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 도덕성 관련 학위논문 및 학술지 연구동향 고찰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Assessment of Early Childhood Morality: A Review of Domestic Theses & Academic Journ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119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studies going forward in both the sphere of early childhood morality an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the degrees theses and academic papers rel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studies going forward in both the sphere of early childhood morality an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the degrees theses and academic papers related to early childhood morality. To this end, a total of 193 papers published in theses for master's degrees and doctor's degrees on child morality and the KCI-registered academic journal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eriod which analyzed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subjects from 1983-2018. As a result, first, research was conducted steadily from 1996 to 2015, and the theses for master's degree were the most significant. Second, the most frequently studied subjects were young children, with a high percentage of those aged 5 years old. Quantitative research type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types, resulting in the highest ratio of the inspection method to the data collection method and the difference analysis method in regards to the data analysis method. Finally, the trend of the paper on early childhood morality under the subject of research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of the topics related to moral factors and also the most frequent of the studies dealing with moral judgment. Through the results, we could understand comprehensively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mor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raw implications for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and topics for follow-up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 도덕성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 현 장에서 유아 도덕성 관련 연구 및 유아 도덕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

      본 연구는 유아 도덕성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 현 장에서 유아 도덕성 관련 연구 및 유아 도덕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83년-2018년까지 유아 도덕성 관련 석ㆍ박사 학위논문과 KCI 등재 학술지에 발 표된 논문 총 193편을 연구시기, 연구방법, 연구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1996 년부터 2015년까지 유아도덕성 관련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졌으며, 석사 학위논문이 가장 높 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은 유아를 대상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그 중 만 5세 대상 연구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 연구유형은 양적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자료수 집방법에서는 검사법이, 자료분석방법에서는 차이 분석이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냈다. 마지막 으로 연구주제에 따른 분석결과 도덕성 요소와 관련된 주제들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도덕 성 요소 중 도덕적 판단력을 다룬 연구가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통해 유아 교육분야에서 수행되어온 도덕성 관련 연구동향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후속연구 를 위한 연구방법 및 연구주제 다각화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훈, "한국의 사회변동과 범죄 추세, 1966-2007"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0 (10): 45-72, 2009

      2 대검찰청, "한국의 범죄 발생추세: 1996-2007"

      3 박길성, "한국사회의 재구조화 : 강요된 조정, 갈등적 조율"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

      4 곽승주, "학술지 논문 분석을 통한 영유아 놀이의 최근 연구동향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349-374, 2016

      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 I" 문음사 2008

      7 서현, "전래 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및 도덕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367-394, 2013

      8 김애자, "유치원에서의 도덕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지적 조망수용, 감정이입 및 도덕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 8 (8): 281-303, 1998

      9 박찬옥, "유치원 도덕교육의 방향모색" 14 (14): 51-74, 1994

      10 오채선, "유치원 도덕 교육의 재 개념화: 신화에서 벗어나기"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363-395, 2008

      1 박성훈, "한국의 사회변동과 범죄 추세, 1966-2007"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0 (10): 45-72, 2009

      2 대검찰청, "한국의 범죄 발생추세: 1996-2007"

      3 박길성, "한국사회의 재구조화 : 강요된 조정, 갈등적 조율"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

      4 곽승주, "학술지 논문 분석을 통한 영유아 놀이의 최근 연구동향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349-374, 2016

      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 I" 문음사 2008

      7 서현, "전래 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및 도덕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367-394, 2013

      8 김애자, "유치원에서의 도덕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지적 조망수용, 감정이입 및 도덕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 8 (8): 281-303, 1998

      9 박찬옥, "유치원 도덕교육의 방향모색" 14 (14): 51-74, 1994

      10 오채선, "유치원 도덕 교육의 재 개념화: 신화에서 벗어나기"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363-395, 2008

      11 홍용희, "유아의 조망수용과 교사의 비계설정 : 도덕적 문제 상황에 대한 토의를 중심으로" 19 (19): 205-226, 1999

      12 최재숙, "유아의 정서지능과 도덕적 판단력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7 (7): 167-180, 2003

      13 허정아, "유아의 배려지향적 도덕성 양상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277-298, 2013

      14 홍용희, "유아의 도덕적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 20 (20): 145-174, 2000

      15 곽해신, "유아의 도덕성 증진을 위한 성경이야기의 구성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16 백미열, "유아의 도덕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17 김상윤, "유아의 도덕개념과 도덕행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3 : 57-73, 1993

      18 윤은경,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노래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도덕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 12 (12): 229-247, 2012

      19 이용주, "유아의 공감 및 동정심, 도덕적 행동, 사회적 유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445-464, 2017

      20 김은희, "유아안전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59-286, 2013

      21 최혜순, "유아사회교육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195-223, 2014

      22 이승하, "유아들의 도덕적 판단 및 도덕적 정서에 대한 연구: 도덕적 책무유형 및 위반자 구분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401-420, 2016

      23 임상도, "유아도덕교육 관련 연구논문에 대한 동향 분석: 학회지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26 (26): 271-293, 2017

      24 임상도, "유아교육철학의 당위성과 접근방식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117-141, 2011

      25 이영애, "유아교육기관의 도덕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18 (18): 157-178, 1998

      26 최미숙, "유아교육과 졸업반 학생들의 공감적 이해와 배려지향적 도덕성이 교사 역할수행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425-443, 2006

      27 조형숙, "유아 자연친화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155-176, 2018

      28 양옥승, "유아 도덕교육에 대한 고찰" 32 : 81-100, 2003

      29 김선혜, "유․초 연계에 근거한 유아의 도덕성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49-275, 2009

      30 Berk, L. E., "아동발달" 시그마프레스 2015

      31 Kail, R. V., "아동과 발달" 시그마프레스 2016

      32 장향희, "부모의 양육방식과 유아의 도덕판단과의 관계에 관한 일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983

      33 최미숙, "배려지향적 도덕성의 유아교사교육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71-83, 2007

      34 정옥분, "배려지향적 도덕성과 정의지향적 도덕성" 집문당 2003

      35 권정숙, "동화교재에 나타난 도덕성 분석"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7

      36 Kurtines, W. M.,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학지사 2004

      37 문용린, "도덕성 기초 확립을 위한 유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93-103, 1994

      38 추병완, "도덕교육의 이해" 인간사랑 2011

      39 박정선, "기독교 유아교육에 기초한 도덕교육 프로그램 모형 탐색"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0 최미숙, "그림책을 활용한 도덕적 상상력 기르기 활동이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1-23, 2016

      41 민순이, "그림책을 통한 통합적 도덕교육활동이 유아의 도덕 판단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2 곽유미, "공익광고를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43 權赫仙, "父母의 권위적인 養育態度와 유아의 道德判斷과의 關係: 慶州지역을 중심으로"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88

      44 Piaget, J., "The moral judgment of the child" Free Press 1965

      45 Turiel, E., "The development of social knowledge, morality and convention" University of Cambridge Press 1983

      46 Kohlberg, L., "Religion and Public Education" Houghton Mifflin 164-183, 1967

      47 Goodman, J. F., "Mo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 The limites of constructivism" 11 (11): 37-54, 2000

      48 Bussey, K., "Lying and truthfulness : Children’s definitions, standards, and evaluative reactions" 63 (63): 129-137, 1992

      49 Gilligan, C.,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

      50 Sloane, S., "Do infants have a sense of fairness?" 23 (23): 196-204,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