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유병에 대한 소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279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고려시대에 다양한 기법으로 제작된 유병에 대한 조형적 특징을 통일 신라시대 도기와의 연관선상에서 살펴보고, 고려시대 유병이 출토된 유적을 중심으 로 출토현황 및 전반적...

      본 논문은 고려시대에 다양한 기법으로 제작된 유병에 대한 조형적 특징을 통일 신라시대 도기와의 연관선상에서 살펴보고, 고려시대 유병이 출토된 유적을 중심으 로 출토현황 및 전반적인 유물의 양상과 성격에 대해 살펴본 논문이다. 고려시대 유병의 조형적 연원은 도기에서 자기로 발전해가는 요업의 변화를 보 여주는 영암 구림리 도기요지군에서 2가지 형태의 도기제 유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당시의 요업적 배경 속에서 도기와 청자로 제작된 유병의 조형적인 상호 연관성을 알 수 있었다. 고려시대 유병이 출토된 가마를 축요별로 살펴보았는데, 축요재와 상관없이 전 축․토축요에서 모두 생산되었다. 그러나 중서부지역의 전축요보다는 남서부지역의 토축요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생산되어 도기적 성격이 강한 유병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고려시대 유병을 소비지 유적 중 동시대 분묘 출토품을 중심으로 살 펴본 결과, 12~14세기에 경기, 충청, 전라, 경상도권의 석곽묘, 토광묘에서 고려시 대 유병이 출토되었으며, 대체로 도기, 자기, 금속기와 함께 확인되었다. 특히, 금속 기류 중 거울, 가위와 공반되는 소비양상과 전세품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을 때 고 려시대 유병이 화장도구의 일종이었음을 추정케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Yu-byeong produced by a variety of techniques in the Koryo Dynasty, in the context of pottery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It also examines the aspects and features of general artifacts and its ex...

      This study explore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Yu-byeong produced by a variety of techniques in the Koryo Dynasty, in the context of pottery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It also examines the aspects and features of general artifacts and its excavation situation centered on the ruins in which yu-byeongs in the Koryo Dynasty were excavated. As the formative origin of Yu-byeong in the Koryo Dynasty, the pottery Yu-byeong in two forms could be identified to reveal the changes of the ceramic industry from pottery to porcelain in Dogiyojigun, Gurim-ri in Young-am. It presented the interrelation between pottery and Yu-byeong produced as celadon in the background of ceramic industry in the period of late silla and early Koryo. The klins that the Yu-byeongs in the Koryo Dynasty came from were investigated per Chuk-yo. All of them were produced in Jeon-chuk and Tochuk-yo regardless of the materials of Chuk-yo. However, they were produced in Jeonchuk-yo in the Midwest much than Tochuk-yo in the Southwest relatively, which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Yu-byeong as pottery. In addition, the results from investigating Yu-byeong in the Koryo Dynasty to focus on the excavated products of contemporary tombs among the ruins of consumption place revealed that Yu-byeongs in the Koryo Dynasty were excavated in seokgwak, togwangmyo in the regions of Gyeonggi, Chungcheong, Jeolla, Gyeongsang in the 12-14thcentury. Yu-byeongs were generally identified with pottery, porcelain, and metal products. In particular, it could be assumed that yu-byeong in the Koryo Dynasty was a kind of makeup tool considering the relevance with the consumption aspects and Jeonsepoom accompanying mirror and scissor among metal produ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고려시대 유병의 조형적 특징-통일신라시대 유적출토 도기 유병과의 연관성
      • Ⅲ. 고려시대 유병의 출토 양상
      • 1. 생산지 유적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고려시대 유병의 조형적 특징-통일신라시대 유적출토 도기 유병과의 연관성
      • Ⅲ. 고려시대 유병의 출토 양상
      • 1. 생산지 유적
      • 2. 소비지 유적-분묘유적을 중심으로
      • Ⅳ. 고려시대 유병의 성격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