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전통마을의 공간구성 재론(再論) = Reconsideration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Vill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119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judgement that there was a need to make several mentions by reference to studies abou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l village. The judgement was not about the dimension that there was a problem about the ...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judgement that there was a need to make several mentions by reference to studies abou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l village. The judgement was not about the dimension that there was a problem abou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existing village but that it would be effective to make a fresh reorganization of it in a little more detail.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ed seven spaces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l village. It attempted to analyze it by dividing it into four spaces such as ① natural space, ② residential space and work space, ③ moving space and boundary space and ④ play space and ritual space to fit its basic nature.
      First of all, it made a pictorial presentation of the basic form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l farming villa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was most general and whose form has been handed down up to the present. And it described the composition of each space accordingly. It was not intended for a specific village. So it presented the historical change, the behavior of the members surrounding the village and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village, which were judged to be very important in explaining the items of the composition of each spa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village well embodied the framework of their life in terms of their view of nature, lifestyle and worldview. The view of nature acted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village as a whole and is well reflected in the natural space in particular. Their lifestyle is reflected in the residential space, farming space, moving space and play space, and their worldview is spcifically mirrored in the boundary space and ritual space.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how to take a look at the element of Feng-Shui in discuss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vill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 전통마을의 공간구성을 분류한 연구들을 일별해 보고, 그것들을 보완하여 새롭게 전통마을의 공간구성과 속성을 정리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새롭게 정리된 공간구...

      본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 전통마을의 공간구성을 분류한 연구들을 일별해 보고, 그것들을 보완하여 새롭게 전통마을의 공간구성과 속성을 정리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새롭게 정리된 공간구성 분류에 맞추어 기존연구를 활용하되 필자가 강조하고자 하는 사항을 보안하여 한국 전통마을의 공간구성을 재론한 것이다.
      먼저 전통마을의 공간구성으로 ①자연공간 ②주거공간 ③생업공간 ④이동공간 ⑤경계공간 ⑥놀이공간 ⑦제의공간의 7가지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기본성격에 맞추어, ①마을입지의 기본 공간 : 자연공간 ②자연공간 하에서 요청되는 필수 생존공간 : 주거공간 및 생업공간 ③마을 구성원 상호소통망에서 파생된 관계공간 : 이동공간 및 경계공간 ④場의 개념으로 확산되는 가변공간 : 놀이공간 및 제의공간의 4개 요소로 다시 제시하여 서술하였다.
      사람이 만든 공간은 사람들의 삶을 담는 그릇이다. 그 그릇이 편리하고 쓰임새 있는 그릇이 되기 위해서는 삶의 틀에 맞추어진 것이어야 한다. 우리의 전통마을의 공간구성은 구성원들의 자연관ㆍ생활양식ㆍ세계관이라는 삶의 틀에 잘 구현되어 있었다. 자연관은 마을 공간구성 전체에 작용하지만 특히 자연공간에 잘 반영되어 있다. 생활양식은 주거공간ㆍ생업공간ㆍ이동공간ㆍ놀이공간에, 그리고 세계관은 경계공간ㆍ제의공간에 특색있게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모든 것들을 유기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공동체적 규약이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두규, "한국풍수의 허와 실" 동학사 1995

      2 양승정, "한국전통마을 공간구성의 시설배치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169-178, 2006

      3 최원석, "한국의 풍수와 비보" 민속원 2004

      4 전종한, "한국역사지리" 푸른길 2011

      5 주남철, "한국건축의장" 일지사 1979

      6 韓陽明, "한국 大同놀이 연구 : 편싸움을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4

      7 김두규, "풍수학사전" 비봉출판사 2005

      8 황영웅, "풍수원리강론" 동국비전 2002

      9 정영철, "통과의례로 본 경계 및 의미에 관한 연구" 7 (7): 1991

      10 이중환, "택리지" 을유문화사 1971

      1 김두규, "한국풍수의 허와 실" 동학사 1995

      2 양승정, "한국전통마을 공간구성의 시설배치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169-178, 2006

      3 최원석, "한국의 풍수와 비보" 민속원 2004

      4 전종한, "한국역사지리" 푸른길 2011

      5 주남철, "한국건축의장" 일지사 1979

      6 韓陽明, "한국 大同놀이 연구 : 편싸움을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4

      7 김두규, "풍수학사전" 비봉출판사 2005

      8 황영웅, "풍수원리강론" 동국비전 2002

      9 정영철, "통과의례로 본 경계 및 의미에 관한 연구" 7 (7): 1991

      10 이중환, "택리지" 을유문화사 1971

      11 Rapoport, Amos, "주거형태와 문화" 열화당 1985

      12 박경하, "조선후기 촌락민 조직과 촌계" 53 : 1993

      13 배영동, "조선후기 두레로 본 농업생산의 주체" 6 : 2004

      14 전봉희, "조선시대 씨족마을의 내재적 질서와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15 박준규, "전남지방의 누정조사연구Ⅰ-Ⅳ" 전남대 호남문화연구소 (14-17) : 1985

      16 선은수, "자연관에 근거한 전통마을의 공간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첨단기술연구소 2006

      17 김미영, "일본민속학의 마을연구"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1 : 2002

      18 柳田國男, "일본민속학의 마을연구"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1 : 2002

      19 鳥越皓之, "일본민속학의 마을연구"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1 : 2002

      20 정진영, "우리역사의 7가지 풍경" 역사비평사 1999

      21 임덕순, "우리국토 전체와 각지역(Ⅰ)" 법문사 1992

      22 역사문제연구소, "우리 역사의 7가지 풍경" 역사비평사 1999

      23 전장석, "북청지방의 민속" 1957 (1957): 1957

      24 서해숙, "민속문화에 나타난 공간인식 연구-全南 長興郡 夫山面 虎溪里를 대상으로-" 한국민속학회 39 : 155-183, 2004

      25 최재율, "모정이 농촌사회경제에 미친 영향" 전남대 호남학연구원 4 : 1970

      26 박서호, "마을연구 방법론 정립에 관한 연구" 5 (5): 1993

      27 이필영, "마을신앙으로 보는 우리문화 이야기" 웅진닷컴 1994

      28 이영진, "두산김택규박사화갑기념 문화인류학논총" 1989

      29 주강현, "두레의 조직적 성격과 운영방식" 역사민속학회 5 : 1996

      30 임재해, "기층문화를 통해본 한국인의 상상체계(상)" 민속원 1998

      31 임재해, "공동체 문화로서 마을 민속문화의 공유 가치" 실천민속학회 11 : 107-163, 2008

      32 宋崎憲三, "공간과 문화" 민속원 2007

      33 이영진, "공간과 문화" 민속원 2007

      34 石毛直道, "공간과 문화" 민속원 2007

      35 정종수, "계룡산" 대원사 1996

      36 김한래, "山徑表를 적용한 알프스산맥 유럽지형 분석과 활용" 한국역사민속학회 (47) : 316-355,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6 1.48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