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에서 양명학 관련 문헌의 수용 양상 - 16세기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Acceptance Patterns of Yangmingxue Related Books in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16th century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study on the initial acceptance pattern of Yangmingxue(陽明学) in 16th century: Focused on how literature on Yangmingxue got into Joseon Dynasty and how scholars reacted to it ever since Yangmingxue appeared in Ming Dynasty. The ...

      This paper aims to study on the initial acceptance pattern of Yangmingxue(陽明学) in 16th century: Focused on how literature on Yangmingxue got into Joseon Dynasty and how scholars reacted to it ever since Yangmingxue appeared in Ming Dynasty.
      The inflow of Yangmingxue including The Chuan Xi Lu(傳習錄) by Wang Shouren(王守仁) into Joseon Dynasty occurred in 16th century. It is the time when the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got intensified and various levels of discussion had been attempted. The massacre of scholars and antipolitics evoked reflection on existing Neo-Confucian value and exploring new alternatives, and consequently Yangmingxue could be adopted. At the same time, Yangmingxue also got criticized, with Neo-Confucianism strengthened itself as the basis of national ruling order.
      Scholars of Chungju region played a large role in the initial acceptance of Yangmingxue through The Chuan Xi Lu, and followers of SungHon(成渾) school served a certain role in passing down Yangmingxue. However, literature on Yangmingxue could not be published because it was suspected as a target of criticism. Ryu Seongryong(柳成龍) had to transcribe A collection of Yang-ming’s works(陽明集) by hand and keep it to read.
      Critical literature on Yangmingxue such as Yi Duan Bian Zheng(異端辯正) by Zhan Ling(詹陵), Kun Zhi Ji(困知記) by Luo Qinshun(羅欽順), and Hsueh Pu Tung Pien(學蔀通辨) by Chen Chien(陳建), published and distributed as metal movable type or woodblock edition, engaging with reverence for original Zhuzixue(朱子學). There-through, the logic of literature on anti Yangmingxue could be easily spread.
      This phenomenon shows it’s tendency to distinctively accept studies in Joseon Dynasty. Yangmingxue could be one example in many cases which literature about reason and theory differed from mainstream Joseon Dynasty in 16th century got banned and thus couldn’t be widely dissemina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명대에 양명학이 발생한 이래로 양명학 관련 문헌이 조선에 어떤 배경에서 유입되고, 학자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16세기를 중심으로 초기 수용 양상을 탐구하였다. 왕수...

      이 연구에서는 명대에 양명학이 발생한 이래로 양명학 관련 문헌이 조선에 어떤 배경에서 유입되고, 학자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16세기를 중심으로 초기 수용 양상을 탐구하였다.
      왕수인(王守仁)의 『전습록』을 위시한 양명학 문헌의 조선 유입은 16세기에 이루어졌다.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고 다양한 차원의 논의가 시도되던 때이다. 사화와 반정으로 기존의 성리학적 가치관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모색이 시도되면서 양명학 수용이 가능하였고, 동시에 성리학이 국가통치 이념으로 강화됨에 따라 양명학도 비판되었다.
      『전습록』을 통한 양명학의 초기 수용에서는 충주 지역 사림들이 큰 역할을 하였으며, 우계학파에 속한 인물이 양명학 전승에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그렇지만 양명학 문헌은 비판의 대상으로 간주되어 인쇄․출판 되지 못하고 필사되어 유통되었다. 유성룡도 『양명집』을 필사하여 보관해 두고 읽었다.
      첨릉(詹陵)의 『이단변정』, 나흠순(羅欽順)의 『곤지기』, 진건(陳建)의 『학부통변』 등 양명학 비판 문헌은 정통 주자학 존숭의 분위기와 맞물려 금속활자 또는 목판으로 간행․배포되어 양명학 비판에 관한 논리가 쉽게 확산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16세기 조선에서 주류의 범주에서 벗어난, 혹은 국가의 인정을 받지 못하는 사유와 학설을 다룬 문헌들이 금서화되어 널리 보급되지 못한 여러 사례 중에 양명학이 해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병국, "李光의 陽明學 認識態度와 그 文學的 展開(1)" 동악어문학회 (61) : 277-304, 2013

      2 정형우, "한국책판목록총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고전자료편찬실 1979

      3 신성곤,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문집 2016

      4 "한국고전종합목록시스템"

      5 "한국고전종합DB"

      6 풍우란, "중국철학사․하" 까치글방 2011

      7 송석준, "조선조 양명학의 수용과 연구현황" 한국양명학회 (12) : 5-44, 2004

      8 김용헌, "조선전기 사림파 성리학의 전개와 특징" 한국국학진흥원 (19) : 35-79, 2011

      9 "조선왕조실록"

      10 윤남한, "조선시대의 양명학 연구" 집문당 1982

      1 손병국, "李光의 陽明學 認識態度와 그 文學的 展開(1)" 동악어문학회 (61) : 277-304, 2013

      2 정형우, "한국책판목록총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고전자료편찬실 1979

      3 신성곤,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문집 2016

      4 "한국고전종합목록시스템"

      5 "한국고전종합DB"

      6 풍우란, "중국철학사․하" 까치글방 2011

      7 송석준, "조선조 양명학의 수용과 연구현황" 한국양명학회 (12) : 5-44, 2004

      8 김용헌, "조선전기 사림파 성리학의 전개와 특징" 한국국학진흥원 (19) : 35-79, 2011

      9 "조선왕조실록"

      10 윤남한, "조선시대의 양명학 연구" 집문당 1982

      11 홍원식, "조선시대 심경부주 주석서 해제" 예문서원 2007

      12 강명관, "조선 후기 양명좌파의 수용" (16) : 125-148, 2007

      13 신향림, "조선 朱子學 陽明學을 말하다" 심산출판사 2015

      14 우응순, "장유의 양명학적 세계관과 시세계" 국제어문학회 (29) : 35-60, 2003

      15 김선희, "일본 주자학연구에 대한 一考察 ―姜沆연구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30) : 347-364, 2009

      16 이형성, "우계학파(牛溪學派)의 학맥과 학풍" 유학연구소 25 : 37-69, 2011

      17 이상익, "왕양명의 <주자만년정론(朱子晩年定論)>에 대한 새로운 비판" 18 : 345-377, 2002

      18 오종일, "양명(陽明) 전습록(傳習錄) 전래고(傳來考)" 5 : 67-86, 1978

      19 홍원식, "심경부주와 조선유학" 예문서원 2008

      20 진래, "송명성리학" 예문서원 1997

      21 최완기, "소론학파의 변신과 양명학" 86-91, 1986

      22 최재목, "동아시아의 양명학" 예문서원 2000

      23 옥영정, "동빈문고의 中國飜刻本과 그 가치-「近思錄」과 「韻府群玉」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51) : 135-159, 2012

      24 고운기, "도쿠가와가 사랑한 책" 현암사 2011

      25 이기동, "대학․중용강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4

      26 중국철학연구회, "논쟁으로 보는 중국철학" 예문서원 1994

      27 최재목, "내 마음이 등불이다" ㈜이학사 2005

      28 이호윤, "근세 동아시아 사상공간과 후지와라 세이카" 한국일본근대학회 (46) : 287-306, 2014

      29 정동국, "공자와 양명학" 태학사 1999

      30 최재목, "고전 번역의 현주소: 『전습록』-우리 글로 만나는 왕양명, 양명학의 진면목은?" 예문동양사상연구원 9 : 256-277, 2003

      31 김치우, "고사촬요 책판목록과 그 수록 간본 연구" 아세아문화사 2008

      32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

      33 동양사학회, "개관 동양사" ㈜지식산업사 2004

      34 "高峯集"

      35 송정숙, "韓國에서 『大學章句』의 受容과 展開樣相" 5-6 : 331-353, 1990

      36 "靜觀齋集"

      37 정덕희, "陽明學의 性格과 朝鮮的 展開" 14 : 5-35, 2001

      38 이동희, "陳建의 『學蔀通辨』과 그의 朱子學" 7 : 737-749, 1994

      39 "陰崖集"

      40 "退溪集"

      41 "谿谷漫筆"

      42 "訥齋集"

      43 "西厓集"

      44 "耻齋遺稿"

      45 "穌齋集"

      46 김낙진, "程敏政 사상의 朱陸 和會的 특성과 조선 성리학자들의 반응" 한국유교학회 (31) : 253-286, 2008

      47 "睡隱集"

      48 "眉巖日記"

      49 황의동, "牛溪學의 傳承과 그 學風" 범한철학회 (28) : 31-58, 2003

      50 "木齋集"

      51 "朝鮮王朝實錄"

      52 전재동, "朝鮮 儒學者들의 '朱子晩年定論說' 收容과 批判에 관한 硏究" 영남문화연구원 (12) : 157-192, 2007

      53 "晦齋集"

      54 "慕齋集"

      55 "十淸集"

      56 "十淸軒集"

      57 강순애, "初鑄甲寅字本 『近思錄』과 관련 板本 硏究" 한국서지학회 24 : 161-190, 2002

      58 "五洲衍文長箋散稿"

      59 "中國歷代經籍典"

      60 김진성, "『大學』의 經典 解釋學的 硏究" 한국유교학회 (25) : 125-160, 2006

      61 최재목, "『傳習錄』에 대하여" (3) : 143-158, 1999

      62 송정숙, "「대학연의(大學衍義)」가 조선조(朝鮮朝) 통치이념서(統治理念書) 편찬에 미친 영향" 20 : 171-200, 1996

      63 박홍갑, "16세기 정국 추이와 충주사림의 피화-광주이씨 克堪系를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79) : 125-166, 2005

      64 강응천, "16세기 성리학 유토피아" 민음사 2014

      65 정덕희, "16세기 明의 陽明學批判書籍 評釋" (2) : 193-216,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ibliography KCI등재
      2019-03-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5-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서지학회 -> 한국서지학회
      영문명 :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1.1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