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오규 소라이와 다자이 슌다이의 논어 주석 -『논어징』에서 『논어고훈』, 『논어고훈외전』으로 = the Analects of Confucius annotation of Ogyu sorai and Dazai Shundai -from 『Noneojin』 to 『Noneogohun』 and 『Noneogohunwej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306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규 소라이(荻生徂徠, 1666~1728)의 경학과 경세학을 계승한 다자이 슌다이(太宰春台, 1680~1747)는 소라이의 고문사학에 반드시 긍정적이지는 않았으며 비판적인 견해까지 보여주고 있다. 그러한 가장 큰 이유는 단순하게 古人의 문장을 모방하고 표절하는 것으로 古文辭를 습득할 수 있다고 여긴 명대 고문사파를 그대로 흉내 낸다는 점에 있었다. 슌다이가 집중적으로 심혈을 기울인 것은 소라이가 경서고증에서 노출된 미비함을 최대한 보완하려는 점이었으며 그러한 노력이 소라이보다 더욱 철저한 고증적 양상을 띠게 만들었다. 여기에 슌다이의 독자적인 경학관, 다시 말하면 슌다이만의 ``고문사학적 방법``이 존재한다. 그러한 고증적 작업은 시서고전에 잘 투영되어 있으며 슌다이만의 주석 방법으로 경서를 주해한 것이 논어고훈과 논어고훈외전이다. 이렇게 보면 소라이의 고문사학지는 슌다이에 계승되면서 슌다이의 수정을 거쳐 한층 완결된 형태의 ``고문사학``으로 확립되어 갔다고 할 수 있다. 슌다이에 의한 고문사학의 완성은 성장해오는 ``반소라이학(反徂徠學)에 대응``이라는 측면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슌다이는 반소라이학으로부터 소라이학을 지키면서 소라이학의 새로운 전환을 모색한 것으로 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면에서 소라이학지가 일본사상사에서 끼친 파장을 볼 수 있다.
      번역하기

      오규 소라이(荻生徂徠, 1666~1728)의 경학과 경세학을 계승한 다자이 슌다이(太宰春台, 1680~1747)는 소라이의 고문사학에 반드시 긍정적이지는 않았으며 비판적인 견해까지 보여주고 있다. 그러...

      오규 소라이(荻生徂徠, 1666~1728)의 경학과 경세학을 계승한 다자이 슌다이(太宰春台, 1680~1747)는 소라이의 고문사학에 반드시 긍정적이지는 않았으며 비판적인 견해까지 보여주고 있다. 그러한 가장 큰 이유는 단순하게 古人의 문장을 모방하고 표절하는 것으로 古文辭를 습득할 수 있다고 여긴 명대 고문사파를 그대로 흉내 낸다는 점에 있었다. 슌다이가 집중적으로 심혈을 기울인 것은 소라이가 경서고증에서 노출된 미비함을 최대한 보완하려는 점이었으며 그러한 노력이 소라이보다 더욱 철저한 고증적 양상을 띠게 만들었다. 여기에 슌다이의 독자적인 경학관, 다시 말하면 슌다이만의 ``고문사학적 방법``이 존재한다. 그러한 고증적 작업은 시서고전에 잘 투영되어 있으며 슌다이만의 주석 방법으로 경서를 주해한 것이 논어고훈과 논어고훈외전이다. 이렇게 보면 소라이의 고문사학지는 슌다이에 계승되면서 슌다이의 수정을 거쳐 한층 완결된 형태의 ``고문사학``으로 확립되어 갔다고 할 수 있다. 슌다이에 의한 고문사학의 완성은 성장해오는 ``반소라이학(反徂徠學)에 대응``이라는 측면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슌다이는 반소라이학으로부터 소라이학을 지키면서 소라이학의 새로운 전환을 모색한 것으로 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면에서 소라이학지가 일본사상사에서 끼친 파장을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zai Shundai(太宰春台, 1680~1747) succeeding to Sorai`s Studies on Confucian Classics and Social Thoughts is not favorable to Sorai`s Komunsahak(古文辭學) and even shows critical views. It is mainly because he thought Komunsahak simmply imitated Komunsapa(古文辭派) in the Ming Dynasty that believed Komunsa(古文辭) could be learned through imitating and plagiarizing the sentences of the ancients. Shundai has focused on supplementing the inadequacy unveiled through studying the historical evidence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his efforts to do so made him focus more on historical research than Sorai. In addition to this, there exists Shundai`s unique views on the Confucian classics, that is Shundai`s unique approach in the aspect of Komunsahak. The completion of Komunsahak by Dazai Shundai partially owes to correspondence to Bansoraihak(反徂徠學). Shundai protected Soraihak from Bansoraihak and, at the same time, sought after the new turn of Soraihak. In this regard, Soraihakji(徂徠學知) has greatly influenced over Japanese Intellectual History in that Sorai`s Komunsahakji(古文辭學知) has passed down to Shundai and has been established as more complete Komunsahak through Shundai`s amendment.
      번역하기

      Dazai Shundai(太宰春台, 1680~1747) succeeding to Sorai`s Studies on Confucian Classics and Social Thoughts is not favorable to Sorai`s Komunsahak(古文辭學) and even shows critical views. It is mainly because he thought Komunsahak simmply imita...

      Dazai Shundai(太宰春台, 1680~1747) succeeding to Sorai`s Studies on Confucian Classics and Social Thoughts is not favorable to Sorai`s Komunsahak(古文辭學) and even shows critical views. It is mainly because he thought Komunsahak simmply imitated Komunsapa(古文辭派) in the Ming Dynasty that believed Komunsa(古文辭) could be learned through imitating and plagiarizing the sentences of the ancients. Shundai has focused on supplementing the inadequacy unveiled through studying the historical evidence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his efforts to do so made him focus more on historical research than Sorai. In addition to this, there exists Shundai`s unique views on the Confucian classics, that is Shundai`s unique approach in the aspect of Komunsahak. The completion of Komunsahak by Dazai Shundai partially owes to correspondence to Bansoraihak(反徂徠學). Shundai protected Soraihak from Bansoraihak and, at the same time, sought after the new turn of Soraihak. In this regard, Soraihakji(徂徠學知) has greatly influenced over Japanese Intellectual History in that Sorai`s Komunsahakji(古文辭學知) has passed down to Shundai and has been established as more complete Komunsahak through Shundai`s amend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원,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의 고문사학(古文辞學)" 한국일본사상사학회 16 (16): 127-151, 2009

      2 이기원, "다자이 슌다이(太宰春台)의 훈독을 통해서 본 소라이학파(徂徠學派)의 언어관" 일본연구소 0 (0): 33-54, 2009

      3 "論語集註大全, In 사고전서" 문연각

      4 荻生徂徠, "論語徴, In 荻生徂徠全集" みすず書房 1977

      5 太宰春台, "論語古訓外傳"

      6 太宰春台, "論語古訓, In 嵩山房"

      7 伊藤仁斎, "論語古義, In 日本名家四書註釈全書" 東洋圖書刊行會 1925

      8 太宰春台, "詩書古傳"

      9 中村春作, "荻生徂徠の方法" 大阪大學 5 : 1986

      10 荻生徂徠, "經子史要覧, In 荻生徂徠全集" みすず書房 1973

      1 이기원,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의 고문사학(古文辞學)" 한국일본사상사학회 16 (16): 127-151, 2009

      2 이기원, "다자이 슌다이(太宰春台)의 훈독을 통해서 본 소라이학파(徂徠學派)의 언어관" 일본연구소 0 (0): 33-54, 2009

      3 "論語集註大全, In 사고전서" 문연각

      4 荻生徂徠, "論語徴, In 荻生徂徠全集" みすず書房 1977

      5 太宰春台, "論語古訓外傳"

      6 太宰春台, "論語古訓, In 嵩山房"

      7 伊藤仁斎, "論語古義, In 日本名家四書註釈全書" 東洋圖書刊行會 1925

      8 太宰春台, "詩書古傳"

      9 中村春作, "荻生徂徠の方法" 大阪大學 5 : 1986

      10 荻生徂徠, "經子史要覧, In 荻生徂徠全集" みすず書房 1973

      11 太宰春台, "紫芝園漫筆"

      12 太宰春台, "春台先生紫芝園稿後稿, In 近世儒家文集集成" ぺりかん社 1986

      13 太宰春台, "文論․詩論"

      14 湯浅元禎, "文會雑記, In 日本随筆大成" 吉川弘文館 1975

      15 吉川幸次郎, "徂徠學案, In 日本思想大系" 岩波書店 1972

      16 이기원, "徂徠學と朝鮮儒學" ぺりかん社 2011

      17 小島康敬, "徂徠學と反徂徠學" ぺりかん社 1994

      18 荻生徂徠, "弁道, 學則, In 日本思想大系" 岩波書店 1973

      19 白石真子, "太宰春台の詩文論" 笠間書院 2012

      20 尾藤正英, "太宰春台の人と思想, In 日本思想大系" 岩波書店 1972

      21 白石真子, "太宰春台と荻生徂徠の「古言」「古語」― 論語古訓外傳 と 論語徴" 漢文學研究會 3 : 2000

      22 채청, "四書蒙引, In 사고전서" 문연각

      23 服部南郭, "南郭先生文集, In 近世儒家文集集" ぺりかん社 1985

      24 太宰春台, "六經略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8-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DAEDONG MUNHWA YEON'GU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6-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Institute of Eastern Studies ->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5 1.77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