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과 학부모의 식생활을 파악하여 초등학생의 식생활 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편의 표집하여 2018년 9월 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35322
공주 :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초등실과교육전공 , 2020. 2
2020
한국어
충청남도
105 ; 26 cm
지도교수: 지옥화
I804:44003-20000029884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과 학부모의 식생활을 파악하여 초등학생의 식생활 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편의 표집하여 2018년 9월 1...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과 학부모의 식생활을 파악하여 초등학생의 식생활 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편의 표집하여 2018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설문조사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학생은 일반사항, 식생활 및 건강관련 요인, 간식 섭취 실태, 식생활습관을 학부모는 일반사항, 식생활 관련 요인, 영양지식, 식생활습관을 조사하였다.
남학생은 158명(49.2%), 여학생은 163명(50.8%)이었으며 체질량지수 분석 결과 저체중 195명(60.7%), 정상 95명(29.6%)이었고 비만은 31명(9.7%)이었다.
학생 식사 횟수는 하루 3번이 209명(65.9%)으로 가장 높았고 수면시간과 유의성을 나타냈다(p<0.05). 편식은 ‘조금하는편’이 222명(69.2%)로 가장 높았고 지역에 따라 편식과 편식 이유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p<0.05). 지역에 따라 건강보조식품 섭취 여부에 차이(p<0.05)가 있었으며 세종의 경우 24명(40%)로 섭취율이 가장 높았다.
간식 섭취이유는 ‘맛이 있어서’가 208명(64.8%)으로 가장 높았고 학생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간식 섭취 장소는 ‘집’이 219명(68.2%)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편의점·패스트푸드점이 60명(18.7%)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거주지역과 학생 수면시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학생 성별, 거주지역, 부모 영양지식 점수, 학부모 학력, 학생 수면시간에 따라 간식 종류별 섭취에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식생활 평균점수를 보면 학생의 경우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에서 2.57점으로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으며 학부모의 경우 ‘단 음식을 먹는다.’에서 2.59점으로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학부모 영양지식 점수 문항에서는 단백질과 탄수화물에 관련된 문항의 정답 평균점수가 0.21점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학부모 영양지식과 학부모 학력과 유의미한 차이도 나타났다(p<0.001). 또한 학부모 영양지식과 학생·학부모 식생활습관 문항별 상관관계에서도 학부모의 영양지식이 학생과 학부모의 식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생의 올바른 식생활습관을 위해서 학부모의 식생활습관과 영양지식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선행 연구결과들과 일치하며 앞으로도 학생의 올바른 식생활습관 정착을 위해 실과교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가정과 연계한 지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dietary lif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their par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etary ed...
This study is about the dietary lif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their par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etary education by grasping the dietary life of 6th grade students and their par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2018 to September 30, 2018 in a survey.
Students examined general information, dietary and health related factors, snack intake, and dietary habits. Parents examined general information, dietary factors,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There were 158 males (49.2%), 163 females (50.8%), and 195 (60.7%) were underweight, 95 (29.6%) were normal, and 31 (9.7%) were obese.
The number of student meals was the highest at 209 (65.9%), 3 times a day, and it was significant with sleep time (p <0.05). The number of meals was the highest at 222 people (69.2%), and there was a significant result from the reasons for the type of eating and the types of eating (p <0.05). There was a difference (p <0.05) in the consumption of dietary supplements by region, and the highest intake rate was 24 (40%) in Sejong.
The reason for snack intake was 'the taste' was highest in 208 people (64.8%),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of students (p <0.05). The most common place for snacks was '219' (68.2%), followed by 60 convenience stores and fast food restaurants (18.7%). The intakes of snacks were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student gender, residence area, parental nutrition score,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student sleep time.
According to the average food score, students had the highest average score of 2.57 in 'periodical exercise every day' and parents had the highest average score of 2.59 in 'eating sweet food'. The parental knowledge score item showed a very low average score of 0.21 for questions related to protein and carbohydrate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rental nutrition knowledge and parental education (p <0.001). In addition, parental nutrition knowledge and parent-child dietary habits related items showed that parental nutrition knowledge affects student and parent's dietary life.
This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showing that parents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are important for the student's proper eating habits. In addition, guidance is needed in various ways as well as in the classroom to establish students' correct eating habits. It is considered to b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