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불모대공작명왕경(佛母大孔雀明王經)』에 나타난 주력수행에 대한 고찰 = The Consideration of Vidiyā Power Practice in the Ārya-mahā-mayūrī vidyā-rājñī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밀교경전인 『불모대공작명왕경(佛母大孔雀明王經)』에 나타난 주력수행의 특징과 그 의의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력수행은 대개 다라니(dhāraṇi, 陀羅尼)를 포함...

      본 연구는 밀교경전인 『불모대공작명왕경(佛母大孔雀明王經)』에 나타난 주력수행의 특징과 그 의의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력수행은 대개 다라니(dhāraṇi, 陀羅尼)를 포함한 경전의 독송방식에 그 주안점을 둔다. 그러나 이 경전의 주력수행은 독송의 방식과 더불어 결계(結界)라는 의식을 병행하고 설해지는 다라니와 진언의 종류에 따라 그 방식이 달라진다. 이러한 특징은 본 경전이 대승 경전에서의 다라니의 기능을 계승하면서도 밀교의 관상수행과 의식작법으로 발전할 수 있는 요소를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먼저 주력의 의미와 형태에서는 주력수행이 초기불교부터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어떤 의미와 형태로 발전해 왔는지를 살펴본다. 여기서 주력수행은 세속적인 성취와 출세간적인 성취의 양면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양면적 특징은 밀교의 세속적인 성취인 호마법과 출세간적인 성취의 관법수행으로 연계된다는 점을 드러낸다. 또한 『불모대공작명왕경』의 주력 수행에서는 상(上)ㆍ중(中)ㆍ하(下)권에 나타난 주력수행의 방법이 설시된 진언ㆍ다라니에 따라 각기 독송, 억념(憶念), 수지(受持), 칭념(稱念)이라는 차이가 있다는 점을 설명한다. 그리고 주력수행자가 '불모명왕다라니(佛母明王陀羅尼)'와 '불모대공작명왕진언(佛母大孔雀明王眞言)'의 독송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공덕의 유형에 대하여 살펴본다. 공덕의 유형은 한편으로는 사람에게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재앙과 환란을 제거하고 수명의 장수와 안락을 말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모든 곳에 거주하는 이들이 자비심을 일으켜 중생을 이익 되게 하고, 죄와 업장의 소멸로 인한 불법의 깨달음을 내포한다. 이처럼 『불모대공장명왕경』에서의 주력수행은 다면적인 주력수행의 형태를 보여주며, 세간적 성취와 출세간적 성취의 일미(一味)를 이끌어 낸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a characteristic and significance of vidyā power practice in the Ārya-mahā-mayūrī vidyā-rājñī of Esoteric Buddhism scriptures. In general, vidyā power practice p...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a characteristic and significance of vidyā power practice in the Ārya-mahā-mayūrī vidyā-rājñī of Esoteric Buddhism scriptures. In general, vidyā power practice places emphasis on reading the Buddhist scriptures including dhāraṇi. However, vidyā power practice of this scriptures combines both reading and boundary mark ritual and its form is different from the type of the dhāraṇi and mantra given explanation in the scriptures. This characteristic means that this scriptures inherits the function of dhāraṇi in Mahāyāna sūtra and considers as having the elements of being able to develope visualization practice and ritual method(Homa).
      At first, in the meaning and form of vidyā power practice examines it to having developed as a certain meaning and form from the Early Buddhism to Mahāyāna Buddhism. The vidyā power practice of this period has both values, that is to say, both the mundane aim and the transcendental aim. And these both values reveal the connection of the vidyā power practice for the mundane aim and visualization practice for the transcendental aim in Esoteric Buddhism.
      Also in the vidyā power practice of the Ārya-mahā-mayūrī vidyā-rājñī make clear the difference of the vidyā power practice, reading, smaraṇa, dhārayati, and grahaṇa, according to dhāraṇi or mantra explained in scriptures.
      And the reading of Ārya-mahā-mayūrī vidyā-rājñī causes good deeds. For example, it removes all disaster, disarrangement occurring in people and gives long life, serenity to them. Futhermore, thanks to its practice, everything or everybody abiding everywhere causes a merciful heart and is beneficial for all living beings and at last all people achieve enlightenment.
      At this points, vidyā power practice in the Ārya-mahā-mayūrī vidyā-rājñī is including the various forms of vidyā power practice and it has the value of the sameness of both the mundane aim and the transcendental ai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Ⅰ. 서론
      • Ⅱ. 주력의 의미와 형태
      • Ⅲ. 『불모대공작명왕경』의 주력수행
      • Ⅳ. 『불모대공작명왕경』의 주력수행 의의
      • 국문 요약
      • Ⅰ. 서론
      • Ⅱ. 주력의 의미와 형태
      • Ⅲ. 『불모대공작명왕경』의 주력수행
      • Ⅳ. 『불모대공작명왕경』의 주력수행 의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호성, "천수경과 관음신앙" 동국대학교출판부 2006

      2 밧따짜리야, "밀교학" 불광출판부 1995

      3 松長有慶, "밀교경전 성립사론" 불광출판부 1993

      4 Dasgupta, S.B., "딴뜨라불교입문" 민족사 1993

      5 선상균, "다라니 의미의 체계화 과정" (창간) : 40-90, 2009

      6 奈良康明, "眞實語について" (38) : 19-38, 1972

      7 賴富本宏, "大日經入門" 大法輪閣 2000

      8 "佛母大孔雀明王經 外"

      9 "佛母大孔雀明王經"

      10 吉祥, "佛敎大辭典" 홍법원 2001

      1 김호성, "천수경과 관음신앙" 동국대학교출판부 2006

      2 밧따짜리야, "밀교학" 불광출판부 1995

      3 松長有慶, "밀교경전 성립사론" 불광출판부 1993

      4 Dasgupta, S.B., "딴뜨라불교입문" 민족사 1993

      5 선상균, "다라니 의미의 체계화 과정" (창간) : 40-90, 2009

      6 奈良康明, "眞實語について" (38) : 19-38, 1972

      7 賴富本宏, "大日經入門" 大法輪閣 2000

      8 "佛母大孔雀明王經 外"

      9 "佛母大孔雀明王經"

      10 吉祥, "佛敎大辭典" 홍법원 2001

      11 立川武藏, "中國密敎" 春秋社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OJOSASANG, Journal of Bojo Thought -> 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53 1.60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