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도(南道)’의 의미 변이 및 변화 양상 고찰 -"네이버" 뉴스 텍스트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Semantic Variation and Patterns of Meaning in ‘South Jeolla Province [남도(Namdo)]’- "Naver" News tex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662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it seems that certain changes in meaning of 'South Jeolla Province [남도(Namdo)]' are under way with a wide variety of semantic variations, as the social structure has changed so far, away from the traditional meanings pre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Based on these linguistic facts, in the present study, it was looked at the Korean classical comprehensive database to find out what spatial experience the geographical meaning of 'South Jeolla Province' was traditionally built on, and then checked the changes of experience through the news textual search of the portal <Naver>.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confirmed that 'South Jeolla Province' has a limited geographical meaning, mainly the 'Gwangju and Jeonnam' region, with various semantic variations that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geographical areas. In other words, "South Province of Korea (Namdo)" has traditionally been used as a reference to "Gyeongsang-Province, Jeolla-Province, and Chungcheong-Province," but is experiencing a change in meaning that by now it is being reduced to the "Gwangju-Jeonnam" region.
      Of course, the meaning of 'South Jeolla Province' should be derived based on the sum of the semantic variations shown by more key words than the key words observed in this study. Nevertheless, it is very meaningful that our dictionaries should be based on the patterns of actual language usage in order to properly define the meaning of vocabularies or individual words that belongs to a certain semantic category, and that the use of web corpus can be useful in solving these problems.
      번역하기

      Today, it seems that certain changes in meaning of 'South Jeolla Province [남도(Namdo)]' are under way with a wide variety of semantic variations, as the social structure has changed so far, away from the traditional meanings presented in the Korean...

      Today, it seems that certain changes in meaning of 'South Jeolla Province [남도(Namdo)]' are under way with a wide variety of semantic variations, as the social structure has changed so far, away from the traditional meanings pre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Based on these linguistic facts, in the present study, it was looked at the Korean classical comprehensive database to find out what spatial experience the geographical meaning of 'South Jeolla Province' was traditionally built on, and then checked the changes of experience through the news textual search of the portal <Naver>.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confirmed that 'South Jeolla Province' has a limited geographical meaning, mainly the 'Gwangju and Jeonnam' region, with various semantic variations that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geographical areas. In other words, "South Province of Korea (Namdo)" has traditionally been used as a reference to "Gyeongsang-Province, Jeolla-Province, and Chungcheong-Province," but is experiencing a change in meaning that by now it is being reduced to the "Gwangju-Jeonnam" region.
      Of course, the meaning of 'South Jeolla Province' should be derived based on the sum of the semantic variations shown by more key words than the key words observed in this study. Nevertheless, it is very meaningful that our dictionaries should be based on the patterns of actual language usage in order to properly define the meaning of vocabularies or individual words that belongs to a certain semantic category, and that the use of web corpus can be useful in solving these proble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남도(南道)’는 국어사전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통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그동안 이루어진 사회 구조 또는 사용 맥락의 변화에 따라 매우 다양한 의미 변이를 보이는 가운데 일정한 의미 변화가 진행 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언어적 사실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남도’의 지리적 의미가 전통적으로 어떠한 공간적 경험을 토대로 한 것이었는지를 ‘한국고전종합DB’를 통해 살펴본 뒤, 모두 7개의 주제어와 관련되어 나타난 경험의 변화를 검색 포털 <네이버>의 뉴스 텍스트(news text) 검색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남도’는 전통적인 지리적 공간과는 다른 다양한 의미 변이를 보이는 가운데 주로는 ‘광주·전남’ 지역이라는 제한된 지리적 의미를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남도’는 전통적으로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다가,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광주·전남’ 지역으로 축소되는 의미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남도’의 의미는 본 연구에서 관찰된 주제어 외에 더 많은 수의 주제어들이 보여주는 의미 변이의 총합을 토대로 추출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고는 우리의 사전들이 일정한 의미론적 범주에 속하는 어휘 혹은 개별 단어의 의미를 제대로 정의하기 위해서는 실제 언어 사용 양상을 토대로 해야 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웹 말뭉치(web corpus)의 활용이 유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오늘날 ‘남도(南道)’는 국어사전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통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그동안 이루어진 사회 구조 또는 사용 맥락의 변화에 따라 매우 다양한 의미 변이를 보이는 가운데 일정...

      오늘날 ‘남도(南道)’는 국어사전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통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그동안 이루어진 사회 구조 또는 사용 맥락의 변화에 따라 매우 다양한 의미 변이를 보이는 가운데 일정한 의미 변화가 진행 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언어적 사실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남도’의 지리적 의미가 전통적으로 어떠한 공간적 경험을 토대로 한 것이었는지를 ‘한국고전종합DB’를 통해 살펴본 뒤, 모두 7개의 주제어와 관련되어 나타난 경험의 변화를 검색 포털 <네이버>의 뉴스 텍스트(news text) 검색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남도’는 전통적인 지리적 공간과는 다른 다양한 의미 변이를 보이는 가운데 주로는 ‘광주·전남’ 지역이라는 제한된 지리적 의미를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남도’는 전통적으로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다가,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광주·전남’ 지역으로 축소되는 의미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남도’의 의미는 본 연구에서 관찰된 주제어 외에 더 많은 수의 주제어들이 보여주는 의미 변이의 총합을 토대로 추출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고는 우리의 사전들이 일정한 의미론적 범주에 속하는 어휘 혹은 개별 단어의 의미를 제대로 정의하기 위해서는 실제 언어 사용 양상을 토대로 해야 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웹 말뭉치(web corpus)의 활용이 유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해, "코퍼스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의미의 본질" 한국어의미학회 21 : 75-104, 2006

      2 남길임, "웹 말뭉치를 활용한 언어 연구의 현황과 쟁점" 한국어의미학회 60 : 23-49, 2018

      3 이향천, "언어 변화의 양상과 원인" 배달말학회 (57) : 35-63, 2015

      4 성일호, "언어 변화의 사회언어학적 요인" 6 : 1991

      5 김동근, "손광은 시의 토포필리아와 ‘南道’" 호남학연구원 (52) : 1-30, 2012

      6 오홍석, "땅 이름 점의 미학" 부연사 2008

      7 안의정, "구어 어휘의 의미 연구 방법론-말뭉치 기반 사용역 변이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43 : 107-132, 2014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9 Kilgarriff, A.,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on the web as corpus" 29 (29): 333-347, 2003

      10 Blackwell, S., "English language corpora: Design, analysis and exploitation" Rodopi 97-106, 1993

      1 김진해, "코퍼스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의미의 본질" 한국어의미학회 21 : 75-104, 2006

      2 남길임, "웹 말뭉치를 활용한 언어 연구의 현황과 쟁점" 한국어의미학회 60 : 23-49, 2018

      3 이향천, "언어 변화의 양상과 원인" 배달말학회 (57) : 35-63, 2015

      4 성일호, "언어 변화의 사회언어학적 요인" 6 : 1991

      5 김동근, "손광은 시의 토포필리아와 ‘南道’" 호남학연구원 (52) : 1-30, 2012

      6 오홍석, "땅 이름 점의 미학" 부연사 2008

      7 안의정, "구어 어휘의 의미 연구 방법론-말뭉치 기반 사용역 변이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43 : 107-132, 2014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9 Kilgarriff, A.,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on the web as corpus" 29 (29): 333-347, 2003

      10 Blackwell, S., "English language corpora: Design, analysis and exploitation" Rodopi 97-106,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23 통합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6 1.36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