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 역사교과서 보완적 이해를 위한 박물관 유물 활용 학습 방안 : 국립 중앙 박물관 조선·대한제국실 중 16세기 임진왜란, 병자호란 부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Utilization of Museum Artifacts for Supplementary Understanding of Elementary History Textbooks :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hosun and the Korean Empire among 16th century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Manchu war of 1636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624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Utilization of Museum Artifacts for Supplementary Understanding of Elementary History Textbooks -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hosun and the Korean Empire among 16th century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Manchu war of ...

      ABSTRACT


      A Study on Utilization of Museum Artifacts for Supplementary Understanding of Elementary History Textbooks
      -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hosun and the Korean Empire among 16th century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Manchu war of 1636-

      Jang Seok Ouen
      Major in Museum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oe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ion.

      The history presented in the textbooks of elementary history has been explained mainly in the figures of political history. These narratives can make students feel like 'I can not do history' or 'A story far from me'. Because students can perceive that history is only a story of great people and heroes, and that it is not related to ordinary people. But history is the manifestation of the lives of so many people at that time. However, it is not showing in the textboo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rehend complementarily the missing history in textbooks.
      One way to do this is to use museum artifacts. The relic is a living record containing many things such as people's thoughts, form and effort. However, simply observing artifacts does not mean that we can find many stories contained in it. Therefore, a specific method of learning relics is needed to guide students in discovering stories in relics.
      In this study, we use the seven relational approach of artifact - based understanding learning model and Hooper Greenhill to plan and plan lessons focusing on the three relics of Seungja chongtong gun, Three barreled gun, and Matchlock gun.
      Based on the artifact - based understanding learning model of Lim Ki - hwan and Kim Ok - jin, the researcher planned the five steps of learning, observation, reasoning, information expansion, contextualization and re - viewing. Level 1 is a process that creates a link between students and artifacts. The second step is to get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from the artifacts. To do this, I tried to trace the remains and answer the questions. In the third stage inference, it is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that can be known through the museum description label in relation to the relic. Read the museum's descriptive label carefully and answer questions from teachers and friends. In the fourth stage information extension,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tutorial presented by the teacher is confirmed,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artifacts is broadened. In the contextual comprehension and re - viewing, we compare and compare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relics of the relics through the comparison of relics.
      In the meantime, there are few studies using museum artifacts for the purpose of supplementing textbooks. In addition, research on the use of museum artifacts has been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life of people at the time through objects such as relics related to the Neolithic Age, ceramics, costumes, and paintings.
      This researcher used Seungja chongtong gun, Three barreled gun, and Matchlock gun which are war weapons under the theme of war, to help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postwar Korea through efforts for the development of new weapon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s a whole. In order to apply these museum learning models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Chosun Dynasty and the Imperial Palace of Korea During the 16th century.
      This study giv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a concrete methodology for complementary understanding of textbooks using museum artifacts is presented considering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ly, we have organized the program with relics such as Seungja chongtong gun, Three barreled gun, and Matchlock gun.
      Third, the post-war Chosun efforts to develop new weapons were taught, and students were allowed to access a wider historical understanding of war.
      In this way, students are able to learn the history that is missing through artifacts.

      Key words: museums, relics, Utilizing relics, textbooks, supplementary understanding, Seungja chongtong gun, Three barreled gun, and Matchlock gu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Manchu war of 1636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초등 역사교과서 보완적 이해를 위한 박물관 유물 활용 학습 방안 -국립 중앙 박물관 조선·대한제국실 중 16세기 임진왜란, 병자호란 부분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박...

      초등 역사교과서 보완적 이해를 위한 박물관 유물 활용 학습 방안
      -국립 중앙 박물관 조선·대한제국실 중 16세기 임진왜란, 병자호란 부분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박물관 및 미술관교육전공
      장 석 원


      초등 역사 교과서에서 제시되는 역사는 정치사 중심의 인물위주로 설명되고 있다. 이러한 서술은 학생들로 하여금 ‘역사란 나는 할 수 없는 것’, ‘나와는 먼 이야기’로 느껴지게 만들 수 있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역사라는 것이 위대한 인물이나 영웅들만의 이야기이고, 평범한 사람들과는 상관없는 일이라는 인식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역사는 그 당시 수많은 사람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이다. 다만 교과서에서 보여주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교과서에서 누락된 역사상을 보완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 방법 중 하나로 박물관 유물을 활용할 수 있다. 유물은 당시 사람들의 생각, 모습, 노력 등 여러 가지 모습을 담고 있는 살아있는 기록체이다. 그러나 단순히 유물을 관찰한다고 해서 그 속에 담겨진 여러 이야기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학생들이 유물 속 이야기를 발견할 수 있도록 지도하기 위한 구체적인 유물 학습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물 중심 이해 학습 모형과 후퍼 그린힐의 7가지 통합적 접근 방법을 이용하여 임진왜란·병자호란 전후 전쟁과 무기라는 주제 아래 승자총통, 삼안총, 조총의 3가지 유물을 중심으로 수업을 계획하고 학습지를 구안하여 보았다.
      임기환·김옥진의 유물 중심 이해 학습 모형 기반아래 본 연구자는 사전학습, 관찰, 추론, 정보확장, 맥락적이해 및 재관람하기의 5단계로 수업을 계획하였다. 1단계 사전학습에서는 학생과 유물간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주는 과정이다. 2단계 관찰에서는 유물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최대한 획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물 따라 그리기, 질문에 답해보기 등을 시도했다. 3단계 추론에서는 박물관 설명 레이블 등을 통해 알 수 있는 정보를 유물과 관련지어 이해하는 것이다. 박물관의 설명 레이블을 꼼꼼하게 읽으며, 교사의 물음이나 친구들의 질문에 서로 답을 주고받는다. 4단계 정보 확장에서는 교사가 제시하는 학습지의 추가 정보를 확인하며, 유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5단계 맥락적 이해 및 재관람하기 에서는 유물 간 비교를 통해 유물이 가지는 당시의 시대 맥락이나 의미를 생각해보고, 재관람하며 자신의 역사인식을 점검해본다.
      그 동안 교과서를 보완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박물관 유물을 활용한 연구는 거의 없다. 또한 이제까지 박물관 유물 활용 연구가 신석기 시대 관련 유물 유적이나, 도자기, 복식, 회화자료와 같은 물건 통해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을 파악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자는 전쟁이라는 주제아래 전쟁 무기인 총통, 삼안총, 조총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임진왜란·병자호란 당시 조선의 신무기 개발을 위한 노력과 이후 조선의 군사적 변화 등을 통해 전후 달라진 조선의 모습을 보완적으로 이해하도록 학습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박물관 학습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국립중앙박물관 조선·대한제국실 16세기 부분 중 임진왜란, 병자호란 전시부분을 택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박물관 유물을 활용한 교과서의 보완적 이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하여 초등학생 수준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그 동안 치우쳐진 유물 활용 주제를 전쟁이라는 새로운 측면에서 총통, 삼안총, 조총이라는 유물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셋째, 전쟁 전후 조선의 신무기 개발을 위한 노력을 학습하며, 학생들이 전쟁에 대한 보다 확장된 역사 인식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유물을 통해 누락된 역사상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역사인식이 확장되길 기대해본다.

      주요어 : 박물관, 유물, 유물활용, 교과서, 보완적 이해, 승자총통, 삼안총, 조총, 임진왜란, 병자호란.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목 차-
      • Ⅰ.서론‧‧‧‧‧‧‧‧‧‧‧‧‧‧‧‧‧‧‧‧‧‧‧‧‧‧‧‧‧‧‧‧‧‧‧‧‧‧‧‧‧‧‧‧‧‧‧‧‧‧‧‧‧‧‧‧‧‧‧‧‧‧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 - 목 차-
      • Ⅰ.서론‧‧‧‧‧‧‧‧‧‧‧‧‧‧‧‧‧‧‧‧‧‧‧‧‧‧‧‧‧‧‧‧‧‧‧‧‧‧‧‧‧‧‧‧‧‧‧‧‧‧‧‧‧‧‧‧‧‧‧‧‧‧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 2. 선행연구 분석‧‧‧‧‧‧‧‧‧‧‧‧‧‧‧‧‧‧‧‧‧‧‧‧‧‧‧‧‧‧‧‧‧‧‧‧‧‧‧‧‧‧‧‧‧‧‧‧‧‧‧‧4
      • 3. 연구 내용과 방법‧‧‧‧‧‧‧‧‧‧‧‧‧‧‧‧‧‧‧‧‧‧‧‧‧‧‧‧‧‧‧‧‧‧‧‧‧‧‧‧‧‧‧‧‧‧‧‧‧8
      • Ⅱ. 초등 역사 교과서 보완적 이해의 필요성 및 이론적 배경‧‧‧‧‧‧‧‧‧‧‧‧‧9
      • 1. 초등역사교과서 보완적 이해의 필요성‧‧‧‧‧‧‧‧‧‧‧‧‧‧‧‧‧‧‧‧‧‧‧‧‧‧‧‧‧‧9
      • 2. 박물관 유물 활용 학습 이론적 배경‧‧‧‧‧‧‧‧‧‧‧‧‧‧‧‧‧‧‧‧‧‧‧‧‧‧‧‧‧‧‧15
      • Ⅲ. 박물관 유물 활용 학습모형과 과정‧‧‧‧‧‧‧‧‧‧‧‧‧‧‧‧‧‧‧‧‧‧‧‧‧‧‧‧‧‧‧‧20
      • 1. 박물관 유물 활용 학습 모형‧‧‧‧‧‧‧‧‧‧‧‧‧‧‧‧‧‧‧‧‧‧‧‧‧‧‧‧‧‧‧‧‧‧‧‧‧20
      • Ⅳ. 초등역사 교과서의 보완적 이해를 위한 유물 활용 학습방안 사례‧‧‧‧24
      • 1. 초등 역사 교과서 임진왜란, 병자호란 분석‧‧‧‧‧‧‧‧‧‧‧‧‧‧‧‧‧‧‧‧‧‧‧‧25
      • 2. 국립 중앙박물관 조선‧대한제국실 16세기관의 임진왜란, 병자호란 전시관 선정의도 및 분석‧‧‧‧‧‧‧‧‧‧‧‧‧‧‧‧‧‧‧‧‧‧‧‧‧‧‧‧‧‧‧‧‧‧‧‧‧‧‧‧‧‧‧‧‧‧‧‧27
      • 3. 국립중앙박물관 조선‧대한제국실 16세기관 임진왜란, 병자호란 전시 개관‧‧‧‧‧‧‧‧‧‧‧‧‧‧‧‧‧‧‧‧‧‧‧‧‧‧‧‧‧‧‧‧‧‧‧‧‧‧‧‧‧‧‧‧‧‧‧‧‧‧‧‧‧‧‧‧‧‧‧‧‧‧‧‧‧29
      • 4. 초등 역사교과서 보완적 이해를 위한 박물관 유물 활용 학습방안‧‧‧‧40
      • 가. 재구성 계획‧‧‧‧‧‧‧‧‧‧‧‧‧‧‧‧‧‧‧‧‧‧‧‧‧‧‧‧‧‧‧‧‧‧‧‧‧‧‧‧‧‧‧‧‧‧‧‧‧‧40
      • 나. 중심유물에 대한 이해‧‧‧‧‧‧‧‧‧‧‧‧‧‧‧‧‧‧‧‧‧‧‧‧‧‧‧‧‧‧‧‧‧‧‧‧‧‧‧‧‧41
      • 다. 후퍼-그린힐의 유물이해 내용요소에 근거한 학습 구성‧‧‧‧‧‧‧‧‧‧‧57
      • 라. 보완적 이해를 위한 박물관 유물활용 수업 구성안‧‧‧‧‧‧‧‧‧‧‧‧‧‧‧59
      • Ⅴ. 결론‧‧‧‧‧‧‧‧‧‧‧‧‧‧‧‧‧‧‧‧‧‧‧‧‧‧‧‧‧‧‧‧‧‧‧‧‧‧‧‧‧‧‧‧‧‧‧‧‧‧‧‧‧‧‧‧‧‧‧‧67
      • Ⅵ. <부록>‧‧‧‧‧‧‧‧‧‧‧‧‧‧‧‧‧‧‧‧‧‧‧‧‧‧‧‧‧‧‧‧‧‧‧‧‧‧‧‧‧‧‧‧‧‧‧‧‧‧‧‧‧‧‧‧‧70
      • 1. <부록 1> 승자총통 관찰 단계 학습지‧‧‧‧‧‧‧‧‧‧‧‧‧‧‧‧‧‧‧‧‧‧‧‧‧‧‧‧‧70
      • 2. <부록 2> 승자총통 추론 단계 학습지‧‧‧‧‧‧‧‧‧‧‧‧‧‧‧‧‧‧‧‧‧‧‧‧‧‧‧‧‧71
      • 3. <부록 3> 승자총통 정보확장 단계 추가 자료‧‧‧‧‧‧‧‧‧‧‧‧‧‧‧‧‧‧‧‧‧‧72
      • 4. <부록 4> 승자총통 정보확장 단계 학습지‧‧‧‧‧‧‧‧‧‧‧‧‧‧‧‧‧‧‧‧‧‧‧‧‧73
      • 5. <부록 5> 삼안총 관찰 단계 학습지‧‧‧‧‧‧‧‧‧‧‧‧‧‧‧‧‧‧‧‧‧‧‧‧‧‧‧‧‧‧‧74
      • 6. <부록 6> 삼안총 추론 단계 학습지‧‧‧‧‧‧‧‧‧‧‧‧‧‧‧‧‧‧‧‧‧‧‧‧‧‧‧‧‧‧‧75
      • 7. <부록 7> 삼안총 정보 확장하기 추가 자료 및 학습지‧‧‧‧‧‧‧‧‧‧‧‧‧‧76
      • 8. <부록 8> 조총 관찰 단계 학습지‧‧‧‧‧‧‧‧‧‧‧‧‧‧‧‧‧‧‧‧‧‧‧‧‧‧‧‧‧‧‧‧‧79
      • 9. <부록 9> 조총 추론 단계 학습지‧‧‧‧‧‧‧‧‧‧‧‧‧‧‧‧‧‧‧‧‧‧‧‧‧‧‧‧‧‧‧‧‧80
      • 10.<부록 10> 조총 정보확장 단계 추가자료 및 학습지‧‧‧‧‧‧‧‧‧‧‧‧‧‧‧‧‧81
      • 11.<부록 11> 조총 맥락적 이해 단계 추가 자료 및 학습지‧‧‧‧‧‧‧‧‧‧‧‧‧83
      • 12.<부록 12> 전쟁과 무기 맥락적 이해 단계 학습지‧‧‧‧‧‧‧‧‧‧‧‧‧‧‧‧‧‧‧85
      • <참고문헌>‧‧‧‧‧‧‧‧‧‧‧‧‧‧‧‧‧‧‧‧‧‧‧‧‧‧‧‧‧‧‧‧‧‧‧‧‧‧‧‧‧‧‧‧‧‧‧‧‧‧‧‧‧‧‧‧87
      • <ABSTRACT>‧‧‧‧‧‧‧‧‧‧‧‧‧‧‧‧‧‧‧‧‧‧‧‧‧‧‧‧‧‧‧‧‧‧‧‧‧‧‧‧‧‧‧‧‧‧‧‧‧‧‧‧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