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에서는 중국 중소제조업 종업원들의 고용형태가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가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관점에 기초해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종업원들이 고용불안정성 및 이직의도에 있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32226
전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인사·조직 전공) , 2018. 2
2018
한국어
Employment types ; job insecurity ; turnover intention ; social support ; 고용형태 ; 고용불안정성 ; 사회적 지원 ; 이직의도
전북특별자치도
The Effect of Employment Types on Job Insecurity and Turnover Intention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vii, 77 p.: 표; 26 cm
부록: 1. 問卷調查 -- 2. 설문지
전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채준호
참고문헌 : p. 55-6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에서는 중국 중소제조업 종업원들의 고용형태가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가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관점에 기초해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종업원들이 고용불안정성 및 이직의도에 있어...
연구에서는 중국 중소제조업 종업원들의 고용형태가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가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관점에 기초해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종업원들이 고용불안정성 및 이직의도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실증분석 하였다.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 그리고 이들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 고용형태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고용불안전성의 매개효과를 또한 분석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해 중국 하남성의 중소제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270부의 설문을 배포하여 243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이를 중 결측치가 많은 설문 등 30부를 제외하여 213부의 설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교환이론에 기초한 예측과 같이 비정규직 직원들은 정규직 직원들보다 고용불안정성 및 이직의도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용불안정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용형태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서 고용불안정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적 지원의 하위요인인 상사지원의 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동료지원은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제조업의 비정규직과 고용불안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