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初等學校 敎師의 自己奬學과 專門性과의 關係 硏究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supervision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6140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일선 교육현장에서 행하고 있는 자기장학 행위가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의해 어떻게 지각되고 있으며, 자기장학과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 교사들은 자기장학에 대해 성별, 경력별, 근무하고 있는 학교 규모별, 학력별, 근무 지역별 변인에 따라 어떤 지각차이를 나타내는가?
      2. 일선 학교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자기장학 활동이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해결을 위해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자료의 수집을 위해 전남지역에 근무하는 초둥학교 교사가 응답한 273부의 통계처리가 가능한 설문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처리에 사용된 통계적 기법은 평균치, 표준편차, F-검중(ANOVA) 등이었으며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간의 차이가 검증된 경우에는 Duncan-test를 이용하여 집단간의 개별비교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배경에 따라 교사는 자기장학내용에 대해 어떠한 지각차이를 나타내는가?
      (1) 성별에 따른 자기장학에 대한 지각차이는 F-검증 결과, 교과연구서클활동, 일반 연수회 참여, 교윽관련 전문도서나 논문 숙독, 전문인사나 동료교사와의 상담활동, 연구·시범학교 보고회 참관, 선진학교 견학, 방송청취 및 신문 월간지의 구독 등 모두 의의 있는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2) 경력에 따른 자기장학에 대한 지각차이는 F-검증과 개별비교에 의한 검증 결과, 일반연수회의 참여활동에서는 6년 이상 16년 미만의 교사집단과 16년 이상 2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교사집단간에는 의의 있는 차(P<.05)가 나타났고, 연구 ·시범학교 보고회 참관에 관해서는 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교사집단과 6년 이상 25년 이하의 교사 집단간에 P<.05의 수준에서 유의한 차를 나타냈고, 방송청취에 관해서는 5년 이하 경력 소유 교사집단과 16년 이상의 교사집단과는 P<.01의 수준에서 의의 있는 차를 나타냈다.
      (3) 학교 규모에 따른 자기장학에 대한 지각차이는 F-검증과 개별비교를 실시한 결과, 교과연구서클활동, 연구·시범학교 보고회 참관, 방송청취영역에서 6학급 미만 소규모학교와 12학급 이상 중·대규모 학교와 의의 있는 차(p<.01)를 보였다.
      (4) 학력에 따른 자기장학에 대한 지각차이는 F-검증과 개별비교 결과, 교과연구서클활동, 교육관련 전문서적 및 논문의 숙독, 동료교사와의 면담, 연구·시범학교 보고회 참관 등에서 대학원 이상의 고학력 소유교사집단과 2년제 이하 대학교 졸업 학력소유 교사집단간에 P<.01의 수준에서 의의 있는 차를 보였다.
      (5) 지역에 따른 자기장학에 대한 지각차이는 F-검중과 개별비교 결과, 교과연구서글 활동, 전문인사 면담, 연구·시범학교 보고회 참관, 방송청취 영역에서 도시 지역에서 근무하는 교사 집단과 읍·면 소재지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집단간에 의의 있는 차(P<.01)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장학 활동은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 자기장학활동과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의 상관관계는 10개 자기장학 활동이 5개 교사의 전문성과 유의한 상관(P<.0001)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교육관련 논문(현장교육연구논문)의 숙독과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r=.538) 나타났다.
      (2) 교과연구서클활동은 교사의 전문성 중 학습지도와 정보수집 면에, 일반연수회 참여는 교사의 전문성 중 학습지도와 학급경영의 순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육관련 전문도서나 논문의 숙독은 교사의 핀문성 중 학습지도와 학급경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전문인사 및 동료교사와의 상담활동은 교사 전문성 중 학습지도 분야와 학급경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연구·시범학교 보고회의 참관은 학습지도와 정보수집 및 학급경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진학교 견학은 학급경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방송청취 활동은 교사의 전문성 중 학습지도에, 신문·월간지의 구독은 교사 전문성 중 정보수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의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일선 현장의 교사들은 자신의 교직 전문성 향상을 위해 활용하고 있는 자기장학 내용 중 경력별, 학교규모별, 학력별, 지역별 변인에 따라 선호하는 자기장학 내용이 달랐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장학을 책임지고 있는 교장, 교감은 자기장학을 위한 여천 조성을 일률적으로 실시하는 것보다는 교사들의 개인별 변인에 따라 다르게 조성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2. 일선 현장의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기장학으로 주위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대중매체 즉 컴퓨터, 인터넷, CNEI(전남교윽 정보망) 등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나 지식을 얻고 있으며, 도서 벽지의 교사들은 교육관련 전문서적의 숙독 등 의도적인 자기장학 노력에 힘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 교사들은 그들이 행하고 있는 자기장학이 대체적으로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서 학습지도, 학급경영, 정보수집 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의 자질향상과 교육의 질적 향상을 꾀하기 위해서는 보다 폭넓은 교사의 자기장학 기회 즉 교과연구서클활동, 일반연수회 참여, 연구 시범학교 보고회의 참관, 교육관련 전문도서나 현장교육연구논문 등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 등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교육의 행정·재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교사들의 자기장학을 위한 연수학점제를 시급히 실시하여 교사들이 의윽적으로 참여하게 하고, 인사상의 이익이나 승진에 대한 혜택을 부여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2. 본 연구는 자기장학이 교사의 전문성과의 관계에 국한하였고 학생에 대한 교육효과에 대해서는 연구하지 않았다. 앞으로 교사의 자기장학 활동과 학생의 교육효과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일선 교육현장에서 행하고 있는 자기장학 행위가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의해 어떻게 지각되고 있으며, 자기장학과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일선 교육현장에서 행하고 있는 자기장학 행위가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의해 어떻게 지각되고 있으며, 자기장학과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 교사들은 자기장학에 대해 성별, 경력별, 근무하고 있는 학교 규모별, 학력별, 근무 지역별 변인에 따라 어떤 지각차이를 나타내는가?
      2. 일선 학교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자기장학 활동이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해결을 위해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자료의 수집을 위해 전남지역에 근무하는 초둥학교 교사가 응답한 273부의 통계처리가 가능한 설문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처리에 사용된 통계적 기법은 평균치, 표준편차, F-검중(ANOVA) 등이었으며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간의 차이가 검증된 경우에는 Duncan-test를 이용하여 집단간의 개별비교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배경에 따라 교사는 자기장학내용에 대해 어떠한 지각차이를 나타내는가?
      (1) 성별에 따른 자기장학에 대한 지각차이는 F-검증 결과, 교과연구서클활동, 일반 연수회 참여, 교윽관련 전문도서나 논문 숙독, 전문인사나 동료교사와의 상담활동, 연구·시범학교 보고회 참관, 선진학교 견학, 방송청취 및 신문 월간지의 구독 등 모두 의의 있는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2) 경력에 따른 자기장학에 대한 지각차이는 F-검증과 개별비교에 의한 검증 결과, 일반연수회의 참여활동에서는 6년 이상 16년 미만의 교사집단과 16년 이상 2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교사집단간에는 의의 있는 차(P<.05)가 나타났고, 연구 ·시범학교 보고회 참관에 관해서는 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교사집단과 6년 이상 25년 이하의 교사 집단간에 P<.05의 수준에서 유의한 차를 나타냈고, 방송청취에 관해서는 5년 이하 경력 소유 교사집단과 16년 이상의 교사집단과는 P<.01의 수준에서 의의 있는 차를 나타냈다.
      (3) 학교 규모에 따른 자기장학에 대한 지각차이는 F-검증과 개별비교를 실시한 결과, 교과연구서클활동, 연구·시범학교 보고회 참관, 방송청취영역에서 6학급 미만 소규모학교와 12학급 이상 중·대규모 학교와 의의 있는 차(p<.01)를 보였다.
      (4) 학력에 따른 자기장학에 대한 지각차이는 F-검증과 개별비교 결과, 교과연구서클활동, 교육관련 전문서적 및 논문의 숙독, 동료교사와의 면담, 연구·시범학교 보고회 참관 등에서 대학원 이상의 고학력 소유교사집단과 2년제 이하 대학교 졸업 학력소유 교사집단간에 P<.01의 수준에서 의의 있는 차를 보였다.
      (5) 지역에 따른 자기장학에 대한 지각차이는 F-검중과 개별비교 결과, 교과연구서글 활동, 전문인사 면담, 연구·시범학교 보고회 참관, 방송청취 영역에서 도시 지역에서 근무하는 교사 집단과 읍·면 소재지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집단간에 의의 있는 차(P<.01)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장학 활동은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 자기장학활동과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의 상관관계는 10개 자기장학 활동이 5개 교사의 전문성과 유의한 상관(P<.0001)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교육관련 논문(현장교육연구논문)의 숙독과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r=.538) 나타났다.
      (2) 교과연구서클활동은 교사의 전문성 중 학습지도와 정보수집 면에, 일반연수회 참여는 교사의 전문성 중 학습지도와 학급경영의 순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육관련 전문도서나 논문의 숙독은 교사의 핀문성 중 학습지도와 학급경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전문인사 및 동료교사와의 상담활동은 교사 전문성 중 학습지도 분야와 학급경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연구·시범학교 보고회의 참관은 학습지도와 정보수집 및 학급경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진학교 견학은 학급경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방송청취 활동은 교사의 전문성 중 학습지도에, 신문·월간지의 구독은 교사 전문성 중 정보수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의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일선 현장의 교사들은 자신의 교직 전문성 향상을 위해 활용하고 있는 자기장학 내용 중 경력별, 학교규모별, 학력별, 지역별 변인에 따라 선호하는 자기장학 내용이 달랐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장학을 책임지고 있는 교장, 교감은 자기장학을 위한 여천 조성을 일률적으로 실시하는 것보다는 교사들의 개인별 변인에 따라 다르게 조성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2. 일선 현장의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기장학으로 주위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대중매체 즉 컴퓨터, 인터넷, CNEI(전남교윽 정보망) 등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나 지식을 얻고 있으며, 도서 벽지의 교사들은 교육관련 전문서적의 숙독 등 의도적인 자기장학 노력에 힘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 교사들은 그들이 행하고 있는 자기장학이 대체적으로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서 학습지도, 학급경영, 정보수집 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의 자질향상과 교육의 질적 향상을 꾀하기 위해서는 보다 폭넓은 교사의 자기장학 기회 즉 교과연구서클활동, 일반연수회 참여, 연구 시범학교 보고회의 참관, 교육관련 전문도서나 현장교육연구논문 등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 등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교육의 행정·재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교사들의 자기장학을 위한 연수학점제를 시급히 실시하여 교사들이 의윽적으로 참여하게 하고, 인사상의 이익이나 승진에 대한 혜택을 부여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2. 본 연구는 자기장학이 교사의 전문성과의 관계에 국한하였고 학생에 대한 교육효과에 대해서는 연구하지 않았다. 앞으로 교사의 자기장학 활동과 학생의 교육효과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gram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supervision, and to find how teachers' self supervision is perceived, and to find w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upervision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this purpos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do teachers perceive the difference among the variations such as sex, career, the size of school, and regions?
      2. How does self-supervision in the real field effect the increase of teachers' professionalism?
      Research utilizing both literary and direct investigative methods,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main research effort employed the survey method. As a survey technique, a questionnaire is used. Subjects of survey are 273 voluntary teachers in Chunnam province.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in this research for data analysis are Mean, Standard Deviation, F-testing(ANOVA). To verificate the difference among the groups, analysis were carried out, and then compared the individual groups according to Duncan-test.
      A summary of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was as follows:
      First, How does teachers perceive the contents in self-supervision?
      (1) Difference of perception depending on sex is presented the meaningless difference in study group, study and training, reading the thesis and other literature about education, visiting the advanced school, listening the broadcasting and reading the newspapers and magazines.
      (2) Difference of perception depending on career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study and training between teachers with experience of 6-15 years and teachers with experience of 16-25 years, and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in attending the study and training between teachers with experience of less than 5 years and teachers with teachers with experience of 6-25 years, a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P<.01) in listening the broadcast between teachers with experience of less than 5 years and teachers with experience above 16 years.
      (3) Difference of perception depending on school size show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P<.01) in study group, attending the study and model school, and listening broadcast between teachers of small size schools with less than 6 classes and teachers of middle-large size schools with above 12 classes.
      (4) Difference of perception depending on academic career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P<.01) in reading the literature and theses, interview with persons with resources, attending the study and model school between teachers with high academic level and teachers with less 2 year college.
      (5) Difference of perception depending on region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P<.01) in study group, interview with Persons with resources, attending the study and model school, and listening the broadcast between teachers of schools located in remoted places such as islands and teachers of schools located in town (up) and township (myun)
      Second, How does self-supervision effect the eleva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1) Corelationship between self-supervision and the eleva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positive correlation in 10 self-supervision behaviors and 5 teachers' professionalism. especially, the corelationship between reading the literature on education and the evalua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the highest (r=.538.).
      (2) It showed that Study group activity e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and collecting information in teachers' professionalism while opportunities to attend study and training class e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and class management in order.
      (3) It showed that reading of literature and thesis e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and class management in teachers' professionalism.
      (4) It showed that interview with persons having resources and other teachers e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and class management in teachers' professionalism.
      (5) It showed that opportunities to attend study and model school e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behavior and class management much. And Visiting the advanced school effected class management most in teachers' professionalism.
      (6) Listening broadcast activity e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behavior and reading newspaper and monthly magazine effected collecting information behavior most in teachers'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1. Teachers in the real field favoured a different content of self-supervision, in which teachers utilize to evaluate, depending on the variation of career, the size of school, academic level, and region, so principal and vice-principal taking charge of field supervision should make different educational condition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tion rather than same educational condition.
      2. It seemed that teachers in the real field got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knowledge using computer, internet, CNEI (Chun Nam Educational Information) to evaluat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eachers In the remote island side made an intentional effort by means of reading literature to evaluate teachers' professionalism.
      3. Teachers believed that their self-supervision teaching and learning behavior, class management, collecting information in evaluating teachers' professionalism. so there should be wide opportunities such as study group activity, attending the general study class, attending studv and model school, reading literature and concerned thesis to improve the quality of both teachers themselves and education. For doing this, More active educational administrational &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gram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supervision, and to find how teachers' self supervision is perceived, and to find w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upervision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f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gram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supervision, and to find how teachers' self supervision is perceived, and to find w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upervision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this purpos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do teachers perceive the difference among the variations such as sex, career, the size of school, and regions?
      2. How does self-supervision in the real field effect the increase of teachers' professionalism?
      Research utilizing both literary and direct investigative methods,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main research effort employed the survey method. As a survey technique, a questionnaire is used. Subjects of survey are 273 voluntary teachers in Chunnam province.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in this research for data analysis are Mean, Standard Deviation, F-testing(ANOVA). To verificate the difference among the groups, analysis were carried out, and then compared the individual groups according to Duncan-test.
      A summary of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was as follows:
      First, How does teachers perceive the contents in self-supervision?
      (1) Difference of perception depending on sex is presented the meaningless difference in study group, study and training, reading the thesis and other literature about education, visiting the advanced school, listening the broadcasting and reading the newspapers and magazines.
      (2) Difference of perception depending on career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study and training between teachers with experience of 6-15 years and teachers with experience of 16-25 years, and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in attending the study and training between teachers with experience of less than 5 years and teachers with teachers with experience of 6-25 years, a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P<.01) in listening the broadcast between teachers with experience of less than 5 years and teachers with experience above 16 years.
      (3) Difference of perception depending on school size show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P<.01) in study group, attending the study and model school, and listening broadcast between teachers of small size schools with less than 6 classes and teachers of middle-large size schools with above 12 classes.
      (4) Difference of perception depending on academic career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P<.01) in reading the literature and theses, interview with persons with resources, attending the study and model school between teachers with high academic level and teachers with less 2 year college.
      (5) Difference of perception depending on region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P<.01) in study group, interview with Persons with resources, attending the study and model school, and listening the broadcast between teachers of schools located in remoted places such as islands and teachers of schools located in town (up) and township (myun)
      Second, How does self-supervision effect the eleva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1) Corelationship between self-supervision and the eleva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positive correlation in 10 self-supervision behaviors and 5 teachers' professionalism. especially, the corelationship between reading the literature on education and the evalua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the highest (r=.538.).
      (2) It showed that Study group activity e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and collecting information in teachers' professionalism while opportunities to attend study and training class e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and class management in order.
      (3) It showed that reading of literature and thesis e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and class management in teachers' professionalism.
      (4) It showed that interview with persons having resources and other teachers e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and class management in teachers' professionalism.
      (5) It showed that opportunities to attend study and model school e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behavior and class management much. And Visiting the advanced school effected class management most in teachers' professionalism.
      (6) Listening broadcast activity effected teaching and learning behavior and reading newspaper and monthly magazine effected collecting information behavior most in teachers'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1. Teachers in the real field favoured a different content of self-supervision, in which teachers utilize to evaluate, depending on the variation of career, the size of school, academic level, and region, so principal and vice-principal taking charge of field supervision should make different educational condition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tion rather than same educational condition.
      2. It seemed that teachers in the real field got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knowledge using computer, internet, CNEI (Chun Nam Educational Information) to evaluat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eachers In the remote island side made an intentional effort by means of reading literature to evaluate teachers' professionalism.
      3. Teachers believed that their self-supervision teaching and learning behavior, class management, collecting information in evaluating teachers' professionalism. so there should be wide opportunities such as study group activity, attending the general study class, attending studv and model school, reading literature and concerned thesis to improve the quality of both teachers themselves and education. For doing this, More active educational administrational &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次
      • ABSTRACT
      • I. 서론 = 1
      • A. 문제의 제기 = 1
      • B. 연구의 목적 = 3
      • 目次
      • ABSTRACT
      • I. 서론 = 1
      • A. 문제의 제기 = 1
      • B. 연구의 목적 = 3
      • C. 연구 문제 = 3
      • D. 연구의 제한점 = 4
      • E. 용어의 정의 = 5
      • II. 이론적 배경 = 6
      • A. 자기 장학과 교사의 전문성 = 6
      • 1. 자기 장학 = 6
      • 2.교사의 전문성 = 11
      • 3. 자기 장학과 전준성과의 관계 = 19
      • B. 선행연구의 고찰 = 27
      • C. 연구의 접근 모형 = 30
      • III. 연구의 방법 = 32
      • A. 연구의 대상 = 32
      • B. 측정 도구 = 32
      • C. 자료의 처리 = 34
      • IV. 결과 해석 및 논의 = 35
      • A. 결과 해석 = 35
      • 1. 연구문제 [I]의 결과 = 35
      • 2. 연구문제 [II]의 결과 = 45
      • B. 논의 = 50
      • V. 요약 및 결론 = 55
      • A. 요약 = 55
      • B. 결론 = 57
      • C. 제언 = 58
      • ※ 참고문헌 = 59
      • 〈국문초록〉= 61
      • 〈부록〉설문지 = 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