적 구강건강사정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 10 (10): 323-334, 2010

      5 박지현, "임산부의 임신 전과 임신 중의 구강건강관리 행태 비교" 한국치위생과학회 11 (11): 273-278, 2011

      6 장경애, "임산부의 구강보건관리 실태와구강보건지식에 관한 연구" 14 (14): 55-63, 2008

      7 김진수, "일부지역 임산부의 구강위생실태에 관한 연구" 6 (6): 101-105, 2006

      8 이가연, "일부지역 임산부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치위생학회 9 (9): 1-14, 2009

      9 유상희, "일부 보건소 고혈압·당뇨관리교실 연계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운영 및 평가: 논리적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치위생과학회 16 (16): 293-301, 2016

      10 정세환, "생애주기별 구강보건사업 발전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07

      11 이주열, "보건소 통합건강증진사업의 발전 방향"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0 (30): 1-7, 2013

      12 조문미, "노인에서 전문가잇솔질과 치간잇솔 사용교육의 치주건강증진 효과"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37 (37): 132-140, 2013

      13 "http://www.khealth.or.kr/kps/publish/view?men uId=MENU00888&page_no=B2017003&board_id x=7814"

      14 권호근, "Primary preventive dentistry" 대한나래출판사 2006

      15 S. Offenbacher, "Periodontal infection as a possible risk factor for preterm low birth weight" 67 (67): 1103-1113, 1996

      16 H. Loe, "Periodontal disease in pregnancy revalence and severity" 21 (21): 533-551, 1963

      17 H. Silk, "Oral health during pregnancy" 77 (77): 1139-1144, 2008

      18 T. Watanabe, "Nukuna kezuruna kiruna tsumayojiho de ha mo karada mo kenko" 대한나래출판사 2011

      19 S. Amar, "Influence of hormonal variation on the periodontium in women" 6 (6): 79-87, 1994

      20 M. L. Darby,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e" Saunders Elsevier 2015

      21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A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Position Paper" ADHA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