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림사 소장 오방번(五方幡)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Obangbeon (五方幡) in Sorimsa Tem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860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deological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art used in Buddhist rituals, focusing on the Obangbeon (五方幡, Patākā of Five Directions) in the Sorimsa Temple in Busan, and to examine its cultural value. Patākā is a ceremonial item that invites Buddhas and Bodhisattvas to worship the temple and enshrines them in a sacred place. The Obangbeon visually embodies the names and symbolism of the five Buddhas, thus giving shape to the Buddhist worldview and faith.
      The Obangbeon currently on display at the Sorimsa Temple faithfully reflects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t rituals in terms of the directional symbols, color composition, and iconographic arrangement of the five Buddhas. Especially we can see the mixture of Esoteric Buddhism and images that were popular in the late Joseon period.
      Considering that the Obangbeon collection in the Sorimsa Temple was a royal gift from the reign of Emperor Gojong of the Daehan Empire,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as made by court ladies around 1900-1910. Also, it was made of silk and gold leaf, which were used in royal or court clothing. The Obangbeon collection in the Sorimsa Temple are important materials that allow us to see the Buddhist ideology and culture, as well as the Royal clothing culture of the Daehan Empi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deological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art used in Buddhist rituals, focusing on the Obangbeon (五方幡, Patākā of Five Directions) in the Sorimsa Temple in Busan, and to examine its c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deological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art used in Buddhist rituals, focusing on the Obangbeon (五方幡, Patākā of Five Directions) in the Sorimsa Temple in Busan, and to examine its cultural value. Patākā is a ceremonial item that invites Buddhas and Bodhisattvas to worship the temple and enshrines them in a sacred place. The Obangbeon visually embodies the names and symbolism of the five Buddhas, thus giving shape to the Buddhist worldview and faith.
      The Obangbeon currently on display at the Sorimsa Temple faithfully reflects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t rituals in terms of the directional symbols, color composition, and iconographic arrangement of the five Buddhas. Especially we can see the mixture of Esoteric Buddhism and images that were popular in the late Joseon period.
      Considering that the Obangbeon collection in the Sorimsa Temple was a royal gift from the reign of Emperor Gojong of the Daehan Empire,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as made by court ladies around 1900-1910. Also, it was made of silk and gold leaf, which were used in royal or court clothing. The Obangbeon collection in the Sorimsa Temple are important materials that allow us to see the Buddhist ideology and culture, as well as the Royal clothing culture of the Daehan Empi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부산 소림사에 소장된 오방번(五方幡)을 중심으로 불교의례에서 사용되는 번(幡)의 사상적 의미와 불교미술적인 특징을 고찰하고 문화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한다.
      번은 불보살을 청강(請降)하고 도량을 장엄하는 의례도구로서 오방번은 오방불의 명호와 상징성을 시각적으로 구현하여 불교적 세계관과 신앙세계를 형상화하는 것이다.
      소림사에 현전하는 오방번은 오불(五佛)의 방위적 상징과 색채 구성, 도상 배열에 있어 한국 불교의례 의식의 전통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특히 조선 후기에 유행한 밀교적 신앙과 도상의 혼합 양상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소림사 소장 오방번은 대한제국 고종 당시 궁중 하사품인 점을 감안하면 1900~1910 년경 궁인(宮人)들에 의해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유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사찰에서 소장하고 있는 장엄번에서 사용되는 단순한 재질의 천이 아닌, 왕실 또는 궁중복식에서 사용되었던 비단과 금박으로 장엄된 왕실번으로서의 품격이 있다.
      이러한 소림사 소장 오방번은 불교의 사상과 문화, 대한제국 당시의 왕실의 복식문화를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부산 소림사에 소장된 오방번(五方幡)을 중심으로 불교의례에서 사용되는 번(幡)의 사상적 의미와 불교미술적인 특징을 고찰하고 문화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한다. 번은 불보살을 ...

      본 논문은 부산 소림사에 소장된 오방번(五方幡)을 중심으로 불교의례에서 사용되는 번(幡)의 사상적 의미와 불교미술적인 특징을 고찰하고 문화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한다.
      번은 불보살을 청강(請降)하고 도량을 장엄하는 의례도구로서 오방번은 오방불의 명호와 상징성을 시각적으로 구현하여 불교적 세계관과 신앙세계를 형상화하는 것이다.
      소림사에 현전하는 오방번은 오불(五佛)의 방위적 상징과 색채 구성, 도상 배열에 있어 한국 불교의례 의식의 전통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특히 조선 후기에 유행한 밀교적 신앙과 도상의 혼합 양상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소림사 소장 오방번은 대한제국 고종 당시 궁중 하사품인 점을 감안하면 1900~1910 년경 궁인(宮人)들에 의해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유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사찰에서 소장하고 있는 장엄번에서 사용되는 단순한 재질의 천이 아닌, 왕실 또는 궁중복식에서 사용되었던 비단과 금박으로 장엄된 왕실번으로서의 품격이 있다.
      이러한 소림사 소장 오방번은 불교의 사상과 문화, 대한제국 당시의 왕실의 복식문화를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