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어미 상승 현상의 평가기준에 관한 고찰 = A Study of the evaluations of Korean Learners` Uptalk leve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게 빈번히 나타나는 어미 상승 현상을, 일본어 교사들이 어떠한 기준으로 평가하는가에 대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어미 상승 현상의 요인이나 발현...

      이 연구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게 빈번히 나타나는 어미 상승 현상을, 일본어 교사들이 어떠한 기준으로 평가하는가에 대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어미 상승 현상의 요인이나 발현 메커니즘에 관한 내용이었으며, 어미 상승 현상이 발현하는 곳의 수준과 그 판정 기준의 상관관계에 주목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기존 연구의 한계점에 착안하여, 우선 어미 상승 현상이 빈출하는 학습자의 발화에 대해서, 피치의 상승률과 어미 상승현상이 지속된 시간의 분석을 실시했다. 이 후, 그 발화를 각각 일본인, 한국인 일본어 교사에 들려주고, 어느 수준에서 교정이 필요한 레벨이라고 판단하는지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어미 상승 현상으로 판정되기 위해서는, 피치의 상승률과 그 지속 시간에 강한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교육자가 어미 상승 현상이라고 판단하기 위해서는 피치의 상승률과 지연시간 이라는 두 개의 요소가 동시에 출현할 필요가 있음이 분명해졌다. 즉, 피치의 상승률이 작아도 지연 시간이 짧은 경우나, 반대로 지연시간이 길어도 피치 상 승률이 작은 경우는 어미 상승 현상으로 판정되기 어려운 것이다. 그러나 각각 의 값이 작아도, 피치의 상승률과 지연시간이 일정 수준을 동시에 넘고 있으면, 어미 상승 현상으로 판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그만큼 뚜렷하지 않은 어미 상승 현상도 어미 상승 현상으로 판정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학습자에 대한 발음 지도의 필요성이 높은 것이 재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s of an examination how teachers of Japanese evaluate Korean Learners’ Uptalk level. Because intonation and accents are requisite to intelligible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for Korean learners of Japanese to acquir...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s of an examination how teachers of Japanese evaluate Korean Learners’ Uptalk level. Because intonation and accents are requisite to intelligible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for Korean learners of Japanese to acquire natural intonation and accents. Research has thus far shown that Korean learners of Japanese tend to have Uptalks at the end of each word. However, research focused on these issues has thus far prioritized examination of the mechanisms or the elements of Uptalk, and little work toward providing acriteria of evaluation of Uptalk has been seen. In order to establish a better method for education about intonation, it is necessary for the teachers to be aware of the level of Uptalk, as intonation should be corrected with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This study was thus conducted in order to work toward providing a defining framework of levels of Uptalk for educators to apply/examine/reference for learner correction. An analysis on speech with many Uptalks was first conducted. In the analysis, the experiment explored relationships between increase ratios of pitch and the duration of Korean learner``s Uptalks. Through the experiment, a correlation between the increase ratio of the pitch and the duration time was revealed. Specifically,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se two elements have mutual affect. The findings suggest that even minor UPTALK with small increases in pitckratio should be pointed out as problematic by the educators, if the UPTALK has enough duration time.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the UPTALK might give a bad impression to native speakers of Japane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ven minor UPTALKs should be pointed out and corrected by teachers and provides clearer definitions of learner UPTALK for teachers to reference in order to conduct such education properl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