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역기반디자인기술 활용 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61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전통 기반 문화산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지역기반디자인기술의 다양한 접근방식에 대한 분석과 발전가능성, 활용방안을 논의함으로써 21C 창조적 문화산업에 의한 다양한 영역의 지속적 디자인산업 성장을 위해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학술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어졌다. 연구범위는 문화산업(Culture Industry)에 대한 이론적 고찰, 버네큘러디자인(Vernacular Design)과 신기술.공예의 결합(Integration between New Technology & Craft) 등 지역기반디자인기술의 포괄적 개념으로의 접근방식 및 사례, 유형 분석, 그리고 전통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 방식의 고찰과 그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하며 결론에 이르고 있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 및 분석이 중심이 되었다. 연구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산업은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마켓 전반에서 블루오션으로 각광 받고있다. 둘째, 적정기술에 의한 버네큘러디자인(Vernacular Design by Appropriate Design)이나 신기술.지역공예결합(Integration between Craft and New Technology) 과 같은 방식의 제품은 독특한 경험을 추구하고 나만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21C 소비자들의 요구에 의해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와 연관된 문화산업제품 개발의 필요성 역시 증대되고 있다. 셋째, 전통의 현대적 재해석이 지역 나름의 독특한 특성을 반영한 문화트렌드를 포괄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적정기술에 의한 버네큘러디자인과 신기술.공예의 결합 형태의 지역기반디자인기술 특화에 의한 다양한 국내문화산업제품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 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역디자인기반기술 활용 방안으로 새로운 전략 제품디자인 개발과 더불어 하이엔드 명품으로의 상품화와 같은 구체적 전략과 실현 방안이 제시되어졌다. 본 연구가 국내 지역기반디자인기술 개발과 향후 문화산업디자인시장 확대를 위한 이론적.체계적 분석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전통 기반 문화산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지역기반디자인기술의 다양한 접근방식에 대한 분석과 발전가능성, 활용방안을 논의함으로써 21C 창조적 문화산업에 의한 다양한 영역...

      본 논문은 전통 기반 문화산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지역기반디자인기술의 다양한 접근방식에 대한 분석과 발전가능성, 활용방안을 논의함으로써 21C 창조적 문화산업에 의한 다양한 영역의 지속적 디자인산업 성장을 위해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학술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어졌다. 연구범위는 문화산업(Culture Industry)에 대한 이론적 고찰, 버네큘러디자인(Vernacular Design)과 신기술.공예의 결합(Integration between New Technology & Craft) 등 지역기반디자인기술의 포괄적 개념으로의 접근방식 및 사례, 유형 분석, 그리고 전통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 방식의 고찰과 그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하며 결론에 이르고 있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 및 분석이 중심이 되었다. 연구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산업은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마켓 전반에서 블루오션으로 각광 받고있다. 둘째, 적정기술에 의한 버네큘러디자인(Vernacular Design by Appropriate Design)이나 신기술.지역공예결합(Integration between Craft and New Technology) 과 같은 방식의 제품은 독특한 경험을 추구하고 나만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21C 소비자들의 요구에 의해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와 연관된 문화산업제품 개발의 필요성 역시 증대되고 있다. 셋째, 전통의 현대적 재해석이 지역 나름의 독특한 특성을 반영한 문화트렌드를 포괄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적정기술에 의한 버네큘러디자인과 신기술.공예의 결합 형태의 지역기반디자인기술 특화에 의한 다양한 국내문화산업제품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 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역디자인기반기술 활용 방안으로 새로운 전략 제품디자인 개발과 더불어 하이엔드 명품으로의 상품화와 같은 구체적 전략과 실현 방안이 제시되어졌다. 본 연구가 국내 지역기반디자인기술 개발과 향후 문화산업디자인시장 확대를 위한 이론적.체계적 분석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designed to offer theoretical data and sdefinite analysis materials for extensive development of design industry by creative culture industry in 21C in domestic through considering of culture industry based on tradition and analyzing a diversity approaches of region-based design technology, developmental possibilities, and discussing about utilization scheme. Main scope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a theoretical study on culture industry, an analysis on design types, causes, and approaches of a comprehensive concept of region-based design technology include vernacular design and integration between new technology & craft, and finally come to the conclusion through a considering about a method of reinventing tradition and an utilization scheme.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The summary of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below. First, culture industry utilized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is in the limelight as blue-ocean not only in domestic but also global market. Second, increase a necessity of development in culture industry product applied method with vernacular design by appropriate design technology or integration between craft and new technology is more in demand by consumers who are in pursuit of unique experience and express their personality in 21C as well. Third, reinventing tradition comprehensively represents culture trend which reflects unique regional characteristic in its way, and it is necessary for a variety of culture industry product design development in domestic due to the specific region-based design technology such as a vernacular design by appropriate design technology and integration between craft and new technology. Finally, specific strategy and materialize plan such as a new strategy product design development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high-end luxury for culture industry activation as an utilization scheme of region-based design technology are proposed. It was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be utilized as theoretical.systematic data for developing and expanding the marketability of region-based design technology and futurity culture design industry in domestic.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designed to offer theoretical data and sdefinite analysis materials for extensive development of design industry by creative culture industry in 21C in domestic through considering of culture industry based on tradition and analyzing a...

      This article is designed to offer theoretical data and sdefinite analysis materials for extensive development of design industry by creative culture industry in 21C in domestic through considering of culture industry based on tradition and analyzing a diversity approaches of region-based design technology, developmental possibilities, and discussing about utilization scheme. Main scope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a theoretical study on culture industry, an analysis on design types, causes, and approaches of a comprehensive concept of region-based design technology include vernacular design and integration between new technology & craft, and finally come to the conclusion through a considering about a method of reinventing tradition and an utilization scheme.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The summary of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below. First, culture industry utilized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is in the limelight as blue-ocean not only in domestic but also global market. Second, increase a necessity of development in culture industry product applied method with vernacular design by appropriate design technology or integration between craft and new technology is more in demand by consumers who are in pursuit of unique experience and express their personality in 21C as well. Third, reinventing tradition comprehensively represents culture trend which reflects unique regional characteristic in its way, and it is necessary for a variety of culture industry product design development in domestic due to the specific region-based design technology such as a vernacular design by appropriate design technology and integration between craft and new technology. Finally, specific strategy and materialize plan such as a new strategy product design development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high-end luxury for culture industry activation as an utilization scheme of region-based design technology are proposed. It was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be utilized as theoretical.systematic data for developing and expanding the marketability of region-based design technology and futurity culture design industry in domestic.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ohn F. Pile, "현대디자인사조" 창미사 1985

      2 문화산업정책과, "콘텐츠산업 통계조사"

      3 신항우, "콘텐츠@창조산업 동향과 이슈: 글로벌 동향"

      4 문화체육관광부, "전통문화의 창조적 발전전략: 전통문화의 대중화⋅현대화⋅세계화" 문화체육관광부 2012

      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컨소시움, "전통문화산업 육성진흥 방안 연구: 문화산업실태조사 최종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11

      6 남미경, "적정기술에 의한 인간중심 제품디자인의 접근방식 및 향후 과제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137-148, 2014

      7 구경완, "소수 90%를 위한 버네큘러디자인을 찾아서"

      8 곽한주, "문화와 문화산업"

      9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제2조 ‘정의’, 2013.03.23. 타법개정"

      10 김덕순, "공공시설의 버네큘러디자인 적용성 연구" (26) : 2008

      1 John F. Pile, "현대디자인사조" 창미사 1985

      2 문화산업정책과, "콘텐츠산업 통계조사"

      3 신항우, "콘텐츠@창조산업 동향과 이슈: 글로벌 동향"

      4 문화체육관광부, "전통문화의 창조적 발전전략: 전통문화의 대중화⋅현대화⋅세계화" 문화체육관광부 2012

      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컨소시움, "전통문화산업 육성진흥 방안 연구: 문화산업실태조사 최종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11

      6 남미경, "적정기술에 의한 인간중심 제품디자인의 접근방식 및 향후 과제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137-148, 2014

      7 구경완, "소수 90%를 위한 버네큘러디자인을 찾아서"

      8 곽한주, "문화와 문화산업"

      9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제2조 ‘정의’, 2013.03.23. 타법개정"

      10 김덕순, "공공시설의 버네큘러디자인 적용성 연구" (26) : 2008

      11 "https://mirror.enha.kr/wiki/3D%20%ED%94%84%E B%A6%B0%ED%84%B0"

      12 "http://blog.naver.com/kimgunny/140014297212"

      13 Craft Australia, "Technologies in Contemporary Craft in the US"

      14 David Report, "Supreme Regionalism"

      15 Cooper-Hewitt National Design Museum, "Design for the Other 90%"

      16 문화체육관광부, "Constancy & Change in Korean Traditional Craft 2014, La Triennale di Milano, Italy 전시도록"

      17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Collect-The International Art Fair for Contemporary Objects"

      18 Hazeltine, B, "Appropriate Technology: Tools, Choices, and Implications" Academic Press 1999

      19 KIDP, "3D 프린터는 어떻게 소비문화를 바꾸는가?"

      20 이중한, "3D 프린터 전성시대"

      21 문화체육관광부, "2011 전통문화산업 실태조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73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