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同姓마을의 형성과 洞約의 성격 변화 : 慶尙道 丹城縣 法勿也面 洞案의 분석 = The Formation of Consanguineous Villages and Changes in Dongyak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 Analysis of the Dongan from Beommurya-myeon, Danseong-hyeon, Gyeongsang-do Provinc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후기에는 同姓마을이 급격하게 확산되었고, 이에 따라 향촌사회의 지배구조 및 지배조직에도 변화가 초래되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洞約(洞契)의 변화였다. 동성마을이 확산됨에 따라 ...

      조선후기에는 同姓마을이 급격하게 확산되었고, 이에 따라 향촌사회의 지배구조 및 지배조직에도 변화가 초래되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洞約(洞契)의 변화였다. 동성마을이 확산됨에 따라 상당수의 동약이 族契化하면서 그 운영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고, 이에 대한 구체적 분석이 이 글의 목적이다. 조선후기 慶尙道 丹城縣 法勿也面에서는 몇몇 有力 姓貫들을 중심으로 동약이 시행되었다. 그런데 商山 金氏에 의해 동성마을이 형성됨에 따라 법물야면의 동약은 인적인 구성과 지역적 범위에 변화가 초래되었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8세기 초반 무렵 법물야면의 동약을 주도했던 상산 김, 무송 윤, 진주 유씨 등은 단성현의 유력 성관들이었고, 이들 사족가문에 의해 법물야면의 동약이 시행되었다. 법물야면의 동안은 양반층이 중심이 된 上洞案의 성격을 갖고 있었지만, 1730년대 이후부터는 일부 中庶層의 참여도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상산 김씨의 庶子들을 비롯하여 이천 서씨 등 계층적으로 중서층에 해당하는 새로운 성관이 동안에 기재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동안 기재인물의 거주지 역시 18세기를 경과하면서 평지촌, 내당촌으로 집중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평지촌, 내당촌은 상산 김씨의 동성마을이 형성되었던 촌락이었고, 법물야면의 동약을 주도했던 성관 중에서 동성마을을 형성했던 성관은 상산 김씨가 유일하였다. 상산 김씨의 동성마을이 확대되어 감에 따라 법물야면의 동약은 상산 김씨의 족계적 성격으로 변모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선후기 법물야면의 동약 시행과 관련된 자료로 18세기 중반에 작성된 『洞內穀物息利有司姓名冊』과 19세기 전반에 작성된 『許廳案』이 현전하고 있다. 『有司姓名冊』과 『허청안』에 기재된 인물들은 법물야면의 동약을 운영하는 실무적인 역할을 했던 존재로 파악할 수 있다. 이들은 신흥 세력들로서 계층적으로는 中庶層에 속하였다. 이 중에서 특히 주목되는 성관은 경주 최씨였다. 경주 최씨는 상법촌에 집거하며 동약 운영에 참여하는 등 사회적 성장을 이루었던 신흥세력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세기에 들어 상동안과 별도로 허청안이 작성되고, 여기에 법물야면의 신흥세력이었던 경주 최씨가 대거 기록된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즉, 19세기 법물야면의 동약은 18세기와는 달리 신흥 세력들을 『허청안』으로 분리하여 그 명부를 작성하였다. 이는 19세기 이후 신분제적 위기를 느낀 양반사족들이 상하합계에서 상계, 하계를 분리하려는 경향이 법물야면에도 동일하게 나타났던 것으로 볼 수 있다. 18세기 이후 평지촌, 내당촌을 중심으로 동성마을을 확대시켜 갔던 상산 김씨는 법물야면의 동약을 족계화하였고, 새롭게 성장한 신흥 세력과 일반 촌락민을 허청안과 하동안으로 분리하면서 신분제적 질서를 정비하는 동시에 이들에 대한 지배적 영향력을 유지해 나가고자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Dongyak (Village Covenants) was implemented centered on a few influential families in Beommurya-myeon, Danseong-hyeon, Gyeongsang-do Province. However, with the formation of consanguineous villages by the Sangsan Kim fa...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Dongyak (Village Covenants) was implemented centered on a few influential families in Beommurya-myeon, Danseong-hyeon, Gyeongsang-do Province. However, with the formation of consanguineous villages by the Sangsan Kim family, the Dongyak in Beommurya-myeon faced many changes in terms of the population composition and regional scope. The Sangsan Kim family, Musong Yun family, and the Jinju Yu family, who led the Dongyak in Beommurya-myeon during the early 18th century, were major influential families in Danseong-hyeon. Although the Dongan (list of names) from Beommurya-myeon was mainly a list of superior names focused on the noble class, it started to include some names from the middle class from the 1730s. The residential areas of those who were listed in the Dongan also became focused in the Pyeongji-chon and Naedang-chon areas during the course of the 18th century. Pyeongji-chon and Naedang-chon were areas where the consanguineous villages of the Sangsan Kim family were formed. Among those who have led the Dongyak in Beommurya-myeon, the Sangsan Kim family was the only family who formed consanguineous villages. With the expansion of the consanguineous villages of the Sangsan Kim family, the Dongyak in Beommurya-myeon seems have changed to represent the family tree of the Sangsan Kim family. The Sangsan Kim family, who had expanded the consanguineous villages centered on the Pyeongji-chon and Naedang-chon areas from the 18th century, transformed the Dongyak in Beommurya-myeon into its family tree. The family also classified newly rising powers and general residents into Heocheongan and Hadongan to organize the status-based order, and intended to maintain their controlling pow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Ⅱ. 洞案 구성원의 姓貫 및 거주지 분포 Ⅲ. 商山 金氏 同姓마을의 형성과 洞案 구성원의 변화 Ⅳ. 신흥세력의 洞約참여와 許廳案의 작성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Ⅱ. 洞案 구성원의 姓貫 및 거주지 분포 Ⅲ. 商山 金氏 同姓마을의 형성과 洞案 구성원의 변화 Ⅳ. 신흥세력의 洞約참여와 許廳案의 작성 Ⅴ.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란,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창작과 비평사 2000

      2 권내현, "조선후기 동성촌락 구성원의 통혼 양상단성현 신등면 안동권씨 사례" 한국사연구회 (132) : 109-136, 2006

      3 김경란, "조선후기 대구부 同姓마을의 형성시기에 대한 검토 - 『경상도대구부호적대장』을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123) : 93-131, 2016

      4 김준형, "조선후기 단성지역의 사회변화와 사족층의 대응"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5 김인걸, "조선후기 鄕村社會統制策의 위기; 洞契의 성격변화를 중심으로" 58 : 1984

      6 김경란, "조선후기 無姓層의 有姓化 과정에 대한 분석―단성지역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62) : 75-103, 2008

      7 이성임, "조선 후기 동성촌락 구성원의 혼인관계 —단성현 법물야면 商山金氏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32) : 245-266, 2008

      8 정진영, "이수건교수정년기념 한국중세사학논총" 2000

      9 정진영, "단성 호적대장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3

      10 "辛亥案"

      1 김경란,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창작과 비평사 2000

      2 권내현, "조선후기 동성촌락 구성원의 통혼 양상단성현 신등면 안동권씨 사례" 한국사연구회 (132) : 109-136, 2006

      3 김경란, "조선후기 대구부 同姓마을의 형성시기에 대한 검토 - 『경상도대구부호적대장』을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123) : 93-131, 2016

      4 김준형, "조선후기 단성지역의 사회변화와 사족층의 대응"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5 김인걸, "조선후기 鄕村社會統制策의 위기; 洞契의 성격변화를 중심으로" 58 : 1984

      6 김경란, "조선후기 無姓層의 有姓化 과정에 대한 분석―단성지역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62) : 75-103, 2008

      7 이성임, "조선 후기 동성촌락 구성원의 혼인관계 —단성현 법물야면 商山金氏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32) : 245-266, 2008

      8 정진영, "이수건교수정년기념 한국중세사학논총" 2000

      9 정진영, "단성 호적대장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3

      10 "辛亥案"

      11 "許廳案"

      12 "癸酉案"

      13 "甲辰案"

      14 "澤齋集"

      15 "洞內穀物息利有司姓名冊"

      16 "洞內完文"

      17 "法勿禮面 洞案"

      18 임선빈, "朝鮮後期 洞契組織과 村落社會의 變化; 公州 浮田大洞契를 中心으로" 80 : 1993

      19 "慶尙道丹城縣戶籍大帳"

      20 "己卯案"

      21 "古案"

      22 최호, "又仁金龍德博士停年紀念史學論叢" 1988

      23 "丙辰案"

      24 "丁丑案"

      25 손병규, "18~19세기 지방재정운영에 있어 자율적납세조직의 활동" 고려사학회 (65) : 319-344, 2016

      26 정진영, "16世紀 安東地方의 洞契" (창간) :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49 1.216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