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러기 가족과 중년남성의 위기상담을 위한 영화치료적 분석 - 영화 ‘싱글라이더’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497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화‘싱글라이더’를 통해 기러기 아빠인 중년남성이 겪는 문제들을 점검하고 ‘감상영화 심리치료’ 적 접근으로 영화의 장면과 텍스트를 분석하고 내담자의 접근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중년기는 변화에 잘 적응하고 심리적 위기를 극복하는 것은 중요한 과업이며 중년남성에 있어 심리적 안정감은 자신을 받아들이고 다른 사람과 의미 있는 대인관계를 유지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인이기도 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대중매체인 영화를 통하여 일반인에게 기러기 가족의 이해에 대한 보다 쉬운 접근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삶을 이해하고 그들의 일상에서 표출되는 문제를 파악하여 가족의 위기를 극복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향후 예방적 개입의 단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영화 속에 등장하는 삶의 이야기가 나의 이야기로 재생산 또는 재상영 될 때 영화는 단순히 스크린에 비추어 돌아가는 그림이 아닌 우리의 삶인 그 자체로서 되살아나고, 여기에 영화치료의 효용성은 증가하게 된다고 한다. 영화 속의 이야기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며 영화 속의 인물은 우리가 현실에서 만날 수 있는 사람들이다. ‘감상영화 심리치료’는 영화를 감상한 뒤에 심리치료적 접근방법을 통하여 자신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방식이며 ‘자기조력적 영화심리치료’는 상담자의 개입 없이도 영화 텍스트와 내담자의 자발적인 작용을 통해 심리치료 효과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연구방법은 영화‘싱글라이더’의 주인공인 강재훈의 삶을 중심으로 중년남성의 심리적 위기를 탐색하는 것은 심리적 안정감의 획득을 돕고, 자신의 삶을 관리하는 방식을 돌아보게 하는 기회가 되어 더욱 건강한 중년기를 보내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년기의 이상과 현실의 괴리감의 간극을 줄이는 방법은 목표의 재조정이 필요하다. ‘싱글라이더’ 영화 속 주인공인 강재훈은 위기를 경험하면서 사회적 지지기반이 흔들리고 모든 것을 홀로 감당해야 하는 생활환경에서 극단적 선택을 하게 된다. 불안감은 생애주기별 좌절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이다. 건강한 가족은 공동체로서 개인을 보호하고 사회에 적응하는 데 가족원들의 신체적, 심리적 행복을 보장해 주는 체계임을 볼 수 있다. 위기상담은 위험한 상태에서 직면해 있거나 심각한 문제로 위기상태에 처한 사람을 도와주는 전문적인 임상적 활동을 말한다. 특히 ‘영화심리치료’는 영화 및 영상 매체를 활용하여 상담과 심리치료에 적용하는 모든 방법을 지칭하며 ‘영화심리치료’하는데 그 방법은 특정 영화를 선정하여 영화를 감상하고 텍스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의사소통을 통해 영화를 내담자와 교육자의 삶에 통합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감상영화 심리치료’적 기법 중에서도‘자기조력적 영화심리치료’는 상담자의 개입 없이도 영화 텍스트와 내담자의 자발적인 작용을 통해 심리치료 효과가 일어나는 것으로 영화를 통해 정서적 카타르시스를 경험하면서, 영화를 자기 치료적으로 느끼고 받아들인다. 영화‘싱글라이더’를 선정하여 영화를 감상한 후, 사전에 분석한 자료와 텍스트를 사이에 두고 영화를 내담자의 삶에 통합시키는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심리치료 효과를 일어나도록 하는 것도 방법의 하나로 자기분석과 치료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영화‘싱글라이더’를 통해 기러기 아빠인 중년남성이 겪는 문제들을 점검하고 ‘감상영화 심리치료’ 적 접근으로 영화의 장면과 텍스트를 분석하고 내담자의 접근하기 위해 ...

      본 연구는 영화‘싱글라이더’를 통해 기러기 아빠인 중년남성이 겪는 문제들을 점검하고 ‘감상영화 심리치료’ 적 접근으로 영화의 장면과 텍스트를 분석하고 내담자의 접근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중년기는 변화에 잘 적응하고 심리적 위기를 극복하는 것은 중요한 과업이며 중년남성에 있어 심리적 안정감은 자신을 받아들이고 다른 사람과 의미 있는 대인관계를 유지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인이기도 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대중매체인 영화를 통하여 일반인에게 기러기 가족의 이해에 대한 보다 쉬운 접근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삶을 이해하고 그들의 일상에서 표출되는 문제를 파악하여 가족의 위기를 극복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향후 예방적 개입의 단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영화 속에 등장하는 삶의 이야기가 나의 이야기로 재생산 또는 재상영 될 때 영화는 단순히 스크린에 비추어 돌아가는 그림이 아닌 우리의 삶인 그 자체로서 되살아나고, 여기에 영화치료의 효용성은 증가하게 된다고 한다. 영화 속의 이야기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며 영화 속의 인물은 우리가 현실에서 만날 수 있는 사람들이다. ‘감상영화 심리치료’는 영화를 감상한 뒤에 심리치료적 접근방법을 통하여 자신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방식이며 ‘자기조력적 영화심리치료’는 상담자의 개입 없이도 영화 텍스트와 내담자의 자발적인 작용을 통해 심리치료 효과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연구방법은 영화‘싱글라이더’의 주인공인 강재훈의 삶을 중심으로 중년남성의 심리적 위기를 탐색하는 것은 심리적 안정감의 획득을 돕고, 자신의 삶을 관리하는 방식을 돌아보게 하는 기회가 되어 더욱 건강한 중년기를 보내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년기의 이상과 현실의 괴리감의 간극을 줄이는 방법은 목표의 재조정이 필요하다. ‘싱글라이더’ 영화 속 주인공인 강재훈은 위기를 경험하면서 사회적 지지기반이 흔들리고 모든 것을 홀로 감당해야 하는 생활환경에서 극단적 선택을 하게 된다. 불안감은 생애주기별 좌절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이다. 건강한 가족은 공동체로서 개인을 보호하고 사회에 적응하는 데 가족원들의 신체적, 심리적 행복을 보장해 주는 체계임을 볼 수 있다. 위기상담은 위험한 상태에서 직면해 있거나 심각한 문제로 위기상태에 처한 사람을 도와주는 전문적인 임상적 활동을 말한다. 특히 ‘영화심리치료’는 영화 및 영상 매체를 활용하여 상담과 심리치료에 적용하는 모든 방법을 지칭하며 ‘영화심리치료’하는데 그 방법은 특정 영화를 선정하여 영화를 감상하고 텍스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의사소통을 통해 영화를 내담자와 교육자의 삶에 통합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감상영화 심리치료’적 기법 중에서도‘자기조력적 영화심리치료’는 상담자의 개입 없이도 영화 텍스트와 내담자의 자발적인 작용을 통해 심리치료 효과가 일어나는 것으로 영화를 통해 정서적 카타르시스를 경험하면서, 영화를 자기 치료적으로 느끼고 받아들인다. 영화‘싱글라이더’를 선정하여 영화를 감상한 후, 사전에 분석한 자료와 텍스트를 사이에 두고 영화를 내담자의 삶에 통합시키는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심리치료 효과를 일어나도록 하는 것도 방법의 하나로 자기분석과 치료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s experienced by a middle-aged man who is a goose father through the movie ‘Single Rider’ and analyzed the scenes and text of the movie using the ‘Cinema-appreciation-psycho -therapy’ approach to approach the client. In middle age, adapting well to change and overcoming psychological crises is an important task, and for middle-aged men, Psychological stability is also an essential factor in accepting themselves and maintaining meaningfu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easier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goose family to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 mass media, movies, and to understand their lives and identify the problems expressed in their daily lives, thereby providing clues for future preventive interventions to overcome or prevent family crises. When the life story in the movie is reproduced or re-screened as my story, the movie comes back to life as our life itself, not just a picture reflected on the screen, and the effectiveness of movie therapy increases here. The story in the movie is the story of people, and the characters in the movie are people we can meet in reality. ‘Cinema-appreciation-psycho-therapy’ is a method of understanding oneself and solving problems through a psycho-therapeutic approach after watching a movie, while ‘Self-help cinema psycho-therapy’ is a psycho-therapeutic effect that occurs through the voluntary actions of the client and the movie text without the intervention of a counselor. The research method i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crisis of middle-aged men by focusing on the life of Kang Jae-hoon, the main character of the movie ‘Single Rider’, and it seems that it will help them gai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hav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ow they manage their lives, which will help them spend a healthier middle age. A way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ideal and reality of middle age requires readjusting goals. Kang Jae-hoon, the main character of the movie ‘Single Rider’, experiences a crisis, his social support base is shaken, and he makes an extreme choice in a living environment where he has to handle everything alone. Anxiety is a risk factor that affects the experience of frustration at each stage of life. A healthy family is a system that protects individuals as a community and guarantees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family members as they adapt to society. Crisis counseling refers to professional clinical activities that help people who are facing a dangerous situation or in a state of crisis due to serious problems. In particular, ‘Cinema-psycho-therapy’ refers to all methods that utilize film and video media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nd ‘Cinema-psycho-therapy’ involves selecting a specific cinema, watching the movie, and integrating the film into the lives of the client and educator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m via the text. Among the ‘Cinema-psycho-therapy’ techniques,‘Self-help cinema psycho-therapy’ is a method in which psychotherapy effects occur through the film text and the client’s spontaneous actions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counselor, experiencing emotional catharsis through the film and feeling and accepting the film as self-therapy. One method that can bring about psychotherapy effects is to select the film ‘Single Rider’, watch the movie, and integrate the film into the client’s life via pre-analyzed data and text. This can bring about self-analysis and therapeutic result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s experienced by a middle-aged man who is a goose father through the movie ‘Single Rider’ and analyzed the scenes and text of the movie using the ‘Cinema-appreciation-psycho -therapy’ approach to approach the cli...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s experienced by a middle-aged man who is a goose father through the movie ‘Single Rider’ and analyzed the scenes and text of the movie using the ‘Cinema-appreciation-psycho -therapy’ approach to approach the client. In middle age, adapting well to change and overcoming psychological crises is an important task, and for middle-aged men, Psychological stability is also an essential factor in accepting themselves and maintaining meaningfu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easier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goose family to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 mass media, movies, and to understand their lives and identify the problems expressed in their daily lives, thereby providing clues for future preventive interventions to overcome or prevent family crises. When the life story in the movie is reproduced or re-screened as my story, the movie comes back to life as our life itself, not just a picture reflected on the screen, and the effectiveness of movie therapy increases here. The story in the movie is the story of people, and the characters in the movie are people we can meet in reality. ‘Cinema-appreciation-psycho-therapy’ is a method of understanding oneself and solving problems through a psycho-therapeutic approach after watching a movie, while ‘Self-help cinema psycho-therapy’ is a psycho-therapeutic effect that occurs through the voluntary actions of the client and the movie text without the intervention of a counselor. The research method i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crisis of middle-aged men by focusing on the life of Kang Jae-hoon, the main character of the movie ‘Single Rider’, and it seems that it will help them gai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hav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ow they manage their lives, which will help them spend a healthier middle age. A way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ideal and reality of middle age requires readjusting goals. Kang Jae-hoon, the main character of the movie ‘Single Rider’, experiences a crisis, his social support base is shaken, and he makes an extreme choice in a living environment where he has to handle everything alone. Anxiety is a risk factor that affects the experience of frustration at each stage of life. A healthy family is a system that protects individuals as a community and guarantees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family members as they adapt to society. Crisis counseling refers to professional clinical activities that help people who are facing a dangerous situation or in a state of crisis due to serious problems. In particular, ‘Cinema-psycho-therapy’ refers to all methods that utilize film and video media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nd ‘Cinema-psycho-therapy’ involves selecting a specific cinema, watching the movie, and integrating the film into the lives of the client and educator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m via the text. Among the ‘Cinema-psycho-therapy’ techniques,‘Self-help cinema psycho-therapy’ is a method in which psychotherapy effects occur through the film text and the client’s spontaneous actions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counselor, experiencing emotional catharsis through the film and feeling and accepting the film as self-therapy. One method that can bring about psychotherapy effects is to select the film ‘Single Rider’, watch the movie, and integrate the film into the client’s life via pre-analyzed data and text. This can bring about self-analysis and therapeutic resul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위기상담과 영화치료적 접근의 필요성
      • Ⅳ. 치료적 접근을 위한 영화 속 위기장면과 텍스트 분석
      •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위기상담과 영화치료적 접근의 필요성
      • Ⅳ. 치료적 접근을 위한 영화 속 위기장면과 텍스트 분석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