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테이프 접착면과 비다공성 표면 간의 잠재지문 전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atent fingerprint Transfer Between Adhesive tape and Non-Porous Surf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4662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테이프는 일상 생활 뿐만아니라 범인들이 납치, 강간, 감금 등에 이용하기 위한 범행 도구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테이프 접착면에 유류된 지문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테이프를 사용할 때 다양한 표면과 접촉됨에도 불구하고 테이프와 표면 간의 잠재지문 전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테이프 접착면에서 비다공성 표면으로, 비다공성 표면에서 테이프 접착면으로 잠재지문이 전이가 되는지 확인하고, 전이된다면 유류된 지문과 전이된 지문의 차이를 이용해 구별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았다.
      테이프 접착면과 비다공성 표면 간의 잠재지문 전이 여부를 확인한 결과 기름 지문으로 유류했을 경우 테이프 접착면과 비다공성 표면 간의 양방향으로 전이가 발생하였고, 땀 지문으로 유류했을 경우에는 비접착면에서 테이프 접착면, 청면 테이프에서 철과 유리로만 전이되었다. 추가적으로 전이된 지문을 개인식별에 사용 가능한지 확인한 결과 청면 테이프와 비다공성 표면 간에 전이된 지문은 대부분 개인식별에 사용 가능할 정도의 품질을 가졌지만 박스 테이프는 그렇지 않았다.
      지문의 전이 여부를 확인한 이후 전이된 지문과 유류된 지문 사이에 차이점을 알아본 결과, 청테이프를 사용했을 때 특수한 문양이 나타났다. 이 문양을 이용해 전이된 지문과 유류된 지문을 구별했을 때 비다공성 표면보다 청면 테이프에 있던 지문을 잘 구별하였고, 비접착면을 제외한 나머지 표면에서는 전이된 지문보다 유류된 지문을 잘 구별하였다.
      현장에서 테이프가 부착된 표면이나, 부착된 것으로 예상되는 표면이 있다면 테이프 접착면과 비다공성 표면 모두 지문 현출을 시도해야 하며, 청면 테이프가 부착됐을 경우 생성되는 특수한 문양을 유류된 지문과 전이된 지문을 구별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번역하기

      테이프는 일상 생활 뿐만아니라 범인들이 납치, 강간, 감금 등에 이용하기 위한 범행 도구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테이프 접착면에 유류된 지문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테이...

      테이프는 일상 생활 뿐만아니라 범인들이 납치, 강간, 감금 등에 이용하기 위한 범행 도구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테이프 접착면에 유류된 지문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테이프를 사용할 때 다양한 표면과 접촉됨에도 불구하고 테이프와 표면 간의 잠재지문 전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테이프 접착면에서 비다공성 표면으로, 비다공성 표면에서 테이프 접착면으로 잠재지문이 전이가 되는지 확인하고, 전이된다면 유류된 지문과 전이된 지문의 차이를 이용해 구별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았다.
      테이프 접착면과 비다공성 표면 간의 잠재지문 전이 여부를 확인한 결과 기름 지문으로 유류했을 경우 테이프 접착면과 비다공성 표면 간의 양방향으로 전이가 발생하였고, 땀 지문으로 유류했을 경우에는 비접착면에서 테이프 접착면, 청면 테이프에서 철과 유리로만 전이되었다. 추가적으로 전이된 지문을 개인식별에 사용 가능한지 확인한 결과 청면 테이프와 비다공성 표면 간에 전이된 지문은 대부분 개인식별에 사용 가능할 정도의 품질을 가졌지만 박스 테이프는 그렇지 않았다.
      지문의 전이 여부를 확인한 이후 전이된 지문과 유류된 지문 사이에 차이점을 알아본 결과, 청테이프를 사용했을 때 특수한 문양이 나타났다. 이 문양을 이용해 전이된 지문과 유류된 지문을 구별했을 때 비다공성 표면보다 청면 테이프에 있던 지문을 잘 구별하였고, 비접착면을 제외한 나머지 표면에서는 전이된 지문보다 유류된 지문을 잘 구별하였다.
      현장에서 테이프가 부착된 표면이나, 부착된 것으로 예상되는 표면이 있다면 테이프 접착면과 비다공성 표면 모두 지문 현출을 시도해야 하며, 청면 테이프가 부착됐을 경우 생성되는 특수한 문양을 유류된 지문과 전이된 지문을 구별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ape is used not only in daily life but also as a crime tool for criminals to use for kidnapping, rape, and confinemen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fingerprints left on the adhesive side of tape. However, despite contact with various surfaces when using tape, no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transfer of latent fingerprints between adhesive side of tape and surfaces. Therefor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whether fingerprints were transferred from adhesive side of tape to non-porous surface and from non-porous surface to adhesive side of tape, and if they were transferred, it could be distinguished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original and transferred fingerprint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whether the fingerprint is transferred between the adhesive side of tape and the non-porous surface, the fingerprint was transferred in both directions when sebaceous prints are deposited on surfaces. and when eccrine prints are deposited on surface, they are transferred from adhesive side of duct tape to iron and glass and from non adhesive side of tape to adhesive side of tape. Additionally, i investigated that the transferred fingerprints were available for personal identification, and found that most of the transferred fingerprints between the duct tape and non-porous surfaces were of sufficient quality for personal identification, but the box tape was not.
      After investigating whether the fingerprint was transfer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and transfer fingerprint was found to have a unique pattern when using the duct tape. When trying to distinguish using this unique pattern,, the duct tape was better distinguished than the non-porous surface, and the original fingerprint was better distinguished than the transferred fingerprint except for the non-adhesive side of tape.
      If there is a surface with tape attached or expected to be attached in the surface, both the adhesive side of tape and non-porous surfaces should be attempted to develop fingerprints, and unique patterns formed when the duct tape is attached can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original and transferred fingerprints.
      번역하기

      Since tape is used not only in daily life but also as a crime tool for criminals to use for kidnapping, rape, and confinemen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fingerprints left on the adhesive side of tape. However, despite contact with variou...

      Since tape is used not only in daily life but also as a crime tool for criminals to use for kidnapping, rape, and confinemen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fingerprints left on the adhesive side of tape. However, despite contact with various surfaces when using tape, no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transfer of latent fingerprints between adhesive side of tape and surfaces. Therefor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whether fingerprints were transferred from adhesive side of tape to non-porous surface and from non-porous surface to adhesive side of tape, and if they were transferred, it could be distinguished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original and transferred fingerprint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whether the fingerprint is transferred between the adhesive side of tape and the non-porous surface, the fingerprint was transferred in both directions when sebaceous prints are deposited on surfaces. and when eccrine prints are deposited on surface, they are transferred from adhesive side of duct tape to iron and glass and from non adhesive side of tape to adhesive side of tape. Additionally, i investigated that the transferred fingerprints were available for personal identification, and found that most of the transferred fingerprints between the duct tape and non-porous surfaces were of sufficient quality for personal identification, but the box tape was not.
      After investigating whether the fingerprint was transfer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and transfer fingerprint was found to have a unique pattern when using the duct tape. When trying to distinguish using this unique pattern,, the duct tape was better distinguished than the non-porous surface, and the original fingerprint was better distinguished than the transferred fingerprint except for the non-adhesive side of tape.
      If there is a surface with tape attached or expected to be attached in the surface, both the adhesive side of tape and non-porous surfaces should be attempted to develop fingerprints, and unique patterns formed when the duct tape is attached can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original and transferred fingerpri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목차 ⅴ
      • 그림 목차 ⅵ
      • 국문 요약 ⅹ
      • I. 서론 1
      • 1. 연구배경 1
      • 표 목차 ⅴ
      • 그림 목차 ⅵ
      • 국문 요약 ⅹ
      • I. 서론 1
      • 1. 연구배경 1
      • 2. 선행연구 2
      • 3. 연구목적 4
      • Ⅱ. 이론적 배경 6
      • 1. 테이프 접착면에서의 잠재지문 현출 6
      • 1.1 테이프 접착면 지문 현출방법 7
      • 1.1.1 Gentian Violet 7
      • 1.1.2 Cyanoacrylate Fuming(CA 훈증법) 8
      • 1.1.3. Powder suspension 9
      • 2. 테이프와 비다공성 표면 간의 지문의 전이 가능성 11
      • 2.1 표면의 성질과 지문의 특성 11
      • 2.2 비다공성 표면의 잠재지문이 테이프 접착면으로 전이될 가능성 16
      • 2.3 테이프 접착면의 잠재지문이 비다공성 표면으로 전이될 가능성 17
      • 2.4 소결 17
      • Ⅲ. 실험재료 및 방법 19
      • 1. 실험재료 19
      • 2. 실험 방법 20
      • 2.1 지문 유류 및 검체 제작 방법 20
      • 2.1.1 테이프 접착면과 비다공성 표면 간의 전이 여부를 보기 위한 검체 제작 20
      • 2.1.2 전이된 지문과 유류된 지문 비교를 위한 검체 제작 21
      • 2.2 지문 유류 방법 22
      • 2.3 지문 현출 방법 22
      • 2.4 평가 방법 23
      • 2.5 사진 촬영 24
      • Ⅳ. 결과 및 고찰 25
      • 1. 비다공성 표면에서 테이프 접착면으로 지문의 전이 결과 25
      • 1.1 테이프 비접착면에서 접착면으로 지문의 전이 결과 25
      • 1.2 철에서 접착면으로 지문의 전이 결과 27
      • 1.3 유리에서 접착면으로 지문의 전이 결과 30
      • 1.4 고찰 33
      • 2. 테이프 접착면에서 비다공성 표면으로 지문의 전이 결과 34
      • 2.1 테이프 접착면에서 비접착면으로 지문의 전이 결과 34
      • 2.2 테이프 접착면에서 철로 지문의 전이 결과 37
      • 2.3 테이프 접착면에서 유리로 지문의 전이 결과 40
      • 2.4 고찰 43
      • 3. 유류된 지문과 전이된 지문 비교 평가 44
      • 3.1 청면 테이프 44
      • 3.2 테이프 비접착면 47
      • 3.3 철 48
      • 3.4 유리 50
      • 3.5 고찰 51
      • Ⅴ. 결론 53
      • 참고문헌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