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법 단독입법을 통한간호인력의 합리적 재편 방안 = A Reasonable Nursing Resources Reorganization Plan through Enactment of Nurse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032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 증가, 의료기관 증가, 의료기관의 적정한 간호 인력확보의 필요성 증가와 같은 급격한 보건의료환경의 변화로 간호인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 증가, 의료기관 증가, 의료기관의 적정한 간호 인력확보의 필요성 증가와 같은 급격한 보건의료환경의 변화로 간호인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노인의료비 증가, 만성질환자 관리의 필요성 증가에 비용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간호인력 수요도 커지고 있다. 또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 확대 등으로 간호서비스 제공영역이 의료기관에서 지역사회로 변화하면서 간호의 역할범위도 보다 확장되고 있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사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포괄간호서비스 수요도 반드시 충족되어야 할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간호사는 다른 의료인력과 함께 의료법에 포괄적으로 규정되어 있어 명확한 법적 지위와 규제 내용이 부재하며 간호인력 간 업무와 책임한계가 불명확한 상황이다. 이는 급변하는 간호 관련 보건의료 환경변화에 간호서비스가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간호서비스의 질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특히, 진료보조업무에 있어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간의 업무중복과역할혼란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명확한 업무규정이 요구된다. 대부분의 국가들이 간호관련 단독법에 기반하여 간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과 업무를 명확히 규정함으로써 간호서비스의 책임성을 담보하고 있으며, 간호사가 간호보조인력에 대한 지도·감독의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간호인력 간 업무중복의 문제를 피하고있다. 우리나라도 간호행위 관련 서비스의 책임강화와 간호인력 관련 문제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간호인력 양성을 활성화함과 동시에 보건의료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있는 인력수급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간호사 관련 단독입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간호업무의 개념정의와 구체적인 행위구분, 면허·자격 응시기준, 교육기관 및 교육기간, 간호사중앙회, 보수교육 및 면허·자격신고제, 간호정책의 심의·의결을 위한 간호정책심 의위원회, 인력처우개선 및 복지증진, 인력확보와 취업촉진을 위한 간호인력개발센터 설치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간호법 제정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re than 65 years ago, governments enacted laws which protect the public’s health and doctors assistant by overseeing and ensuring the safe practice of nursing. It is not uncommon to find various complementary therapies available at hospitals, eith...

      More than 65 years ago, governments enacted laws which protect the public’s health and doctors assistant by overseeing and ensuring the safe practice of nursing. It is not uncommon to find various complementary therapies available at hospitals, either as part of nursing care, or as an extended health care service. Currently many hospitals and other healthcare facilities, such as long-term care facilities are being constructed to replace those at the end of their life and to meet the demand as the baby boomer population grows older in Korea. Many of these are designed according to a new understanding of the healing environment and the research behind evidence-based design. Small sized clinics are also beginning to change, not least because the Korean healthcare system can no longer afford a system that focuses on disease-based care. Healthcare is beginning to recognize the central place that wellbeing of mind, body, and spirit plays in health. In this rapidly changed medical environment, the nursing resources are most crucial factor to meet the broadly varied conditions. The nurse workforce generally consists of licensed nurses and nurses-aides. The physical setting is the patient’s first impression of a healthcare facility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patient’s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care and their overall satisfaction. One of the key factors driving changes in healthcare is the concept of patient-centered care. Each of the items are necessary to satisfy patients by appropriate nursing care service. Nursing-sensitive outcomes are one indicator of quality of care and may be defined as variable patient or family caregiver state, condition, or perception responsive to nursing intervention. However, Korea has no Nurse Act separated from the Medical Service Act since 1951. This study discussed the necessity of single Nurse Act enactment independent from the Medical Act by arguing and comparing foreign jurisprudence and legislative connection between lower levels of nurse staffing and higher rates of adverse events. Complementing this study is a providing number of other research agendas addressing the growing nurse workload and rising rates of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Many stakeholders within the health care system, especially governments, hospitals and hospital organizations, doctor and nurse associations, nurse-aides foundations, and accreditation organizations, are aware of the lack of qualified nursing staff and related problems and are actively seeking solutions. High level general hospitals may cut spending for other personnel, such as unlicensed caregivers, housekeepers, and other support staff to enhancing their medical reputations. On the other hand, local clinic and small sized medical firms are insist that revise or enactment of new law may increasing cost of health care and they against preparing new bill. If no renovation is made in the medical law, the amount of nursing work performed by non-licensed nurse-aides in inpatient units could increase, and investments in medical technology and facilit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could be deferred. Accordingly, researching a reasonable nursing resources reorganization plan through enactment of Nurse Act is summons in our tim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영호, "효과적인 만성질환 관리방안 연구" 21-29, 2013

      2 김윤희, "현대 간호의 주요쟁점(상)" 경희대학교 출판국 2004

      3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로 본 건강보험 시행 35년"

      4 이용재, "조산원 활성화 및 수가현실화 방안" 국회의원 신경림·대한간호협회·대한조산협회 2013

      5 이용재, "조산원 원가분석·적정수가 산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대한간호협회·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2013

      6 김기경, "전문간호사 자격인정의 공공성" 대한의료법학회 6 (6): 291-310, 2005

      7 유선주, "인력기준법 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대한간호협회 2013

      8 김영신, "의료법상 금지되는 “비의료인의 의료기관 개설”의 범위 - 대법원 2003. 9. 23. 선고 2003두1493 판결 -" 법학연구원 (41) : 71-98, 2013

      9 정규숙, "세계 각국의 간호법-선진국 대부분 간호법 있다"

      10 이용균, "병원 간호사 인력의 적정수급 방안" 한국병원경영연구원 2009

      1 정영호, "효과적인 만성질환 관리방안 연구" 21-29, 2013

      2 김윤희, "현대 간호의 주요쟁점(상)" 경희대학교 출판국 2004

      3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로 본 건강보험 시행 35년"

      4 이용재, "조산원 활성화 및 수가현실화 방안" 국회의원 신경림·대한간호협회·대한조산협회 2013

      5 이용재, "조산원 원가분석·적정수가 산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대한간호협회·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2013

      6 김기경, "전문간호사 자격인정의 공공성" 대한의료법학회 6 (6): 291-310, 2005

      7 유선주, "인력기준법 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대한간호협회 2013

      8 김영신, "의료법상 금지되는 “비의료인의 의료기관 개설”의 범위 - 대법원 2003. 9. 23. 선고 2003두1493 판결 -" 법학연구원 (41) : 71-98, 2013

      9 정규숙, "세계 각국의 간호법-선진국 대부분 간호법 있다"

      10 이용균, "병원 간호사 인력의 적정수급 방안" 한국병원경영연구원 2009

      11 장연화, "면허외 의료행위와 관련한 의료인의 형사법적 책임" 한국형사판례연구회 20 : 560-588, 2012

      12 이태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경제성 평가: 비용-편익분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9

      13 윤석준, "만성질환 관리제도의 올바른 방향" 대한의사협회 55 (55): 414-416, 2012

      14 대한간호협회, "국민건강권 보장을 위한 간호법 제정" 2004

      15 이경권, "국민간호증진 및 간호사 지위향상을 위한 법률안에 관한 연구" 법무법인 대세⋅대한간호협회 2011

      16 임준, "고혈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의원기반 만성질환등록 관리사업의 효과평가" 가천대학교·한국건강증진재단 2012

      17 김혜련, "강위험요인과 사망의 관련성에 대한 종단연구" 39-49, 2014

      18 보건복지부 의료자원정책과, "간호인력 개편방안"

      19 정규원, "간호사의 과실- 분업적 간호행위의 형사책임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1 (31): 207-231, 2014

      20 국회보건복지위원회, "간호법제정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21 대한간호협회, "간호법제정-간호법 제정으로 국민건강과 간호사 중심으로 간호인력체계 개편하자"

      22 김신아, "간호법(안)의 타당성 검토"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23 김동환, "간호등급제가 요양병원의 간호인력 확보수준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0 (20): 95-105, 2014

      24 대한간호협회, "간호관계 법령의 업무 및 인력기준 현황"

      25 이한주, "간호(사)법* 제정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간호행정학회 12 (12): 355-364, 2006

      26 김의숙, "간호 업무의 법적 정의" 간호행정학회 12 (12): 574-586, 2006

      27 "http://www.nursingworld.org/MainMenuCategories/Policy-Advocacy/State/Legislative-Agenda-Reports/State-StaffingPlansRatios?css=print"

      28 "http://www.nursenews.co.kr/Article/ArticleDetailView.asp?typ=1&articleKey=1174"

      29 "http://www.legislation.gov.uk/ukpga/1997/24/contents"

      30 Sister Rosemary Donley, "The Nursing Shortage : What Does The Nurse Reinvestment Act Mean to You?"

      31 Carol S. Brewer, "The Influence of Structure, Staff Type, and Managed-Care Indicators on Registered Nurse Staffing" 28 (28): 1998

      32 WHO, "Regulatory Mechanisms for Nursing Training and Practice : Meeting Primary Health Care Needs"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6

      33 Fadwa A. Affara, "Protecting the Public Through Professional Regulation of Nursing"

      34 American Nurses Association, "Principles for delegation 2005"

      35 Debbie Campbell, "Overview of the Nurse Reinvestment Act Programs, Legislative Interventions: Changing The Future of Nursing" 24-38, 2005

      36 장영식, "OECD국가의 보건수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37 WHO, "Nursing and Midwifery A Guide to Professional Regulation" EMRO 2002

      38 W. M. Daly, "Nursing Roles and Levels of Practice: a Framework for Differentiating between Elementary, Specialist and Advancing Nursing Practice" 12 : 158-167, 2003

      39 Cox, S. Susan, "How to delegate to UAPs" 36 (36): 10-11, 2006

      40 Hugh Small, "Florence Nightingale: Avenging Angel" St. Martin’s Press 1998

      41 National Council of State Boards of Nursing, "Delegation decision-making tree 1997"

      42 Peg Currie, "Delegation Considerations for Nursing Practice" 28 (28): 86-87, 2008

      43 이소우, "21세기 한국 정신건강간호의 새로운 조망"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 10 (10): 5-11, 2010

      44 국민건강보험공단, "2013년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연보"

      45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3년 건강보험통계연보"

      46 보건복지부, "2012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통계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3차년도(2012) 및 제8차(2012)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aw Research Institute Konkuk University -> The Institute of Legal Studies Konkuk University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2 0.72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