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분만 역할극을 활용한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178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분만 역할극을 활용한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 소재 4...

      본 연구는 분만 역할극을 활용한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 소재 4년제 일대학의 간호학과 4학년 통합간호학실습을 수강하는 학생 78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의사소통능력은 역할극 전 89.87점,역할극 후 92.15점이었으며, 분만 역할극을 활용한 간호교육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지는 못했다(t=1.55, p=.125). 둘째,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은 역할극 전 평균 3.17점에서 역할극 후 3.54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6.07, p<.001).
      최근 간호학 전공 학생들의 학습성과 달성과 실습 교육의 극대화를 위한 전략으로 시뮬레이션이나 역할극 활용의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는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특히 본 연구를 바탕으로 임상실습이 힘들어지고 있는 여성건강간호학과 관련된 다양한 역할극의 활용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ursing education using role play of delivery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A one-group, pre-post design was utilized. The participants were 78 nursing students in G ci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ursing education using role play of delivery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A one-group, pre-post design was utilized. The participants were 78 nursing students in G city who took an investigated nursing practice.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with the SPSS win 18.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first, before the role play, the average score for communication ability was 89.87 points, after the role play was 92.15 points. Nursing education using role pla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ability (t=1.55, p=.125).
      Second, the mean score for self-directed learning before the role play was 3.17 points, after the role play was 3.54 points. After nursing education of role play,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t=6.07, p<.001).
      Therefore nursing education using role play in women’s health nursing should be more widely u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I. 서론
      • II.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ABSTRACT
      • I. 서론
      • II.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References
      • 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서영, "임상적 의사소통상황 관련 역할극을 선행한 통합실습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3037-3045, 2014

      2 허예라, "의과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필기시험 성적과의 상관 연구" 한국의학교육학회 19 (19): 335-341, 2007

      3 박은옥, "역할극을 활용한 가족간호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감성지능,의사소통능력과 가족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656-662, 2013

      4 강명옥, "역할극을 이용한 촉진적 의사소통술 훈련이 간호학생의 정신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상호작용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12 (12): 23-39, 2009

      5 김영희, "역할극 활용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평가방법에 대한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문제해결과정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147-155, 2012

      6 김증임, "여성건강간호학 실습교육의 현황과 과제" 여성건강간호학회 20 (20): 173-183, 2014

      7 이명선,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226-234, 2011

      8 김해란, "시뮬레이션기반 응급간호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5-13, 2011

      9 변혜선, "시뮬레이션 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8 (8): 261-273, 2014

      10 이선옥, "시뮬레이션 교육의 간호학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 13 (13): 90-94, 2007

      1 강서영, "임상적 의사소통상황 관련 역할극을 선행한 통합실습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3037-3045, 2014

      2 허예라, "의과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필기시험 성적과의 상관 연구" 한국의학교육학회 19 (19): 335-341, 2007

      3 박은옥, "역할극을 활용한 가족간호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감성지능,의사소통능력과 가족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656-662, 2013

      4 강명옥, "역할극을 이용한 촉진적 의사소통술 훈련이 간호학생의 정신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상호작용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12 (12): 23-39, 2009

      5 김영희, "역할극 활용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평가방법에 대한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문제해결과정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147-155, 2012

      6 김증임, "여성건강간호학 실습교육의 현황과 과제" 여성건강간호학회 20 (20): 173-183, 2014

      7 이명선,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226-234, 2011

      8 김해란, "시뮬레이션기반 응급간호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5-13, 2011

      9 변혜선, "시뮬레이션 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8 (8): 261-273, 2014

      10 이선옥, "시뮬레이션 교육의 간호학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 13 (13): 90-94, 2007

      11 류언나, "상부 위장관 출혈 환자 간호의 시뮬레이션-기반 학습효과와 만족도"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1274-1282, 2013

      12 김윤미, "간호학생의 여성건강간호학 임상실습 경험 및 만족도 조사" 여성건강간호학회 17 (17): 225-242, 2011

      13 최준희, "간호사의 학습 관련 자기주도성이 간호실무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병원간호사회 17 (17): 16-26, 2011

      14 양남영, "간호사의 학습 관련 자기주도성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13 (13): 473-480, 2007

      15 오원옥, "간호대학생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영향요인" 한국간호과학회 32 (32): 684-693, 2002

      16 조인영,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성, 간호활동경험 및 임상실습만족도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3635-3647, 2014

      17 정현정, "간호대학생의 여성건강간호 실습교육 위한 역할극을 활용한 교정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학습성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9 (9): 137-146, 2015

      18 J. J. Yang, "The relationship of clinical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10 (10): 271-277, 2004

      19 G. S. Kim,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on job attitude : W group mainly" Korea Univ 2004

      20 E. H. Mo, "The development of marital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couples'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s" Hanyang Univ 2001

      21 J. H. Park, "Study on enterprise self-initiative of the adult learner-center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Korea Univ 1998

      22 M. A. Beauchesne, "Simulation: Enhancing pediatric, advanced, practice nursing education" 11 (11): 28-34, 2011

      23 P. Candy, "Self-direction for lifelong learning : A comprehensive guide to theory and practice" Jossey-Boss 1991

      24 G. L. Gillespie, "Qualitative evaluation of a role play bullying simulation" 5 (5): 73-80, 2015

      25 F. Crofts, "Patient-actor perception of care: Acomparison of obstetric emergency training using manikins and patient actors" 17 : 20-24, 2008

      26 H. M. Park, "Nursing education : Effects of nursing education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on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clinical knowledge, and problem-solving 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19 (19): 111-118, 2012

      27 S. D. Birkhoff, "Enhancing pediatric clinical competency with high-fidelity simulation" 41 (41): 418-423, 2010

      28 Y. A. Song,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education for core skill of maternity nursing" 16 (16): 37-44, 2013

      29 K. Willy, "Effects of a self-directed learning project and preference for structure 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32 (32): 181-185, 1983

      30 E. Y. Choi, "Effects of a communication skills group on high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communication ability" Kosin Univ 2004

      31 L. M. Guglielmino,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Georgia Univ 1977

      32 L. Navran, "Communication and adjustment in marriage" 6 : 173-184, 1967

      33 C. Patterson, "A new perspective on competences for self-directed learning" 4 (4): 25-31,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7 0.781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