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설화를 활용한 40대 기혼여성 자살고위험군 상담사례 연구 -부정적 모성대물림으로 배우자와의 갈등을 보이는 사례자를 대상으로- = A Case Study on the High-Risk Group of Suicide of Married Women in Their 40’s Using Folktales: For Those Who Show Conflict with Their Spouses Due to Negative Maternal Herit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818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부갈등으로 가정폭력과 자살충동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40대 기혼여성 수선의 인간관계 맺기 방식을 문학치료 프로그램과 ‘나만의 책 쓰기’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선...

      본 연구는 부부갈등으로 가정폭력과 자살충동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40대 기혼여성 수선의 인간관계 맺기 방식을 문학치료 프로그램과 ‘나만의 책 쓰기’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선의 인간관계 내에서 자기서사의 문제점을 진단하여 자기이해를 함으로써 다양한 가능성을 가지고 삶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구비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내 복에 산다>, <효불효 다리>, <콩쥐와 팥쥐>, <정승 딸을 만나 목숨 구한 총각>, <지네각시>를 통하여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이는 1. 설화구연을 통한 감상과 설화 이어 쓰기를 통한 1차 작품이해, 2. 전체 작품 감상과 관련된 질문을 통한 2차 작품 이해, 3. 설화 다시 쓰기 및 나만의 책 쓰기를 통한 변화양상 확인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설계를 기반으로 진행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서 40대 기혼여성 수선은 이어 쓰기, 원작과의 비교, 다시 쓰기, 나만의 책 쓰기를 통해 부정적 모성대물림을 받은 자기이해를 하게 되었고 남편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이해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먼저 수선 자신을 객관화해서 바라볼 수 있었고 자기의 남편에 대한 집착의 근원이 자신의 부모와의 관계에서 비롯되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수선 스스로 남편에게 집착하는 관계 맺기 방식을 인식하고 남편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이해하고 소통하고자 노력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lves in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Susun (assumed name), a married woman in her 40’s who used literary therapy and writing as a response to suffering from domestic violence and suicidal ideation. These programs aim at making S...

      This study delves in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Susun (assumed name), a married woman in her 40’s who used literary therapy and writing as a response to suffering from domestic violence and suicidal ideation. These programs aim at making Susun search for different meanings in her life through self-cognition, followed by revealing her problems in her narrativ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literary therapy program includes the following literature: Korean folktales, The Sun and the Moon, My Own Fortune, Bridge and Mother, Kongjwipatjwijeon, and The Daughters of Three Ministers, Jinegaksi. The program has three main goals and they are to demonstrate a basic understanding of assigned stories by reciting tales and writing sequels, to show a secondary understanding by appreciating whole stories and by questioning their detailed meanings, and to identify Susun’s changes by analyzing her rewriting of tales and by putting her own writings into a book. Upon completion of the literary therapy program, Susun finds that she inherited negative maternity attitudes from her mother and she can accept her husband as he is.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through the literary therapy program, Susun understands and recognizes that she distances herself from her husband which stems from her relationship with her parents. After reaching self-cognition, Susun tries to see her husband as he is and learns to accept and communicate with him bet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내담자의 문제상황을 기반으로 한 설화 선정 및 문학치료 프로그램 설계 Ⅲ. 설화를 통해 본 수선의 자기서사 진단 및 변화 양상 Ⅳ. 결 론
      • Ⅰ. 서 론 Ⅱ. 내담자의 문제상황을 기반으로 한 설화 선정 및 문학치료 프로그램 설계 Ⅲ. 설화를 통해 본 수선의 자기서사 진단 및 변화 양상 Ⅳ.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미, "호랑이 설화의 문학치료학적 해석을 통한 제3자(방관자)의 학교폭력예방교육 사례 연구-청소년의 생명존엄 의식 함양을 위한 학교폭력예방교육을 위하여" 인문과학연구소 (55) : 257-291, 2017

      2 보건복지부 OECD 아시아 사회정책센터, "한 눈에 보는 OECD 보건지표(Health at a Glance 2009; OECD INDICATORS)"

      3 김혜미, "폭력서사의 진단 및 개선을 위한 문학치료 프로그램 연구" 건국대학교 2017

      4 유명화, "트라우마 대물림을 치료하는법" 김영사 2020

      5 박재인, "탈북과 적응이 남긴 문제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접근 - 적응에 성공한 탈북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0) : 381-419, 2015

      6 송부옥, "치유글쓰기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21 : 66-69, 2018

      7 이봉희, "저널치료 : 새로운 일기쓰기" 한국국어교육학회 (77) : 235-264, 2007

      8 Adams, K., "저널치료" 학지사 2006

      9 김혜미, "자퇴를 원하는 한 우등생의 자기서사진단 사례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7) : 261-288, 2014

      10 Bieri, P., "자기결정" 은행나무 2015

      1 김혜미, "호랑이 설화의 문학치료학적 해석을 통한 제3자(방관자)의 학교폭력예방교육 사례 연구-청소년의 생명존엄 의식 함양을 위한 학교폭력예방교육을 위하여" 인문과학연구소 (55) : 257-291, 2017

      2 보건복지부 OECD 아시아 사회정책센터, "한 눈에 보는 OECD 보건지표(Health at a Glance 2009; OECD INDICATORS)"

      3 김혜미, "폭력서사의 진단 및 개선을 위한 문학치료 프로그램 연구" 건국대학교 2017

      4 유명화, "트라우마 대물림을 치료하는법" 김영사 2020

      5 박재인, "탈북과 적응이 남긴 문제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접근 - 적응에 성공한 탈북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0) : 381-419, 2015

      6 송부옥, "치유글쓰기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21 : 66-69, 2018

      7 이봉희, "저널치료 : 새로운 일기쓰기" 한국국어교육학회 (77) : 235-264, 2007

      8 Adams, K., "저널치료" 학지사 2006

      9 김혜미, "자퇴를 원하는 한 우등생의 자기서사진단 사례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7) : 261-288, 2014

      10 Bieri, P., "자기결정" 은행나무 2015

      11 박재인, "이주와 성공의 고전서사를 활용한 탈북민 대상 문학치료 사례 연구" 한국문학치료학회 41 : 335-370, 2016

      12 Durkheim, E., "에밀 뒤르켐의 자살론" 청아출판사 2019

      13 최진영, "아동학대 및 가정폭력의 중복발생이 아동의 우울궤적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50 (50): 101-133, 2019

      14 홍숙영, "스토리텔링, 인간을 디자인하다" 상상채널 2011

      15 조은상, "설화를 활용한 자기성찰의 글쓰기 방법 실행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9) : 291-336, 2015

      16 조은상, "설화를 활용한 이야기 창작 문학치료의 과정과 효과" 겨레어문학회 (54) : 267-306, 2015

      17 김정애, "설화 <지네각시>에 나타난 이별 외상의 극복 과정과 문학치료적 적용" 이화어문학회 (51) : 167-191, 2020

      18 김혜미, "설화 <신립장군과 원귀>와 <지네각시>에 나타난 ‘도움’의 속성과 청소년 생명지킴이의 봉사활동 교육 방향 모색" 한국문학치료학회 44 : 147-182, 2017

      19 김혜미, "설화 <내 복에 산다>의 전승 가치와 그 현대적 활용 방안 - 청소년의 동화창작프로그램 사례를 통하여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9) : 337-372, 2015

      20 정원희,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350-361, 2018

      21 여영주, "불안정애착 어머니의 서사적 특성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 만들기를 통한 서사적 반응연구-" 한국문학치료학회 53 : 133-174, 2019

      22 김현주, "부모, 친구, 교사, 지역사회 지지와 청소년의 자살충동간 인과관계 분석 : 성별 차이" 한국인구학회 34 (34): 137-164, 2011

      23 조은상, "문학치료에서 자기이해의 필요성과 방법" 한국문학치료학회 45 : 43-69, 2017

      24 노명자, "문학치료가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집단문학치료자에서 자전적 글쓰기를 수단으로" 경북대학교 2007

      25 정운채, "문학치료 서사사전 1, 2, 3" 문학과 치료 2009

      26 수선, "매일을 기적으로 만드는 수행자-수선의 이야기" 하루북 2021

      27 EBS <마더쇼크>제작팀, "마더쇼크" 중앙books 2018

      28 김은정, "기혼여성의 우울증상에 대한 취약성: 스트레스 경험 및 대처과정을중심으로" 4 (4): 1-14, 1999

      29 김재엽, "기혼 직장여성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의 관계 - TSL 대처방식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사회복지연구소 22 : 275-308, 2009

      30 김은정, "기혼 여성의 자녀특성과 자살생각의 관련성 분석"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31 정운채, "구비설화에 나타난 자녀서사의 어머니" 한국문학치료학회 6 : 231-252, 2007

      32 김혜미, "구비설화를 활용한 청소년 대상 세대 공감 문학치료 사례 연구-청소년의 ‘청년성 회복’을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55) : 119-162, 2019

      33 김혜미, "구비설화를 활용한 자살예방 문학치료 프로그램 사례 연구 -자살 위험군 사례자 A를 대상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50 : 7-56, 2019

      34 박재인, "구비설화 <효불효다리>에 대한 문학치료적 반응과 자녀서사 유형" 인문학연구원 (75) : 5-37, 2019

      35 김혜미, "구비설화 <삼정승 딸 만나 목숨 구한 총각>에 나타난 죽을 운명과 그 극복의 의미" 겨레어문학회 (62) : 5-30, 2019

      36 김혜미, "구비설화 <내 복에 산다> 각편을 활용한 청소년의 자기서사 진단 사례 연구 -설화에 대한 반응과 동화창작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57 : 153-200, 2020

      37 이정은, "고위험군 대상 자살예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355-375, 2020

      38 이세원, "가정폭력을 목격한 아동, 아동학대 피해자로의 개념 정립을 위한 소고" 사회복지법제학회 11 (11): 113-141, 2020

      39 박형원, "가정폭력 노출 아동의 공격행동 감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참여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17) : 101-130, 2004

      40 조은상, "<콩쥐팥쥐>에 대한 반응을 통해 본 부모가르기서사와 우울성향 자기서사" 한국문학치료학회 13 : 139-181, 2009

      41 조은상, "30~40대 기혼 여성의 우울성향 자기서사 연구 : 설화에 대한 반응의 문학치료학적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42 중앙자살예방센터, "2020년 자살통계자료집"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