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변호사의 비밀유지의무 = Lawyers` Duty of Confidentiali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변호사법과 변호사윤리장전에서 규정하고 있는 변호인의 비밀유지의무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비밀유지의무 관련 규정들을 살펴봄에 있어 비밀의 개념과 인정범위, 비밀유지의무의 존속기간, 진실유지의무와의 충돌문제, 비밀유지특권과의 관계, 문서제출 및 증언의 거부권 행사와 포기 등을 살펴보았다. 의뢰인과의 상담이나 소송수행과정에서 알게 된 비밀의 유지의무와 변호사로서의 진실유지의무는 그 윤리적 경계 내지 구체적 조화점 등을 도출해 내는 것이 해석상 매우 어려울 때가 있다. 뿐만 아니라, 비밀유지의무는 변호사의 의뢰인에 대한 관계에서 인정되는 의무적 측면뿐만 아니라, 법조 직역에대한 공공의 신뢰제고라는 측면에서 소위 비닉특권으로 인정되는 권리적 측면이 공존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변호사의 직업윤리로서의 비밀유지의무는 일반적인 윤리의무와 항상 똑같이 해석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는 만큼, 향후 우리의 입법은 증언거부권 내지 문서제출거부권 규정 등 관련 규정들을 보다 정치하게 구비함으로써 비밀보호의 구체적이고도 적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변호사법과 변호사윤리장전에서 규정하고 있는 변호인의 비밀유지의무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비밀유지의무 관련 규정들을 살펴봄에 있어 비밀의 개념과 인정범위, 비밀유...

      본고에서는 변호사법과 변호사윤리장전에서 규정하고 있는 변호인의 비밀유지의무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비밀유지의무 관련 규정들을 살펴봄에 있어 비밀의 개념과 인정범위, 비밀유지의무의 존속기간, 진실유지의무와의 충돌문제, 비밀유지특권과의 관계, 문서제출 및 증언의 거부권 행사와 포기 등을 살펴보았다. 의뢰인과의 상담이나 소송수행과정에서 알게 된 비밀의 유지의무와 변호사로서의 진실유지의무는 그 윤리적 경계 내지 구체적 조화점 등을 도출해 내는 것이 해석상 매우 어려울 때가 있다. 뿐만 아니라, 비밀유지의무는 변호사의 의뢰인에 대한 관계에서 인정되는 의무적 측면뿐만 아니라, 법조 직역에대한 공공의 신뢰제고라는 측면에서 소위 비닉특권으로 인정되는 권리적 측면이 공존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변호사의 직업윤리로서의 비밀유지의무는 일반적인 윤리의무와 항상 똑같이 해석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는 만큼, 향후 우리의 입법은 증언거부권 내지 문서제출거부권 규정 등 관련 규정들을 보다 정치하게 구비함으로써 비밀보호의 구체적이고도 적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ttorney-at Law Act states that any attorney-at-law or any former attorney-at-law shall not disclose any confidential matters that he/she learned in the course of performing his/her duties, and the Attorney’s Ethics Code states that any attorney-at-law shall not reveal or make improper use of any confidential matters that he/she learned in the course of performing his/her professional duties. The code further regulates that any attorney-at-law shall not disclose his/her communication with his/her client or documents or materials he/she has received from his/her client, as well as documents, memos, or any other similar materials produced in the course of performing his/her professional duties. This is so called a ‘duty to maintain confidentiality’ of an attorney-at-law, and we cannot deny that the primary duty of an attorney-at-law is to keep his/her confidentiality for his/her clients. However, the sam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lso require an attorney-at-law to maintain truthfulness, which is a sort of duty to maintain dignity as a professional lawyer. The Attorney-at Law Act states that each attorney-at-law shall, in performing his/her duties, be prohibited from concealing the truth or making false statements, and the Attorney’s Ethics Code states that each attorney-at-law shall, in performing his/her duties, be prohibited from distorting the truth or making false statements. These above two duties sometimes can go together in good harmony, but sometimes they can be in great contradiction with each other just like in the case of People v. Belge. The problem is how to keep the balance of the contradicting demands of both duties’ obligations. In the line, I have reviewed the content and limit of the confidentiality duty, its relations with the duty of truthfulness. And I have also reviewed the relevant legal matter i.e. the refusal of submission of documents and witness of an attorney-at-law, which is generally understood as an attorney-client privilege under the current laws. Both the Civil Procedure Act and the Criminal Procedure Act state that a lawyer may refuse to testify when he/she is examined on matters falling under the secrets of his/her official professional functions, and that a lawyer may refuse to submit his/her documents or articles when they were prepared as to his/her legal professional relationship with his/her clients. The two acts need to be more specifically refined and developed in the near future, in order to give more detailed guidelines to both lawyers and their clients.
      번역하기

      The Attorney-at Law Act states that any attorney-at-law or any former attorney-at-law shall not disclose any confidential matters that he/she learned in the course of performing his/her duties, and the Attorney’s Ethics Code states that any attorney...

      The Attorney-at Law Act states that any attorney-at-law or any former attorney-at-law shall not disclose any confidential matters that he/she learned in the course of performing his/her duties, and the Attorney’s Ethics Code states that any attorney-at-law shall not reveal or make improper use of any confidential matters that he/she learned in the course of performing his/her professional duties. The code further regulates that any attorney-at-law shall not disclose his/her communication with his/her client or documents or materials he/she has received from his/her client, as well as documents, memos, or any other similar materials produced in the course of performing his/her professional duties. This is so called a ‘duty to maintain confidentiality’ of an attorney-at-law, and we cannot deny that the primary duty of an attorney-at-law is to keep his/her confidentiality for his/her clients. However, the sam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lso require an attorney-at-law to maintain truthfulness, which is a sort of duty to maintain dignity as a professional lawyer. The Attorney-at Law Act states that each attorney-at-law shall, in performing his/her duties, be prohibited from concealing the truth or making false statements, and the Attorney’s Ethics Code states that each attorney-at-law shall, in performing his/her duties, be prohibited from distorting the truth or making false statements. These above two duties sometimes can go together in good harmony, but sometimes they can be in great contradiction with each other just like in the case of People v. Belge. The problem is how to keep the balance of the contradicting demands of both duties’ obligations. In the line, I have reviewed the content and limit of the confidentiality duty, its relations with the duty of truthfulness. And I have also reviewed the relevant legal matter i.e. the refusal of submission of documents and witness of an attorney-at-law, which is generally understood as an attorney-client privilege under the current laws. Both the Civil Procedure Act and the Criminal Procedure Act state that a lawyer may refuse to testify when he/she is examined on matters falling under the secrets of his/her official professional functions, and that a lawyer may refuse to submit his/her documents or articles when they were prepared as to his/her legal professional relationship with his/her clients. The two acts need to be more specifically refined and developed in the near future, in order to give more detailed guidelines to both lawyers and their cli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기석, "「변호사비밀유지의무」의 완화 경향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51 (51): 31-53, 2010

      2 송시섭, "형사 변호인 권리의 보장과 실현" 법학연구소 (44) : 569-589, 2009

      3 박휴상, "핵심법조윤리" 피데스 2014

      4 김정한, "증언거부권 불고지와 위증죄의 성부 및 증언의 증거능력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원 (49) : 563-594, 2015

      5 김상호, "보험자대위에 의하여 취득한 구상권의 소멸시효의 기산점과 기간" 한국사법행정학회 35 (35): 73-78, 1994

      6 강희원, "변호사의 직업윤리와 그 의무의 충돌- 비밀유지의무와 진실의무를 중심으로-" 법과사회이론학회 (29) : 29-71, 2005

      7 김병수, "변호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진실의무" 법학연구소 48 (48): 353-377, 2008

      8 하정철, "변호사의 비밀유지의무: 예외 사유인 ‘공익상의 이유’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47) : 571-600, 2014

      9 정인진, "변호사의 비밀유지의무" 한국법학원 (104) : 136-162, 2008

      10 김재원, "변호사 직업윤리와 일반윤리" 법과사회이론학회 (29) : 103-125, 2005

      1 배기석, "「변호사비밀유지의무」의 완화 경향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51 (51): 31-53, 2010

      2 송시섭, "형사 변호인 권리의 보장과 실현" 법학연구소 (44) : 569-589, 2009

      3 박휴상, "핵심법조윤리" 피데스 2014

      4 김정한, "증언거부권 불고지와 위증죄의 성부 및 증언의 증거능력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원 (49) : 563-594, 2015

      5 김상호, "보험자대위에 의하여 취득한 구상권의 소멸시효의 기산점과 기간" 한국사법행정학회 35 (35): 73-78, 1994

      6 강희원, "변호사의 직업윤리와 그 의무의 충돌- 비밀유지의무와 진실의무를 중심으로-" 법과사회이론학회 (29) : 29-71, 2005

      7 김병수, "변호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진실의무" 법학연구소 48 (48): 353-377, 2008

      8 하정철, "변호사의 비밀유지의무: 예외 사유인 ‘공익상의 이유’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47) : 571-600, 2014

      9 정인진, "변호사의 비밀유지의무" 한국법학원 (104) : 136-162, 2008

      10 김재원, "변호사 직업윤리와 일반윤리" 법과사회이론학회 (29) : 103-125, 2005

      11 임규철, "변호사 보유의 의뢰인 정보에 대한 비밀유지와 국회 제공요구 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 비교법학연구소 41 : 929-957, 2014

      12 정형근, "법조윤리강의" 박영사 2014

      13 최진안, "법조윤리 제3판" 세창출판사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aw Research Institute Konkuk University -> The Institute of Legal Studies Konkuk University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2 0.72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