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고령 가구의 소득원천별 가구소득이 가구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 of Income Source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 on Consum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457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고령 가구의 소득원천별 가구소득이 가구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국노동패널의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자료로 고정효과 모형을 추정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 가구의 소득원천별 한계소비성향은 유의하게 다르며 사적이전소득, 공적이전소득, 근로소득 순으로 한계소비성향이 크게 나타났다. 둘째, 중고령 가구 경제에 은퇴가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근로소득 유무에 따라 가구를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은퇴여부와 관계가 없이 사적이전소득은 가구소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공적이전소득은 은퇴가구의 소비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소비를 품목별로 나누어 소득원천별 영향을 분석한 결과 소비품목별로 영향을 주는 소득원천의 한계소비성향 또한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보건의료비, 주거비, 식비, 문화비 등의 지출이 사적이전소득에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추정결과들은 자녀의 부양의식이 과거에 비해 약해졌다고는 하나 여전히 중고령 가구에 있어서 가구소비의 사적이전소득 의존도가 높다는 사실을 설명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본 연구의 추정결과로부터 단기적으로는 부양비에 대한 세제혜택 도입과 청년층의 취업활성화 정책 확대를, 장기적으로는 공적연금의 대폭적인 확대 정책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중고령 가구의 소득원천별 가구소득이 가구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국노동패널의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자료로 고정효과 모형을 추정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

      본 연구에서는 중고령 가구의 소득원천별 가구소득이 가구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국노동패널의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자료로 고정효과 모형을 추정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 가구의 소득원천별 한계소비성향은 유의하게 다르며 사적이전소득, 공적이전소득, 근로소득 순으로 한계소비성향이 크게 나타났다. 둘째, 중고령 가구 경제에 은퇴가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근로소득 유무에 따라 가구를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은퇴여부와 관계가 없이 사적이전소득은 가구소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공적이전소득은 은퇴가구의 소비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소비를 품목별로 나누어 소득원천별 영향을 분석한 결과 소비품목별로 영향을 주는 소득원천의 한계소비성향 또한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보건의료비, 주거비, 식비, 문화비 등의 지출이 사적이전소득에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추정결과들은 자녀의 부양의식이 과거에 비해 약해졌다고는 하나 여전히 중고령 가구에 있어서 가구소비의 사적이전소득 의존도가 높다는 사실을 설명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본 연구의 추정결과로부터 단기적으로는 부양비에 대한 세제혜택 도입과 청년층의 취업활성화 정책 확대를, 장기적으로는 공적연금의 대폭적인 확대 정책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income source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 on consumption using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from 2009 to 2012. The fixed effect model i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MPC) by income source. The private transfer income is the highest MPC and public transfer income and labor income are followed as in order. Second, regardless of retirement status, private transfer income significantly affects household consumption while public transfer income has influence only on the consumption of the retired household. Finally, if we repeat the analysis by itemized consumption, we find that MPCs of each income source on various itemized consumptions are different. Especially, the private transfer incom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care, food, housing and culture expenses. Although the children's consciousness on supporting their parents has been weakened in recent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 consumption still depends heavily on the private transfer income.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to introduce a tax benefits for children's supporting expense for their parents and to promote youth employment in the short term, and to expand public pension by much in the long term.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income source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 on consumption using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from 2009 to 2012. The fixed effect model i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 ...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income source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 on consumption using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from 2009 to 2012. The fixed effect model i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MPC) by income source. The private transfer income is the highest MPC and public transfer income and labor income are followed as in order. Second, regardless of retirement status, private transfer income significantly affects household consumption while public transfer income has influence only on the consumption of the retired household. Finally, if we repeat the analysis by itemized consumption, we find that MPCs of each income source on various itemized consumptions are different. Especially, the private transfer incom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care, food, housing and culture expenses. Although the children's consciousness on supporting their parents has been weakened in recent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 consumption still depends heavily on the private transfer income.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to introduce a tax benefits for children's supporting expense for their parents and to promote youth employment in the short term, and to expand public pension by much in the long ter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초록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분석 자료 및 변수의 설정
      • Ⅳ. 추정 결과 분석
      • 논문초록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분석 자료 및 변수의 설정
      • Ⅳ. 추정 결과 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아, "중·고령자가구의 가구소비 여력 결정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31 (31): 573-590, 2011

      2 이상호, "제15차 (2012)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2012

      3 윤재호, "은퇴와 가계소비간 관계 분석" 한국은행 17 (17): 1-44, 2011

      4 강성호, "연금자산 존재 및 형태의 노인가구 소비행태에 대한 효과" 한국경제통상학회 29 (29): 87-114, 2011

      5 양성강, "심적 회계를 통한 가계 소비지출행태에 대한 고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5 (5): 37-58, 2009

      6 임미화, "부동산임대소득이 은퇴가구의 소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연구원 14 (14): 231-243, 2013

      7 최옥금, "노인 가구의 소비지출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51) : 277-296, 2011

      8 이용우, "국가 간 비교분석을 통한 한국 노인빈곤 심각성의 원인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8) : 291-318, 2014

      9 최현자, "가계의 저축의사결정" 한국소비자학회 19 (19): 211-237, 2008

      10 Hurst, E., "The Retirement of a Consumption Puzzl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08

      1 김경아, "중·고령자가구의 가구소비 여력 결정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31 (31): 573-590, 2011

      2 이상호, "제15차 (2012)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한국노동패널 기초분석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2012

      3 윤재호, "은퇴와 가계소비간 관계 분석" 한국은행 17 (17): 1-44, 2011

      4 강성호, "연금자산 존재 및 형태의 노인가구 소비행태에 대한 효과" 한국경제통상학회 29 (29): 87-114, 2011

      5 양성강, "심적 회계를 통한 가계 소비지출행태에 대한 고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5 (5): 37-58, 2009

      6 임미화, "부동산임대소득이 은퇴가구의 소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연구원 14 (14): 231-243, 2013

      7 최옥금, "노인 가구의 소비지출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51) : 277-296, 2011

      8 이용우, "국가 간 비교분석을 통한 한국 노인빈곤 심각성의 원인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8) : 291-318, 2014

      9 최현자, "가계의 저축의사결정" 한국소비자학회 19 (19): 211-237, 2008

      10 Hurst, E., "The Retirement of a Consumption Puzzl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08

      11 Keeler, J. P., "The Relative Size of Windfall Income and the Permanent Income Hypothesis" 3 (3): 209-215, 1985

      12 Holbrook R., "The Propensity to Consume Separate Types of Income: A Generalized Permanent Income Hypothesis" 39 (39): 1-21, 1971

      13 Ando, A., "The Life Cycle Hypothesis of Saving: Aggregate Implications and Tests" 53 (53): 55-84, 1963

      14 Shefrin, Hersh M., "The Behavioral Life‐Cycle Hypothesis" 26 (26): 609-643, 1988

      15 Börsch-Supan. A., "Saving and Consumption Patterns of the Elderly" 5 (5): 289-303, 1992

      16 OECD, "OECD Guidelines for Micro Statistics on Household Wealth"

      17 Meyer, Bruce D., "Measuring the Well-being of the Poor Using Income and Consumption"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03

      18 Banks, J, "Is there a Retirement-savings Puzzle?" 88 (88): 769-788, 1998

      19 Laitner, J., "Estimating Life-cycle Parameters from Consumption Behavior at Retirement"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05

      20 Himes, C. L., "Elderly Americans" 56 (56): 1-44, 2002

      21 Wooldridge, J., "Econometric Analysis of Cross Section and Panel Data" MIT Press 2010

      22 Hamermesh, D. S., "Consumption During Retirement: The Missing Link in the Life Cycle" 66 (66): 1-7, 1984

      23 Smith, S., "Can the Retirement Consumption Puzzle be Resolved? Evidence from UK Panel Data" Institute for Fiscal Studies 2004

      24 정경희,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Public Fina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재정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2008-01-01 평가 학술지 통합 (기타)
      2007-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 한국재정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And Economic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 1.58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