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교통사고 중·상해 판단기준에 관한연구 = A Study on judgement criteria of a serious injury in traffic acci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477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prescribed in the Article 4 Clause 1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settlement of traffic accidents" that a driver who commits a crime by inflicting serious bodily injury through occupational or gross negligence of the crimes relating t...

      It is prescribed in the Article 4 Clause 1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settlement of traffic accidents" that a driver who commits a crime by inflicting serious bodily injury through occupational or gross negligence of the crimes relating to traffic accidents shall not be prosecuted in case that he has comprehensive insurance. The law was legislated to fast recovery of the damage given by traffic accidents and to improve convenience in civic life. However, the law has brought undesirable results. It removed criminal responsibility from a driver who caused a grave traffic accident. Consequently, the law hindered driver's awareness of safety, infringed on victims' right to make a statement during proceeding trial and the right of national equality. Recognizing this problem, the Constitutional Court announced the Article 4 Clause 1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settlement of traffic accidents" is against the constitutional law.
      According to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t became possible to prosecute drivers who caused grave traffic accidents. And some changes are expected like decrease of traffic accidents by inspiring awareness of traffic safety, diversification of automobile insurance policy, an increase of the police's work load related to traffic accidents and the specialization of handling grave traffic accidents.
      If a driver and victim do not come to a mutual agreement, even if the driver has a comprehensive insurance, it is possible to prosecute the driver who caused grave traffic accident so it became important to judge criteria of serious injury in traffic accidents. Except article 258 of criminal law there is no set criteria of serious injury and even article 258 of criminal law does not explain precisely what serious injury is. Moreover, there are almost no judicial cases, related to serious injury caused by traffic accidents, a lack of criteria of serious injury could cause legal disputes.
      As the Article 4 Clause 1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settlement of traffic accidents" is unconstitutional in cases of causing serious injury to victims of traffic accidents, the prosecution sets a guideline concerning serious injury but that guideline is not concrete enough to resolve traffic accidents fairly and accurately.
      The concept of serious injury should be more concrete and clear than the concept in article 258 of the criminal law, and objective standards and guidelines are needed for this concept.
      Severity of Disability in the State Tort Liability Act or The Abbreviated Injury Scale (AIS), Injury Severity Score (ISS), which the medical profession uses as a standard of Trauma, can be used as guidelines concerning serious injury. If these guidelines are applied to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Settlement of Traffic Accidents, it is possible to handle traffic accidents causing serious injury more objectively and clearly.
      A system in which health and academic experts participate should be set to judge serious injury correctly when the police and the prosecution are resolving traffic acci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 서론
      • Ⅱ . 교통사고처리특례법 개관
      • Ⅲ . 특례법 일부 위헌판결에 따른 변화
      • Ⅳ . 교통사고 중상해 판단기준에 대한 연구
      • Ⅴ . 결론
      • Ⅰ . 서론
      • Ⅱ . 교통사고처리특례법 개관
      • Ⅲ . 특례법 일부 위헌판결에 따른 변화
      • Ⅳ . 교통사고 중상해 판단기준에 대한 연구
      • Ⅴ .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 공보」 제149호"

      2 이재상, "형법각론(제5판)" 박영사 2007

      3 박준환, "현안보고서 제24호:교통사고처리특례법 일부위헌판결에 따른 영향분석 및 후속조치 검토" 국회입법조사처 2009

      4 "한국경제, “중상해 교통사고 가이드라인” (2009.3.31)"

      5 법무부, "프랑스 신형법"

      6 이정원, "중상해죄의 구조와 개선방안 - 독일 형법 제226조 중신체침해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형사정책학회 17 (17): 185-206, 2005

      7 이형국, "중상해죄" 97-105, 1994

      8 보험개발원, "자동차사고의 표준간이상해도에 관하여"

      9 보험개발원, "자동차보험 의료비통계를 이용한 자동차사고 상해에 관한 분석" 2002

      10 "의협신문, “AIS 활용을 위한 좋은 기회” (2009.7.13)"

      1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 공보」 제149호"

      2 이재상, "형법각론(제5판)" 박영사 2007

      3 박준환, "현안보고서 제24호:교통사고처리특례법 일부위헌판결에 따른 영향분석 및 후속조치 검토" 국회입법조사처 2009

      4 "한국경제, “중상해 교통사고 가이드라인” (2009.3.31)"

      5 법무부, "프랑스 신형법"

      6 이정원, "중상해죄의 구조와 개선방안 - 독일 형법 제226조 중신체침해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형사정책학회 17 (17): 185-206, 2005

      7 이형국, "중상해죄" 97-105, 1994

      8 보험개발원, "자동차사고의 표준간이상해도에 관하여"

      9 보험개발원, "자동차보험 의료비통계를 이용한 자동차사고 상해에 관한 분석" 2002

      10 "의협신문, “AIS 활용을 위한 좋은 기회” (2009.7.13)"

      11 "서울신문. “보험 든 중상해 운전자 합의 못해 첫 유죄 판결” (2009.8.13)"

      12 "법률신문, “중상해 교통사고 운전자 처리기준 구체화” (2009.6.17)"

      13 "동아일보,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위헌 결정후 넉달, 종합보험 가입 늘고 사망자 줄어” (2009.6.23)"

      14 "내일신문, “중상해 교통사고 처리기준 가시화” (2009.6.16)"

      15 "국민일보, “보험 든 중상해 운전자 합의 못해 첫 유죄판결” (2009.8.13)"

      16 최영홍, "교특법 제4조 제1항 등 위헌결정에서 중상해에 대한 소고 : 중상해의 범위 및 판단기준 그리고 보험 중심으로" 14 : 6-14, 2009

      17 기승도,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의 일부 위헌에 따른 영향 및 시사점" 보험연구원 2009

      18 배기환,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서울시립대학교 2004

      19 이승현, "교통사고처리특례법에서의 중상해 판단" 2009

      20 대검찰청,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위헌 결정에 따른 업무처리 지침"

      21 "경향신문, “중상해 가해자 잇단 형사처벌” (2009.6.15)"

      22 조형은, "OECD 회원국 교통사고 비교" 32-46, 2009

      23 "FNTIMES, “차보험 법률비용특약 가입 급증” (2009.7.2)"

      24 조이현, "Abbreviated Injury Scale 및 Injury severity Score 분류에 의한 새로운 외상환자 표시법" 24 (24): 912-917,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8 0.661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