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여성국극과 일본 다카라즈카의 분장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612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the Make-Up of the Korean Female Gukgeuk and Japanese Takarazuka PARK, SO YOON Make-up and Special effect make-up Major The Graduate School Convergence Design and Arts Sungshin University Modern people are exposed to...

      ABSTRACT

      A Study on the Make-Up of the Korean Female Gukgeuk and Japanese Takarazuka


      PARK, SO YOON
      Make-up and Special effect make-up Major
      The Graduate School Convergence Design and Arts
      Sungshin University

      Modern people are exposed to a variety of culture driven by the rising standard of living and increase their desire for culture and interest in art, which has activated performance culture across many different genres. Needs for performance culture have made rapid growth both domestically and globally,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fields of performance.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art has enhanced the diversity of the stage types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s, demanding specialization and segmentation in each field of stage performance. Performance art is a total combination of diverse fields. It offers something to see to the audience and improves the completeness of drama by maximizing the visual effects of all the areas related to the stage including make-up, hairdos, costumes, stage, and lighting.
      Stage make-up is a means of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performance among the audience by externally altering and highlighting the personality of a character that the actor cannot express. It has recently been promoted as an area of visual art. There is thus a need for multifaceted researches on stage make-up to systematically expand the knowledge and experiences required for make-up, promote its understanding, and broaden its scop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ake-up of traditional performance by revisiting the female Gukgeuk, a type of traditional performance art in performance culture in crisis of disappearance, and incorporating it into make-up, compare and examine it with Japanese Takarazuka, and search for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of the female Gukgeuk.
      As for the methodology and scope, the study reviewed literature and video materials, photographs, and other written materials home and abroa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tage make-up, examine its expressive methods, and identify the related areas to consider for make-up. The study also traced the backgrounds and changing processes of the female Gukgeuk and Takarazuka to understand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and selected their representative works to figure out the application of make-up through character and work analysis around the characters. The study also looked into differences in make-up between male and female characters in the female Gukgeuk and Takarazuka to understand make-up in traditional performance. The make-up of the female Gukgeuk and Takarazuka was analyz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male and female character make-up and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hem to figure out the stage make-up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d Japanese opera companie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tage make-up varied in thicknes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actors and the audience, was capable of changing shapes through an optical illusion according to the expressive methods, and expressed the intended characters by incorporating itself into phrenology, chromatology, lighting, and costume related to make-up. The female Gukgeuk was created as the female Gukak organization was founded by the female Gukak performers that resisted the poor treatment resulting from the male-dominated Changgeuk community that maintained the line of great singers. Takarazuka was created as a girls' singing company was set up to promote the tourist products during the modernization of Japan. It was found that the preservation of a traditional genre would be difficult without the support for its development through systematic education.
      Second, the analysis results of three female Gukgeuk and Takarazuka works each show that there were no broad changes to make-up, hairdos, and costumes in the female Gukgeuk because the characters had no big changes due to the flat materials and limitation to the content of classical novel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same Takarazuka works according to direction. Make-up, hairdos, and costumes went through various changes in a variety of works including the Japanese ones, period ones, Western ones and revues, thus contributing to the maintenance of the broad spectrum of the audience.
      Third, the representative way to express a male character through stage make-up in the female Gukgeuk was to use a darker skin tone than a female character and create big eyebrows, thick nose shadow, and dark eyes. The unique make-up to the female Gukgeuk has continued throughout its history. There were two patterns of the make-up of female characters in the female Gukgeuk; one was to create a strong nose shadow and hairline to highlight stereopsis, and the other was a natural look influenced by the natural make-up.
      Fourth, the male characters in Takarazuka were expressed with a light skin tone, various colors of eye shadow, round lines on the lips, and long wavy hair, which is an original male expression in Takarazuka different from the old ones. In Takarazuka, the female characters were expressed with a lighter skin tone, addition of pink, and colors of high chroma for feminine expressions compared with the actresses of male characters.
      Fift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results in the make-up of male characters between the female Gukgeuk and Takarazuka reveal that they used many shape changes in the dark skin, broad forehead, and high nose and also thick and angular lines to highlight masculinity in the female Gukgeuk. In Takarazuka, they used a light skin tone, colorful make-up, beak-shaped eye lines for bigger eyes, and long eyelashes to express male characters.
      Finall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results in the make-up of female characters between the female Gukgeuk and Takarazuka indicate that both of them used a light skin tone, added pink, and applied red of high chroma for the lips. While the dark eyebrows and nose shadow displayed the remnants of the time when make-up was first introduced in the female Gukgeuk, Takarazuka created an optical illusion of bigger eyes with bigger eye holes and beak-shaped eye lines.
      The study on make-up expressions identified the stage make-up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d Japanese female opera companies, understood common people's perceptions of the female Gukgeuk, and searched for its developmental directions by analyzing the characters and make-up of Takarazuka performance. The study will hopefully trigger more researches on the female Gukgeuk across various ar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논문개요 현대인들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다양한 문화를 접하면서 문화적 욕구와 예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 되었고 이는 여러 장르의 공연문화를 활성화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공...

      논문개요

      현대인들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다양한 문화를 접하면서 문화적 욕구와 예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 되었고 이는 여러 장르의 공연문화를 활성화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공연문화에 대한 수요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급증하면서 공연에 따른 전문분야 역시 발전하고 있다. 공연예술의 발달은 무대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공연이 많아지면서 무대공연 각 분야의 전문화를 요하게 되었고 세분화되어 발전되고 있다. 공연예술은 다양한 분야가 종합적으로 결합된 것이며 분장, 헤어, 의상, 무대, 조명등 무대에 관련된 전 분야의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시켜 관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극의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무대분장은 배우가 나타내지 못하는 배역의 성격을 외적으로 변화시키고 부각시켜 관객의 이해를 돕는 수단으로 최근에는 시각예술의 한분야로 발전 되고 있다. 따라서, 분장에 요구되는 지식과 경험이 체계적으로 확립되어 분장의 이해를 돕고 분장의 폭넓은 확대를 위해 다각도의 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연문화 중 전통공연예술로 소실의 위기에 처해 있는 여성국극(女性國劇)을 새로이 인식하고 분장에 접목해 전통공연의 분장에 대해 알아보고 일본의 다카라즈카와 비교 고찰하여 여성국극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는 국내외 문헌자료와 영상자료, 사진자료, 기타 서면자료를 통해 무대분장의 개념을 확립하고 표현방법을 고찰해 보고 분장 시 고려하여야할 관련분야에 대해 조사해 본다. 여성국극과 다카라즈카의 생성된 배경과 변천과정을 통해 각각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며 여성국극과 다카라즈카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선택하여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인물분석 및 작품분석을 통한 분장의 적용에 대해 고찰해 본다. 여성국극의 남녀역할분장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 다카라즈카의 남녀역할분장에 차이점에 대해 각각 구분하여 전통공연의 분장에 대해 알아본다. 여성국극과 다카라즈카의 분장 실제의 분석을 통한 남성역할분장과 여성역할분장을 각각 비교분석하여 차이점을 통해 한국과 일본 여성가극단의 무대분장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대분장은 배우와 관객과의 거리에 따라 분장의 농도가 달라지며 표현방법에 따른 착시현상으로 형태변형이 가능하며 분장과 관련된 골상학, 색채학, 조명, 의상에 접목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캐릭터를 나타낼 수 있었다. 여성국극은 창극계의 남성중심사상으로 명창의 맥을 이어온 탓에 처우가 좋지 않았던 여성국악인들의 반발로 여성국악단체가 만들어지는 생성배경을 갖고 있는 반면 다카라즈카는 일본의 근대화에 맞물려 관광 상품의 홍보차원에서 소녀창가단이 만들어지는 생성배경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고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발전이 뒷받침 될 수 없다면 전통장르의 보존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여성국극과 타카라즈카를 각 세 작품씩 분석한 결과 여성국극은 단조로운 소재와 고전소설의 내용에 국한되어 캐릭터의 변화가 많이 없어 분장, 헤어, 의상도 변화의 폭이 넓지 않은 반면 다카라즈카는 같은 작품도 연출력에 따라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일본물, 시대물, 서양물, 레뷰 등 여러 작품 속에서 분장, 헤어, 의상의 다양한 변화로 폭넓은 관객층을 유지하고 있다.
      셋째, 여성국극의 무대분장은 남성을 표현하기위한 대표적 방법으로 여성역할의 배우보다 어두운 피부 톤을 나타내며 굵은 눈썹과 진한 노즈 샤도우와 검은 눈매표현으로 여성국극만의 독특한 분장으로 처음부터 지금까지 보여 지고 있다. 여성국극의 여성역할 분장은 두 가지 패턴이 보이는데 노즈 샤도우와 헤어라인을 강하게 넣어 입체감을 강조하는 분장과 내츄럴 메이크업의 영향으로 자연스러운 무대분장의 표현방법이 나타난다.
      넷째, 다카라즈카의 남성역할 분장은 피부 톤을 밝게 하며 아이 샤도우의 다양한 컬러의 사용과 둥근 라인의 입술표현과 더불어 긴 웨이브형태의 헤어는 기존의 남성표현이 아닌 다카라즈카의 독창적인 남성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다카라즈카의 여성역할 분장은 남성역할의 배우에 배해 여성적 표현을 부가 하기위해 피부표현을 더 밝게 하며 핑크 톤이 더해지고 채도가 높은 컬러로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여성국극과 다카라즈카의 남성역할분장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여성국극은 어두운 피부와 넓은 이마, 높은 코의 표현으로 형태변형이 많았고 두껍고 각진 라인으로 남성성을 부각시킨 반면 다카라즈카는 여성역할 배우와 차이가 없는 밝은 피부 톤과 컬러풀한 분장, 새부리 모양의 아이라인으로 큰 눈매를 표현하고 남성역할임에도 긴속눈썹의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여섯째, 여성국극과 다카라즈카의 여성역할분장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밝은 피부 톤의 사용과 핑크 톤이 더해지는 공통점과 입술표현 시 채도가 높은 붉은 톤을 주로 사용하는 공통점이 있었으며 여성국극은 진한 눈썹과 노즈 샤도우의 표현이 처음분장을 시작하던 시기의 잔재를 보여 주고 있고 다카라즈카는 아이 홀을 크게 표현하며 새부리 모양의 아이라인으로 큰 눈으로 보이는 착시현상을 주고 있었다.
      위와 같이 분장표현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한국과 일본의 여성가극단 무대분장 특징에 대해 알 수 있었고 여성국극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과 더불어 발전방향의 모색도 다카라즈카 공연 캐릭터와 분장의 분석에서 그 요인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여성국극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부분에서 계속되기를 바래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논문개요
      • Ⅰ. 서론 1
      • 목 차
      • 논문개요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4
      • 1. 무대분장 4
      • 2. 한국 여성국극 17
      • 3. 일본 다카라즈카 31
      • Ⅲ. 여성국극과 다카라즈카의 분장비교 44
      • 1. 한국 여성국극 44
      • 2. 일본 다카라츠카 66
      • 3. 여성국극과 다카라즈카의 분장비교 86
      • Ⅳ. 결론 92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