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국외독립운동사적지 탐방 경험 = Th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exploring historic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overs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071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qualitative study conducted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exploring historic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overseas. The study's participants were 24 nursing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who parti...

      This is a qualitative study conducted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exploring historic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overseas. The study's participants were 24 nursing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who participated in a program to explore the historic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overseas at a college in C County, Gyeongsangbuk-do.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December 23, 2017 to December 25, 2017. Th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in an open self-reporting proces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of Krippendorff[13].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exploring historic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overseas 19 sub-theme, 10 themes, and 4 categories were derived. The four categories are "Our History Represented in the wak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Footprint projected of an independent activist ", " Rage Boiling But Hope Remaining", "blooming patriotism through refl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 in exploring the historical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have shown that nursing students had the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s, inspire patriotism and reflect on their attitude as nurses. In addition, institutional efforts and resources should be supported to address the lack of policies on the preservation of the historic sites for independence movements overseas, which are dependent on the private sect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국외독립운동사적지 탐방경험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수행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상북도 C군 일개 대학에 국외독립운동사적지 탐방프로그램...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국외독립운동사적지 탐방경험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수행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상북도 C군 일개 대학에 국외독립운동사적지 탐방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 대학생 1.2학년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12월23일부터 12월 25일까지였으며, 자료 수집은 개방형 자기보고서식 성찰일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Krippendorff[13]의 질적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국외독립운동사적지 탐방 경험을 분석한 결과, 19개의 하위주제, 10개의 주제, 그리고 4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4개의 범주는 '독립운동의 흔적 앞에서 각인된 우리의 역사', '투영되는 독립운동가의 발자취', '끓어오르는 분노 그러나 남아있는 희망', '반성 속에 애국심의 꽃이 피다' 이다. 본 연구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독립운동사적지 탐방 경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으며, 간호 대학생들이 독립운동역사에 대한 인식제고, 애국심 고취 그리고 간호사로서의 자세에 대해 성찰하는 기회를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독립운동 사적지의 보존에 대한 정책이 미비해 민간에 의지하고 있는 현실임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과 자원이 뒷받침되어야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성호, "호국보훈을 위한 민·관·학·연 거버넌스 구축방안: 나라사랑교육 확산을 중심으로" 한국보훈학회 16 (16): 77-113, 2017

      2 안성호, "청소년 보훈·안보교육 활성화방안" 한국보훈학회 10 (10): 117-141, 2011

      3 안성호, "시민·학생을 위한 나라사랑교육 증진방안 연구" 한국보훈학회 15 (15): 91-123, 2016

      4 권기숙, "보훈의식 강화를 위한 국가정체성 교육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한국보훈학회 12 (12): 79-116, 2013

      5 공진성, "독립유공자 및 호국용사를 얼마나 존경하십니까: 보훈대상자에 대한 존경심의 결정요인분석" 한국보훈학회 15 (15): 61-90, 2016

      6 김태열, "대학생들의 애국심ㆍ통일ㆍ안보 의식수준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1-14, 2014

      7 김태열, "대학생들의 안보위기와 관련된 보훈인식도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211-229, 2013

      8 신은숙, "대전·충남지역 대학생들의 보훈 인식도와 관련요인" 한국보훈학회 16 (16): 63-76, 2017

      9 김정애, "간호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생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 (3): 83-92, 2017

      10 Y. S. Lincoln, "Naturalistic Inquiry" Sage 1985

      1 안성호, "호국보훈을 위한 민·관·학·연 거버넌스 구축방안: 나라사랑교육 확산을 중심으로" 한국보훈학회 16 (16): 77-113, 2017

      2 안성호, "청소년 보훈·안보교육 활성화방안" 한국보훈학회 10 (10): 117-141, 2011

      3 안성호, "시민·학생을 위한 나라사랑교육 증진방안 연구" 한국보훈학회 15 (15): 91-123, 2016

      4 권기숙, "보훈의식 강화를 위한 국가정체성 교육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한국보훈학회 12 (12): 79-116, 2013

      5 공진성, "독립유공자 및 호국용사를 얼마나 존경하십니까: 보훈대상자에 대한 존경심의 결정요인분석" 한국보훈학회 15 (15): 61-90, 2016

      6 김태열, "대학생들의 애국심ㆍ통일ㆍ안보 의식수준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1-14, 2014

      7 김태열, "대학생들의 안보위기와 관련된 보훈인식도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211-229, 2013

      8 신은숙, "대전·충남지역 대학생들의 보훈 인식도와 관련요인" 한국보훈학회 16 (16): 63-76, 2017

      9 김정애, "간호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생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 (3): 83-92, 2017

      10 Y. S. Lincoln, "Naturalistic Inquiry" Sage 1985

      11 Y. O. Yoo, "Directions of Cultivating on the Patriotism of Young People" 10 (10): 25-48, 2007

      12 Krippendorff, K.,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Sage publications 2003

      13 H. C. Park, "Considerations on the Ways to Promote Patriotism among the Young Generation" 4 (4): 65-101, 2005

      14 H. Y. Jeong, "A study on the Patriots & Veterans Consciousness of among University Students" 3 (3): 75-92, 2004

      15 S. S. Kang, "A Problem Research and Present conditions about Institution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in the Republic of Korea" 1 (1): 59-92, 2003

      16 Y. S. Kim, "A Corroborative Study on the way to increase Patriotic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10 : 1-39,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