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V上N’ 구문을 대상으로 현대중국어 ‘V上N’ 구문의 각 구성 성분과 전체적 특징을 분석하고 동사 ‘V’와 명사 ‘N’ 사이에 보어 ‘上’의 삽입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규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V上N’ 구문을 대상으로 현대중국어 ‘V上N’ 구문의 각 구성 성분과 전체적 특징을 분석하고 동사 ‘V’와 명사 ‘N’ 사이에 보어 ‘上’의 삽입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규명...
본고는 ‘V上N’ 구문을 대상으로 현대중국어 ‘V上N’ 구문의 각 구성 성분과 전체적 특징을 분석하고 동사 ‘V’와 명사 ‘N’ 사이에 보어 ‘上’의 삽입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현대중국어에서 ‘V上N’ 구문은 복잡한 의미와 용법 때문에 계속 어법학자들의 주목을 받아 왔다. ‘V上N’ 구문에 관한 기존 연구는 지금까지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지만 주로 ‘上’의 의미에 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거나 ‘V上N’의 구문 의미 중에서 하나만 선정해서 연구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고는 우선, ‘V上N’의 구문과 관련된 코퍼스를 선별하고 적격한 예문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인지언어학의 은유 이론, 영상 도식 이론 등을 바탕으로 ‘V上N’의 구문의 각 구성 성분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V上N’ 구문에 대해 전반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해당 구문의 전체적인 특징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거대 사건 이론을 ‘V上N’ 구문에 적용해 ‘V上N’ 구문이 나타낼 수 있는 거대 사건 유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대상을 규정하고 연구 동기와 연구 목적을 밝혔다.
제2장에서는 본고의 논의 전개를 위해 은유 이론, 영상 도식 이론, 구문 어법 이론 그리고 거대 사건 이론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V上N’ 구문의 각 구성 성분의 특징을 밝혀냈다. 우선, ‘V上N’ 구문에서 출현 가능한 동사 ‘V’의 의미를 분류하고 ‘V上N’의 동사의 자주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은유 기제를 통해 확장된 의미를 네 종류로 분류하였다. 또한 V上N’ 구문에 대응되는 한국어 형식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명사 ‘N’이 종결성을 띠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명사 ‘N’의 종결성은 인지적 영역에서 비종결성과 대조되며 명시적 종결성과 암묵적 종결성으로 다시 분류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V上N’ 구문의 명사 ‘N’이 종결성을 띨 때 명시적 종결성을 띠거나 암묵적 종결성을 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V上N’ 구문의 구문 강요 현상과 중의성 현상에 대해서 고찰하고 ‘V上N’ 구문과 ‘把NV上’ 구문의 통사적·화용적 차이에 대해 밝힌 후, 화용적 측면에서 ‘V上N’ 구문과 ‘把NV上’ 구문의 선택은 시간 순서 원칙과 초점에 의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제5장에서는 ‘V上N’ 구문의 ‘上’이 위성 형태소라는 가설을 증명하고 V上N’ 구문은 운동 사건, 상 사건, 상태 변화 사건, 행동 관련 사건 그리고 실현 사건 등 거대 사건 유형을 모두 나타낼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V上N’ 구문이 나타내는 거대 사건은 모두 운동 사건에서 은유적으로 확장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제6장에서 논의한 내용을 전반적으로 정리하고 본고의 결론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