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물놀이의 역사적 전개와 문화산업적 성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674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esis considers the value of socio-cultural aspects and the achievements of cultural-commercial aspects of SamulNori through an analysis of musical works and the changing natures of performance styles during the last 30 years.
      SamulNori began as a performance group. But SamulNori expanded into being known as the prime representative of the traditional performance style of South Korea (samulnori) and was spread far and wide. Consequently, the achievement of the cultural-commercial aspects of SamulNori can be seen in three aspects : competitive power as a performing product ; basic role for new cultural contents ; fadeaway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continuation of new public culture.

      The thesis rearranged concepts of SamulNori and evaluated several situations and backgrounds for creating periodizations of SamulNori as a starting point. Up to now, the concepts of SamulNori were mainly explained in limited music-style, namely, as a new stage-style ? performing the Pungmul Jangdan seated ? discussing the beginning period of SamulNori without concerning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SamulNori has changed through time. Considering the role and meaning of SamulNori as public-culture and living-culture, not as a sole possession of professional artists, rearrangement in a broad sense that SamulNori is executing all kinds of performance and play of traditional Jangdan, must be preceded. It is very important for explaining the justification of SamulNori?s birth and musical-cultural goals, by looking into the conditions of the times that traditional cultures were faced with in 1978 when SamulNori was established at the small theater in the Gonggan Sarang.
      And the backgrounds of the main characters of SamulNori not only confirmed the relationship with Pungmul and Namsadang nori where SamulNori was rooted, but also explained the continuing motivation of SamulNori as a professional artist group.
      The facts were confirmed that records of performers and contents of the performances during the period from February 1978 to 1980 were not only a little different by reference books, but also the wrong records were repeatedly quoted. The author rearranged several early period records chronologically and corrected mistakes through interviews with related persons. The author collected materials while the author was working as a chief editor for the SamulNori 30th Anniversary. The author believes that arrangement of historical records is of utility for his study, but also of utility for future studies of SamulNori as an objective reference.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es of SamulNori during the last 30 years we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author looked into each period for concentrating strategic activities by increasing values as various musical achievements and cultural merchandise. The first period (1978?1983): the activity of this period was confirming time for possibility of traditional arts through SamulNori and excellent musical talents of Kim, Duk Soo and Kim, Yong Bae who were the original members of SamulNori. The second period (1984-1992): the activity of this period was arranged period for achieving quantitative expansion (popularize) and qualitative growth (successful overseas marketing). Lastly, the third period (1993 to present): the activity of the period is concentrated on global marketing, utilization of festival, and development of new contents as SamulNori activities for cultural businesses. Overall , the study of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es of SamulNori is looking into meaning and processes of ? circumstantial continuation of the little tradition? by increasing competitive power and maintaining sustainment of traditional arts according to ever-changing cultural circumstances and public awareness for each period.

      The results of SamulNori?s 30 years activities have influenced on our society and culture in various ways.
      번역하기

      The thesis considers the value of socio-cultural aspects and the achievements of cultural-commercial aspects of SamulNori through an analysis of musical works and the changing natures of performance styles during the last 30 years. SamulNori began as ...

      The thesis considers the value of socio-cultural aspects and the achievements of cultural-commercial aspects of SamulNori through an analysis of musical works and the changing natures of performance styles during the last 30 years.
      SamulNori began as a performance group. But SamulNori expanded into being known as the prime representative of the traditional performance style of South Korea (samulnori) and was spread far and wide. Consequently, the achievement of the cultural-commercial aspects of SamulNori can be seen in three aspects : competitive power as a performing product ; basic role for new cultural contents ; fadeaway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continuation of new public culture.

      The thesis rearranged concepts of SamulNori and evaluated several situations and backgrounds for creating periodizations of SamulNori as a starting point. Up to now, the concepts of SamulNori were mainly explained in limited music-style, namely, as a new stage-style ? performing the Pungmul Jangdan seated ? discussing the beginning period of SamulNori without concerning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SamulNori has changed through time. Considering the role and meaning of SamulNori as public-culture and living-culture, not as a sole possession of professional artists, rearrangement in a broad sense that SamulNori is executing all kinds of performance and play of traditional Jangdan, must be preceded. It is very important for explaining the justification of SamulNori?s birth and musical-cultural goals, by looking into the conditions of the times that traditional cultures were faced with in 1978 when SamulNori was established at the small theater in the Gonggan Sarang.
      And the backgrounds of the main characters of SamulNori not only confirmed the relationship with Pungmul and Namsadang nori where SamulNori was rooted, but also explained the continuing motivation of SamulNori as a professional artist group.
      The facts were confirmed that records of performers and contents of the performances during the period from February 1978 to 1980 were not only a little different by reference books, but also the wrong records were repeatedly quoted. The author rearranged several early period records chronologically and corrected mistakes through interviews with related persons. The author collected materials while the author was working as a chief editor for the SamulNori 30th Anniversary. The author believes that arrangement of historical records is of utility for his study, but also of utility for future studies of SamulNori as an objective reference.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es of SamulNori during the last 30 years we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author looked into each period for concentrating strategic activities by increasing values as various musical achievements and cultural merchandise. The first period (1978?1983): the activity of this period was confirming time for possibility of traditional arts through SamulNori and excellent musical talents of Kim, Duk Soo and Kim, Yong Bae who were the original members of SamulNori. The second period (1984-1992): the activity of this period was arranged period for achieving quantitative expansion (popularize) and qualitative growth (successful overseas marketing). Lastly, the third period (1993 to present): the activity of the period is concentrated on global marketing, utilization of festival, and development of new contents as SamulNori activities for cultural businesses. Overall , the study of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es of SamulNori is looking into meaning and processes of ? circumstantial continuation of the little tradition? by increasing competitive power and maintaining sustainment of traditional arts according to ever-changing cultural circumstances and public awareness for each period.

      The results of SamulNori?s 30 years activities have influenced on our society and culture in various way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사물놀이 30년 동안의 음악작업, 공연양식의 변화 등 역사적 전개과정을 통해 사물놀이의 사회문화적 가치와 문화산업적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사물놀이는 공연단체로 출발하여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전통공연 양식으로 의미가 확장되었고 대중화를 통해 새로운 생활문화로 그 가치가 확산되었다. 따라서 사물놀이의 문화산업적 성과를 자체 공연상품으로써의 경쟁력, 새로운 문화콘텐츠 기반으로써의 역할 그리고 전통문화의 해체와 새로운 대중문화로의 계승이라는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의 기본 출발은 사물놀이의 개념을 재정리하고 사물놀이 창단의 여러 가지 상황과 배경을 검토하는데서 출발하였다. 이제껏 사물놀이에 대한 대부분의 개념 정의는 사물놀이의 의미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음을 고려하지 않고 사물놀이의 창단 초기의 음악형태 즉, 풍물장단을 앉아서 연주하는 새로운 무대 양식으로 한정하여 설명되어 왔다. 그러나 전문예술가들의 전유물이 아닌, 대중문화와 생활문화로서의 사물놀이의 역할과 의미를 고려한다면 ?사물악기로 전통장단을 연주하는 모든 형태의 연주 또는 연희(演戱)?라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의 재정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사물놀이가 탄생한 70년대 말의 전통문화가 처한 시대적 상황과 소극장 ?공간사랑?을 중심으로 한 인적(人的) 배경을 살펴보는 일은 사물놀이 탄생의 당위성과 음악적, 문화적 목표를 설명하는데 있어 아주 중요하다. 그리고 사물놀이를 탄생시킨 주역들의 성장 배경은 사물놀이의 뿌리가 되는 풍물과 남사당놀이의 관계성을 확인하고 사물놀이가 전문 예술단체로 성장해가는 동력을 설명할 수 있었다.
      사물놀이가 첫 연주를 가진 1978년 2월부터 완전한 예술단체로 공식적인 발표공연이 있었던 1980년 사이의 연주자와 연주곡목에 대한 기록들은 참고문헌마다 조금씩 다를 뿐 아니라 잘못된 기록들이 반복적으로 재인용되고 있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때문에 본 연구자는 사물놀이가 보관하고 있는 여러 가지 초기 자료들을 취합하고 김덕수, 이광수, 최종실 3명의 창단멤버들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오류를 바로잡고 연보 형식으로 정리하였다. 역사적 사실에 대한 자료 정리는 본 연구의 전개에서뿐만 아니라 사물놀이에 대한 후속연구에 있어서도 객관적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사물놀이 30년간의 역사적 전개과정은 크게 세 개의 시기로 분류하여, 각 시기마다의 다양한 음악적 성과와 문화상품으로써의 가치를 높여가는 전략적 활동에 주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제1기(1978-1980년대 중반)의 활동은 사물놀이 탄생 주역들의 탁월한 음악적 재능과 사물놀이를 통해 성취하고자 하였던 전통예술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과정이며, 제2기(1980년대 중반-1990년대 초반)의 활동은 사물놀이의 양적 확대(대중화)와 질적 성장(성공적인 해외시장 공략)을 이루는 과정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제3기(1993년-현재)의 활동은 글로벌 마케팅, 축제의 활용 그리고 새로운 문화콘텐츠 개발 등 문화산업의 측면에서 사물놀이의 활동에 초점을 두었다. 전체적으로 사물놀이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보는 작업은 각 시기마다의 문화적 환경과 대중의 인식 변화에 따라 전통예술이 생명력을 유지하고 경쟁력을 높여가는 ?작은 전통(the little tradition)?의 ?상황적 계승?이라는 의미와 과정을 살펴보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사물놀이 30년간 활동의 결과는 다양한 방식으로 우리 사회와 문화에 영향을 끼쳤다. 전통의 창조적 계승이라는 패러다임과 이를 위한 노력은 현 시점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며 지속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공연예술로써 사물놀이의 가치는 문화산업적 관점에서도 성공사례를 충분히 보여주었고 곧 새로운 콘텐츠의 개발과 시장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통이라는 민족의 문화유산이 사회적으로 새로운 가치를 부여받고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문화적 특성이라는 문화산업의 중요한 자산이 될 수 있음을 사물놀이가 보여주었고 다른 문화콘텐츠 산업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사물놀이 30년 동안의 음악작업, 공연양식의 변화 등 역사적 전개과정을 통해 사물놀이의 사회문화적 가치와 문화산업적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사물놀이는 공연단체로 ...

      본 논문은 사물놀이 30년 동안의 음악작업, 공연양식의 변화 등 역사적 전개과정을 통해 사물놀이의 사회문화적 가치와 문화산업적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사물놀이는 공연단체로 출발하여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전통공연 양식으로 의미가 확장되었고 대중화를 통해 새로운 생활문화로 그 가치가 확산되었다. 따라서 사물놀이의 문화산업적 성과를 자체 공연상품으로써의 경쟁력, 새로운 문화콘텐츠 기반으로써의 역할 그리고 전통문화의 해체와 새로운 대중문화로의 계승이라는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의 기본 출발은 사물놀이의 개념을 재정리하고 사물놀이 창단의 여러 가지 상황과 배경을 검토하는데서 출발하였다. 이제껏 사물놀이에 대한 대부분의 개념 정의는 사물놀이의 의미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음을 고려하지 않고 사물놀이의 창단 초기의 음악형태 즉, 풍물장단을 앉아서 연주하는 새로운 무대 양식으로 한정하여 설명되어 왔다. 그러나 전문예술가들의 전유물이 아닌, 대중문화와 생활문화로서의 사물놀이의 역할과 의미를 고려한다면 ?사물악기로 전통장단을 연주하는 모든 형태의 연주 또는 연희(演戱)?라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의 재정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사물놀이가 탄생한 70년대 말의 전통문화가 처한 시대적 상황과 소극장 ?공간사랑?을 중심으로 한 인적(人的) 배경을 살펴보는 일은 사물놀이 탄생의 당위성과 음악적, 문화적 목표를 설명하는데 있어 아주 중요하다. 그리고 사물놀이를 탄생시킨 주역들의 성장 배경은 사물놀이의 뿌리가 되는 풍물과 남사당놀이의 관계성을 확인하고 사물놀이가 전문 예술단체로 성장해가는 동력을 설명할 수 있었다.
      사물놀이가 첫 연주를 가진 1978년 2월부터 완전한 예술단체로 공식적인 발표공연이 있었던 1980년 사이의 연주자와 연주곡목에 대한 기록들은 참고문헌마다 조금씩 다를 뿐 아니라 잘못된 기록들이 반복적으로 재인용되고 있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때문에 본 연구자는 사물놀이가 보관하고 있는 여러 가지 초기 자료들을 취합하고 김덕수, 이광수, 최종실 3명의 창단멤버들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오류를 바로잡고 연보 형식으로 정리하였다. 역사적 사실에 대한 자료 정리는 본 연구의 전개에서뿐만 아니라 사물놀이에 대한 후속연구에 있어서도 객관적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사물놀이 30년간의 역사적 전개과정은 크게 세 개의 시기로 분류하여, 각 시기마다의 다양한 음악적 성과와 문화상품으로써의 가치를 높여가는 전략적 활동에 주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제1기(1978-1980년대 중반)의 활동은 사물놀이 탄생 주역들의 탁월한 음악적 재능과 사물놀이를 통해 성취하고자 하였던 전통예술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과정이며, 제2기(1980년대 중반-1990년대 초반)의 활동은 사물놀이의 양적 확대(대중화)와 질적 성장(성공적인 해외시장 공략)을 이루는 과정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제3기(1993년-현재)의 활동은 글로벌 마케팅, 축제의 활용 그리고 새로운 문화콘텐츠 개발 등 문화산업의 측면에서 사물놀이의 활동에 초점을 두었다. 전체적으로 사물놀이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보는 작업은 각 시기마다의 문화적 환경과 대중의 인식 변화에 따라 전통예술이 생명력을 유지하고 경쟁력을 높여가는 ?작은 전통(the little tradition)?의 ?상황적 계승?이라는 의미와 과정을 살펴보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사물놀이 30년간 활동의 결과는 다양한 방식으로 우리 사회와 문화에 영향을 끼쳤다. 전통의 창조적 계승이라는 패러다임과 이를 위한 노력은 현 시점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며 지속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공연예술로써 사물놀이의 가치는 문화산업적 관점에서도 성공사례를 충분히 보여주었고 곧 새로운 콘텐츠의 개발과 시장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통이라는 민족의 문화유산이 사회적으로 새로운 가치를 부여받고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문화적 특성이라는 문화산업의 중요한 자산이 될 수 있음을 사물놀이가 보여주었고 다른 문화콘텐츠 산업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과 의의 1
      • 2.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4
      • 3. 연구 방법 8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과 의의 1
      • 2.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4
      • 3. 연구 방법 8
      • Ⅱ. 사물놀이의 개념과 창단 배경 11
      • 1. 사물놀이의 개념 정의 11
      • 2. 풍물과 남사당놀이 17
      • 3. 사물놀이 창단의 배경 22
      • 4. 창단과정의 기록 검토 26
      • Ⅲ. 사물놀이의 역사적 전개 37
      • 1. 제1기(1978-1980년 중반) : 음악과 공연양식의 정리 37
      • 2. 제2기(1980년 중반-1992년) : 대중화와 해외시장 진출 49
      • 3. 제3기(1993년 - 현재) : 공연양식의 다양화와 콘텐츠 개발 63
      • Ⅳ. 사물놀이의 문화산업적 성과 71
      • 1. 전통의 창조적 계승을 통한 사물놀이의 사회문화적 가치 73
      • 2. 사물놀이와 김덕수의 문화산업적 상품 가치 78
      • 3. 새로운 공연콘텐츠의 기반 제공 86
      • Ⅴ. 전통공연예술의 현황과 과제 91
      • 1. 전통공연예술의 제작 현황 91
      • 2. 전통공연예술의 산업화를 위한 과제 94
      • Ⅴ. 결 론 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