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시조 암송을 통한 한국어능력 향상 사례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951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correlation of Sijo recitation and Korean proficiency, the experience examples of reciting about 300 Sijo in one year and a half from April, 2012 to September 2013 were described. The influence of Sijo recitation on the improvement of Korean proficiency was analyzed and the instruction measure on Sijo recitation education was suggested as well.
      This research methods focused on the case method and narrative method, along with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notes, diaries, reports, report card of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recording files, narrative description of the researchers, and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process of Sijo recitation were collected and applied. Based on these materials, other achievement experiences which were different from the inchoate simple memorization, comprehension memorization, and the process of progress of proficient recitation phase of the Sijo recitation were described in details. Moreover, to improve the objectivity and credibility reliability, the records of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he results of the question investigation, the changes of the researchers' psychological attitude to Korean during the diagnosis process to the Korean proficiency were described and analyzed with the narrative form. Then, the increasing degree of the Korean proficiency (vocabulary, grammar, pronunciation, culture, literature, listening, reading, speaking, writing) was diagnosed based on the phases of Sijo recitation. The increased features of Korean proficiency at each stage were also analyzed for the progress of next stage.
      According to the progress and results, the Sijo recitation education, as the integrated educational method, can be applied helpfully for improving the Korean proficiency. This research objective was to contribute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nd literature. The education subjects with high level of Korean proficiency were selected and the standard of selection of Sijo arts and subject works were also proposed. The instruction method of the Sijo recitation was divided into six stages which were ‘introduction - before Sijo recitation- Sijo recitation - after Sijo recitation - sort out’ Furthermore, the evaluation items and the anticipation were suggested for the future developments of the educational method of the Sijo recitation.
      번역하기

      Based on the correlation of Sijo recitation and Korean proficiency, the experience examples of reciting about 300 Sijo in one year and a half from April, 2012 to September 2013 were described. The influence of Sijo recitation on the improvement of Kor...

      Based on the correlation of Sijo recitation and Korean proficiency, the experience examples of reciting about 300 Sijo in one year and a half from April, 2012 to September 2013 were described. The influence of Sijo recitation on the improvement of Korean proficiency was analyzed and the instruction measure on Sijo recitation education was suggested as well.
      This research methods focused on the case method and narrative method, along with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notes, diaries, reports, report card of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recording files, narrative description of the researchers, and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process of Sijo recitation were collected and applied. Based on these materials, other achievement experiences which were different from the inchoate simple memorization, comprehension memorization, and the process of progress of proficient recitation phase of the Sijo recitation were described in details. Moreover, to improve the objectivity and credibility reliability, the records of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he results of the question investigation, the changes of the researchers' psychological attitude to Korean during the diagnosis process to the Korean proficiency were described and analyzed with the narrative form. Then, the increasing degree of the Korean proficiency (vocabulary, grammar, pronunciation, culture, literature, listening, reading, speaking, writing) was diagnosed based on the phases of Sijo recitation. The increased features of Korean proficiency at each stage were also analyzed for the progress of next stage.
      According to the progress and results, the Sijo recitation education, as the integrated educational method, can be applied helpfully for improving the Korean proficiency. This research objective was to contribute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nd literature. The education subjects with high level of Korean proficiency were selected and the standard of selection of Sijo arts and subject works were also proposed. The instruction method of the Sijo recitation was divided into six stages which were ‘introduction - before Sijo recitation- Sijo recitation - after Sijo recitation - sort out’ Furthermore, the evaluation items and the anticipation were suggested for the future developments of the educational method of the Sijo recit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조 암송과 한국어능력과의 상관성에 기초하여, 연구자 본인을 참여자로 2012년 4월부터 2013년 9월까지 1년 반 동안 300여 편의 시조를 암송한 경험 사례를 기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조 암송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연구하였고 한국어능력 향상을 위한 시조 암송 교육 방안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사례 연구법과 내러티브 연구법을 중심으로 하였고 설문조사도 함께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 자료로는 연구자가 시조 암송 과정에서 수집했던 노트 필기, 일기, 감상문, 한국어능력시험 성적표, 녹음 파일, 참여연구자의 내러티브 기술, 설문지 등을 활용하였다.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시조 암송 단계인 단순 암기, 이해 암기, 능숙한 암송 단계의 진행 과정과 그에 따른 성취 경험을 자세히 기술했다. 또한 연구의 객관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각 단계의 한국어능력 진단 과정에서 한국어능력시험 성적, 설문조사 결과, 한국어에 대한 참여연구자의 심리 태도 변화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서 시조 암송을 통한 한국어능력의 향상 정도를 진단했고 각 시조 암송 단계에서 향상된 한국어능력의 특징도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과 결과에 따라 한국어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적 언어 교육으로서의 시조 암송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 대상은 고급 수준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로 선정했고, 시조 작품의 선정 기준 및 대상 작품도 제시했다. 시조 암송 교육 방안은 시조 암송 교육 단계인 ‘도입 - 시조 암송 전 - 시조 암송 - 시조 암송 후 - 정리’의 다섯 단계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했다. 그리고 시조 암송 교육 방안의 향후 발전을 위한 평가 항목과 기대도 제시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시조 암송과 한국어능력과의 상관성에 기초하여, 연구자 본인을 참여자로 2012년 4월부터 2013년 9월까지 1년 반 동안 300여 편의 시조를 암송한 경험 사례를 기술하였다. 이를 바탕으...

      본 연구는 시조 암송과 한국어능력과의 상관성에 기초하여, 연구자 본인을 참여자로 2012년 4월부터 2013년 9월까지 1년 반 동안 300여 편의 시조를 암송한 경험 사례를 기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조 암송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연구하였고 한국어능력 향상을 위한 시조 암송 교육 방안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사례 연구법과 내러티브 연구법을 중심으로 하였고 설문조사도 함께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 자료로는 연구자가 시조 암송 과정에서 수집했던 노트 필기, 일기, 감상문, 한국어능력시험 성적표, 녹음 파일, 참여연구자의 내러티브 기술, 설문지 등을 활용하였다.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시조 암송 단계인 단순 암기, 이해 암기, 능숙한 암송 단계의 진행 과정과 그에 따른 성취 경험을 자세히 기술했다. 또한 연구의 객관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각 단계의 한국어능력 진단 과정에서 한국어능력시험 성적, 설문조사 결과, 한국어에 대한 참여연구자의 심리 태도 변화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서 시조 암송을 통한 한국어능력의 향상 정도를 진단했고 각 시조 암송 단계에서 향상된 한국어능력의 특징도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과 결과에 따라 한국어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적 언어 교육으로서의 시조 암송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 대상은 고급 수준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로 선정했고, 시조 작품의 선정 기준 및 대상 작품도 제시했다. 시조 암송 교육 방안은 시조 암송 교육 단계인 ‘도입 - 시조 암송 전 - 시조 암송 - 시조 암송 후 - 정리’의 다섯 단계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했다. 그리고 시조 암송 교육 방안의 향후 발전을 위한 평가 항목과 기대도 제시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연구사 4
      • 1.3. 연구 방법 9
      • Ⅱ. 시조 암송과 한국어능력과의 상관성 15
      • Ⅰ. 서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연구사 4
      • 1.3. 연구 방법 9
      • Ⅱ. 시조 암송과 한국어능력과의 상관성 15
      • 2.1. 암송과 언어능력의 상관성 15
      • 2.2. 시조 암송을 통한 한국어능력의 신장 19
      • 2.3. 한국어능력 신장을 위한 암송의 경험 설계 25
      • Ⅲ. 시조 암송 단계에 따른 교육적 경험 33
      • 3.1. 단순 암기 단계 33
      • 3.1.1. 단순 암기 단계의 진행 33
      • 3.1.2. 단순 암기 단계의 성과 36
      • 3.1.2.1. 한국어 어휘 구사 능력의 신장 36
      • 3.1.2.2. 한글 ‘고어’와 관련된 지식의 습득 41
      • 3.1.3. 한국어능력의 진단: 어휘 학습의 흥미 증진과 어휘 활용의 자신감 증가 45
      • 3.2. 이해 암기 단계 50
      • 3.2.1. 이해 암기 단계의 진행 50
      • 3.2.2. 이해 암기 단계의 성과 54
      • 3.2.2.1. 시조 내용 이해를 통한 한국 문화 지식의 습득 54
      • 3.2.2.2. 연행 특성 이해를 통한 발음 능력의 신장 61
      • 3.2.3. 한국어능력의 진단: 말하기 자신감의 증가와 다양한 한국 문화 지식의 습득 67
      • 3.3. 능숙한 암송 단계 72
      • 3.3.1. 능숙한 암송 단계의 진행 72
      • 3.3.2. 능숙한 암송 단계의 성과 75
      • 3.3.2.1. 한국어 문장 구조의 활용 75
      • 3.3.2.2. 한국어 준언어적 표현 능력과 수사적 표현 능력의 신장 82
      • 3.3.3. 한국어능력의 진단: 독서의 흥미 증진과 다채로운 표현 방식의 탐색 87
      • 3.4. 사례의 특수성 및 한계점 92
      • Ⅳ. 한국어능력 향상을 위한 시조 암송 교육 방안 94
      • 4.1. 시조 암송 교육의 목표 및 대상 94
      • 4.2. 시조 암송 교육의 단계별 내용 97
      • 4.3. 시조 암송 교육의 평가 106
      • Ⅴ. 결론 110
      • 참고문헌 114
      • 부 록 <설문지> 119
      • ABSTRACT 1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