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허 등의 비(非)디자인자료가 디자인의 신규성상실사유 또는 창작비용이성 판단에 있어서 인용증거가 될 수 있는 지의 여부 = Disclosure of a design by non-design information prior, such as a patent etc, for determination of the lack of novelty or the non-creative easines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디자인등록의 무효를 주장하는 선행 특허 또는 실용신안 보유자와 그러한 특허 또는 실용신안의 공개가 디자인의 공지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반박하는 디자인 보유자간의 다툼에 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일반적으로 디자이너는 특허나 실용신안등록 등의 비디자인자료를 검색하지 않을뿐더러 특히 외국의 비디자인자료는 더욱이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디자인보유가가 선행등록특허를 알지 못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일견 타당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당해 디자인 영역의 관련자들은 선행특허정보를 다른 수단을 통하여 알 수도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선행특허대상이 제조되어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경우에 관련영역에 있는 자들은 광고, 마케팅활동 또는 카달로그 등을 통하여 선행특허를 인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특허대상이 제조되거나 판매되지 않고 단지 특허공보에 공개 또는 공고된 경우에는, 그러한 특허의 공개나 공고가 그와 동일 또는 유사한 디자인이 공개된 것으로 볼 수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조금 더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는 대개의 경우 기술적 측면 뿐만 아니라 물품의 외관을 포함하고 있다. 디자인보호법의 견지에서 보면, 디자인을 정의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은 물품의 외관이라고 할 수 있다. 법원은 특허가 물품의 기술적 측면 뿐만 아니라 외관을 표현하고 있으면 되는 것이지 물품의 외관을 보호하는 법률의 형태가 무엇인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본다. 따라서 법원은 특허의 공개 또는 공고가 디자인의 공개에 해당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특허의 공개사실이 디자인 신규성 상실사유 및 비창작용이성 판단에 있어서 공지의 근거로 제시될 수 있다고 보는 데 이러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디자인등록의 무효를 주장하는 선행 특허 또는 실용신안 보유자와 그러한 특허 또는 실용신안의 공개가 디자인의 공지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반박하는 디자인 보유자간의 다툼에 ...

      본 연구는 디자인등록의 무효를 주장하는 선행 특허 또는 실용신안 보유자와 그러한 특허 또는 실용신안의 공개가 디자인의 공지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반박하는 디자인 보유자간의 다툼에 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일반적으로 디자이너는 특허나 실용신안등록 등의 비디자인자료를 검색하지 않을뿐더러 특히 외국의 비디자인자료는 더욱이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디자인보유가가 선행등록특허를 알지 못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일견 타당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당해 디자인 영역의 관련자들은 선행특허정보를 다른 수단을 통하여 알 수도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선행특허대상이 제조되어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경우에 관련영역에 있는 자들은 광고, 마케팅활동 또는 카달로그 등을 통하여 선행특허를 인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특허대상이 제조되거나 판매되지 않고 단지 특허공보에 공개 또는 공고된 경우에는, 그러한 특허의 공개나 공고가 그와 동일 또는 유사한 디자인이 공개된 것으로 볼 수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조금 더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는 대개의 경우 기술적 측면 뿐만 아니라 물품의 외관을 포함하고 있다. 디자인보호법의 견지에서 보면, 디자인을 정의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은 물품의 외관이라고 할 수 있다. 법원은 특허가 물품의 기술적 측면 뿐만 아니라 외관을 표현하고 있으면 되는 것이지 물품의 외관을 보호하는 법률의 형태가 무엇인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본다. 따라서 법원은 특허의 공개 또는 공고가 디자인의 공개에 해당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특허의 공개사실이 디자인 신규성 상실사유 및 비창작용이성 판단에 있어서 공지의 근거로 제시될 수 있다고 보는 데 이러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started attracting attention in a conflict between the holder of a prior patent or utility model reference which sought annulment of the registration of a design and the holder of a design which contested the fact that the publication of this patent or utility model gave rise to a disclosure of the design. A designer generally does not consult a non-design references any more than give any importance to records patents or utility model, even foreign records patents. In such cases, for instance, the argument for the unawareness of prior patent records sounds slightly plausible, but the circles specialized in the sector design concerned have been able to know the prior patent information by other means. When the product designated by the earlier patent was produced and has sold in the market, the circles specialized in the sector concerned could know the previous patent through advertising, marketing activities or catalogs, etc. Meanwhile, if the patent object was not manufactured or sold but was just published in the Patent Gazette, we need to think carefully whether or not the publication of a patent is equivalent to disclosure of a design which is identical with or similar to that patent. By the way, the patent contains not only the technical description of a product but also that of his appearance in many cases. In view of the meaning of Design Protection Act, the decisive criterion in the qualification of "design" is the description of the appearance of a product. The type of law by which it is protected appearance do not matter. The fact that the patent contains not only the technical description of a product but also that of his appearance leads the Tribunal to be judged that the publication of a patent is equivalent to disclosure of a design.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ublication of a patent can be adduced in support of the disclosure to the public of a design for determination of the lack of novelty or the non-creative easiness.
      번역하기

      This study has started attracting attention in a conflict between the holder of a prior patent or utility model reference which sought annulment of the registration of a design and the holder of a design which contested the fact that the publication o...

      This study has started attracting attention in a conflict between the holder of a prior patent or utility model reference which sought annulment of the registration of a design and the holder of a design which contested the fact that the publication of this patent or utility model gave rise to a disclosure of the design. A designer generally does not consult a non-design references any more than give any importance to records patents or utility model, even foreign records patents. In such cases, for instance, the argument for the unawareness of prior patent records sounds slightly plausible, but the circles specialized in the sector design concerned have been able to know the prior patent information by other means. When the product designated by the earlier patent was produced and has sold in the market, the circles specialized in the sector concerned could know the previous patent through advertising, marketing activities or catalogs, etc. Meanwhile, if the patent object was not manufactured or sold but was just published in the Patent Gazette, we need to think carefully whether or not the publication of a patent is equivalent to disclosure of a design which is identical with or similar to that patent. By the way, the patent contains not only the technical description of a product but also that of his appearance in many cases. In view of the meaning of Design Protection Act, the decisive criterion in the qualification of "design" is the description of the appearance of a product. The type of law by which it is protected appearance do not matter. The fact that the patent contains not only the technical description of a product but also that of his appearance leads the Tribunal to be judged that the publication of a patent is equivalent to disclosure of a design.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ublication of a patent can be adduced in support of the disclosure to the public of a design for determination of the lack of novelty or the non-creative easine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수, "한국 특허법상 특허발명의 진보성 판단" 서울대학교 기술과 법센터 3 (3): 2007

      2 김원오, "한·EU FTA에서 상표 및 디자인 분야의 쟁점" 한국지식재산학회 (26) : 31-76, 2008

      3 육소영, "패션디자인의 법적 보호" 한국지식재산연구원 5 (5): 81-109, 2010

      4 "특허정보넷 키프리스"

      5 정상조, "특허법 주해(I)" 박영사 2010

      6 특허법원 지적재산소송실무연구회, "지적재산소송실무" 박영사 2014

      7 송영식, "지적재산법(10정판)" 세창출판사 2009

      8 송영식, "지적소유권법(상)" 육법사 2013

      9 "유럽사법재판소"

      10 박성수, "상표권 침해금지가처분의 피보전권리와 보전의 필요성"

      1 박성수, "한국 특허법상 특허발명의 진보성 판단" 서울대학교 기술과 법센터 3 (3): 2007

      2 김원오, "한·EU FTA에서 상표 및 디자인 분야의 쟁점" 한국지식재산학회 (26) : 31-76, 2008

      3 육소영, "패션디자인의 법적 보호" 한국지식재산연구원 5 (5): 81-109, 2010

      4 "특허정보넷 키프리스"

      5 정상조, "특허법 주해(I)" 박영사 2010

      6 특허법원 지적재산소송실무연구회, "지적재산소송실무" 박영사 2014

      7 송영식, "지적재산법(10정판)" 세창출판사 2009

      8 송영식, "지적소유권법(상)" 육법사 2013

      9 "유럽사법재판소"

      10 박성수, "상표권 침해금지가처분의 피보전권리와 보전의 필요성"

      11 이상정, "산업디자인과 지적소유권법" 세창출판사 2005

      12 진선태, "부분디자인 보호 요건에서의 도면에 관한 실무차이 비교- 한국, 미국, 일본, EU를 중심으로-"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0 (10): 99-123, 2015

      13 "미국특허청"

      14 양대승, "디자인의 합리적 보호를 위한 신규성과 창작비(非)용이성의 인적(人的)판단기준 정립 방안" 법무부 (73) : 227-256, 2016

      15 전성태, "디자인보호법의 쟁점과 사례" 신론사 2014

      16 김웅, "디자인보호법(이론과 실제)"

      17 김웅, "디자인보호법" 에듀비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5-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과학기술법연구소 -> 과학기술법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for Law of science & Technology -> Institute for Law of Science & Technolog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2 0.66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