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골반장기탈출증 수술 전 시행하는 요역동학 검사에서 수술 후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유용한 지표와 동시수술의 타당성: 후향적 코호트 연구 = Effective Parameters of Urodynamic Study Before Pelvic Organ Prolapse Surgery And Validation of Concomitant Surgery On Urinary Outcomes: Retrospective Cohort Study골반장기탈출증 수술 전 시행하는 요역동학 검사에서 수술 후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유용한 지표와 동시수술의 타당성: 후향적 코호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992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골반장기탈출증을 가진 환자들의 수술 전에 시행하는 요역동학 검사에서 수술 후 결과 및 합병증과 관련된 유용한 지표를 알아보고, 골반장기탈출증 교정술과 복압성 요실...

      목적 본 연구는 골반장기탈출증을 가진 환자들의 수술 전에 시행하는 요역동학 검사에서 수술 후 결과 및 합병증과 관련된 유용한 지표를 알아보고, 골반장기탈출증 교정술과 복압성 요실금교정술을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 그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2006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 등록된 수술 전 요역동학 검사 및 골반장기탈출증 수술을 시행한 30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복압성 요실금의 유병률은 수술 전 요역동학 검사상 복압성 요실금을 진단받지 않아 골반장기탈출증 수술만 시행한 그룹 2 (3.1%, 4명)에서 복압성 요실금을 진단받아 요실금교정 수술을 동시에 시행한 그룹 1 (1.7%, 3명)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우리는 valsalva 유발 요누출 시 복압, 최대요도 폐쇄압, 최대요속, 최대요속 시 배뇨근압력, 최대 방광용적의 5가지 요역동학 검사 지표를 비교하였다. 수술 후 복압성 요실금에서는 최대요속 시 배뇨근압력(교차비, 1.029; 95% 신뢰구간, 1.001-1.038)이, 절박성 요실금의 경우 최대요도 폐쇄압(교차비, 0.969; 95% 신뢰구간, 0.942-0.996)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지표로 나타났다. 결론 수술 후 합병증의 유병률에 중점을 두면, 동시 수술은 골반장기탈출증 수술만 하는 경우보다 더 나은 결과를 나타내며 수술 전 요역동학 검사에서도 의미 있는 지표가 있어 그 시행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o evaluate effective parameters of preoperative urodynamic study (UDS) before performing surgery for pelvic organ prolapse (POP) and to validate effectiveness of concomitant surgery on urinary outcomes.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coho...

      Objective To evaluate effective parameters of preoperative urodynamic study (UDS) before performing surgery for pelvic organ prolapse (POP) and to validate effectiveness of concomitant surgery on urinary outcomes.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308 patients who had UDS before POP surgery from January 2006 through December 2010 at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Seoul, Korea.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by positive result of UDS (group 1) had a concomitant sling operation with POP surgery. And the patients were not diagnosed with SUI by negative result of UDS (group 2) did not. Results The prevalence rate of de novo SUI in group 2 (3.1%, n = 4) higher than group 1 (1.7%, n = 3),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 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 checked 5 parameters of UDS (valsalva leak point pressure, maximal urethral closing pressure [MUCP], maximal fl ow rates, detrusor pressure at maximal fl ow [PdetMax], maximal cystometric capacity confi dence). PdetMax and MUCP was statistically signifi cant parameter in postoperative de novo SUI (odds ratio [OR], 1.020; 95% confi dence intervals [CI], 1.001-1.038) and postoperative de novo urgency urinary incontinence (UUI; OR 0.969; 95% CI, 0.942-0.996).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results of preoperative UDS and concomitant surgery can be associated with prevalence rate of postoperative de novo SUI. Focused on prevalence of postoperative urinary complications, concomitant surgery was better than only prolapse surgery. PdetMax in SUI and MUCP in UUI were statistically signifi cant parameters of UDS related on urinary outcom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