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Eun Sook-Yoon Department of school counsel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m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263615
춘천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학교상담전공 , 2013. 8
2013
한국어
372.62 판사항(5)
강원특별자치도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v, 59 L. : 삽도 ; 26 cm
강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안범희
참고문헌 : L.46-5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Eun Sook-Yoon Department of school counsel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mi...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Eun Sook-Yoon
Department of school counsel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middle school. This violence prevention counseling is proposed to educat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bout the perceived level of analysts and effective ways to prevent school violence.
In order to study this problem, we set the following study.
First, what are the needs, the assertiveness, and the gender differences for the middle students on the preventing school violence?
Second, are we perceived level of the status of how to prevent the severity of school violence?
Third, how do we recognize what is effective for training on preventing school violence?
For this study, 6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332 of the students(194 males, 138 females) were recruited.
SPSS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of the study.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Second,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to gender, sex, and grade level differences for verification test, ANOVA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hird, gender, grade level, and grades were trained according to specific situation on how effective th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perceptions training is in comparison between groups (cross-tabs analysis) and utilizing independent verification (χ2 verification;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for gender, grade level, according to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grade prevention education in the schools of the necessity, class participation, class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atisfaction. In first grade, boys and hawigwon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showed that much.
Second, the issu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to "have fun because" as the biggest problem was found, "a one-time, formal education is higher than for the female students were aware of that show, reality school entrance exam-oriented education reported barriers to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hope that teachers will be able to perform a leading role.
Third, the school should be effective on school improvement plan for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to target the entire student body and the general teachers with non-professional instructors with expertise.
Through this study, the current middle school boy students were more exposed to violence, a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need to know the cause.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specialist with expertise should educate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s. One particular part of the education’s character for one of the students rather than the entire education of the students is the need for giving.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중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수준을 조사 분석하고, 효율적인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연구하기 위하여 다음...
본 연구는 현재 중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수준을 조사 분석하고, 효율적인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연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은 성별, 학년, 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폭력 예방교육 실태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중학생이 원하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적절한 교육방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이 연구를 위해서 강원도 횡성군에 위치한 5개 중학교 학생 332명(남194명, 여13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첫째, 참가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인식은 성별, 학년, 성적에 따른 차이 검증을 위해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학교폭력 예방교육 실태에 대한 인식과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효율적 교육 방안에 대한 인식은 집단 간 비교를 위해 교차분석을 활용한 독립성 검증(χ2검증: 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성별, 학년, 성적에 따른 인식차이에서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필요성, 수업참여도, 수업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학년 남학생과 중·하위권 학생들이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인식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문제점으로 ‘재미가 없어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으며, ‘일회성·형식적 교육’에 대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졌으며, 입시위주의 교육현실을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장애요인으로 보고 있으며, 교사/학교가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중학생이 원하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해서는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을 학기당 1회 정도, 학교에서 시행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하였으며, 일반 강사가 아닌 학교폭력 전문성을 갖춘 전문 강사가 학교폭력의 개념과 유형, 신고 방법들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을 원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현재 중학교 1학년 남학생들이 학교폭력에 많이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학교폭력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전문 강사가 학생들에게 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일부 한 특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 아닌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