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래형 혁신학교 교육과정 개발 경험이 교사 및 학생 주도성에 미친 영향: 인천 결대로자람학교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Curriculum Development Experiences in Future-Oriented Innovative Schools on Teacher and Student Age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057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미래형 혁신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한 교사와 학생의 경험을 토대로, 교육과정 설계와 설계한 수업 참여경험이 교사와 학생의 주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하였다.
      방법 인천 결대로자람학교 4개교의 24명의 교사와 30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설문을 실시하여, 교사 주도성과 학생 주도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교사 주도성은 협력적 주도성(교사 학습공동체), 교육과정 문해력 및 재구성, 교사 개발 교육과정(단원), 교육과정 운영 항목을 중심으로 평가하였으며, 학생 주도성은 목표 설정, 자기주도 학습, 메타인지, 자기 성찰 항목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미래형 혁신학교 교육과정 개발 경험의 공통적인 단계를 시각화하여 모형의 형태로 제시하였으며, 교육과정 개발 경험 전후로교사 주도성 및 학습자 주도성 모든 영역의 평균 점수가 향상한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학생 참여를 기반으로 개발 및 운영된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 주도성 및 미래역량을 함양할 수 있으며,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개발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에서는 미래형 혁신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한 교사와 학생의 경험을 토대로, 교육과정 설계와 설계한 수업 참여경험이 교사와 학생의 주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확...

      목적 본 연구에서는 미래형 혁신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한 교사와 학생의 경험을 토대로, 교육과정 설계와 설계한 수업 참여경험이 교사와 학생의 주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하였다.
      방법 인천 결대로자람학교 4개교의 24명의 교사와 30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설문을 실시하여, 교사 주도성과 학생 주도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교사 주도성은 협력적 주도성(교사 학습공동체), 교육과정 문해력 및 재구성, 교사 개발 교육과정(단원), 교육과정 운영 항목을 중심으로 평가하였으며, 학생 주도성은 목표 설정, 자기주도 학습, 메타인지, 자기 성찰 항목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미래형 혁신학교 교육과정 개발 경험의 공통적인 단계를 시각화하여 모형의 형태로 제시하였으며, 교육과정 개발 경험 전후로교사 주도성 및 학습자 주도성 모든 영역의 평균 점수가 향상한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학생 참여를 기반으로 개발 및 운영된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 주도성 및 미래역량을 함양할 수 있으며,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개발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how curriculum design and participation in designed classes affected teacher and student agency in future-oriented innovative schools.
      Methods Pre- and post-surveys were conducted with 24 teachers and 308 students from four future-oriented innovative schools in Incheon to assess changes in teacher and student agency. Teacher agency was evaluated focusing on collaborative agency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curriculum literacy and reconstruction, teach er-developed units,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Student agency was assessed based on goal setting, self-directed learning, metacognition, and self-reflection.
      Results The common steps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experience for future-oriented innovative schools were visualized and presented as a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scores in all areas of teacher and learner agency improved after the curriculum development experience.
      Conclusions Through curricula developed and operated based on student participation, it is possible to cultivate student agency and future competencies. To effectively carry out school-level curriculum development, it is nec essary to promote development centered o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how curriculum design and participation in designed classes affected teacher and student agency in future-oriented innovative schools. Methods Pre- and post-surveys were conducted with 24 teacher...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how curriculum design and participation in designed classes affected teacher and student agency in future-oriented innovative schools.
      Methods Pre- and post-surveys were conducted with 24 teachers and 308 students from four future-oriented innovative schools in Incheon to assess changes in teacher and student agency. Teacher agency was evaluated focusing on collaborative agency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curriculum literacy and reconstruction, teach er-developed units,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Student agency was assessed based on goal setting, self-directed learning, metacognition, and self-reflection.
      Results The common steps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experience for future-oriented innovative schools were visualized and presented as a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scores in all areas of teacher and learner agency improved after the curriculum development experience.
      Conclusions Through curricula developed and operated based on student participation, it is possible to cultivate student agency and future competencies. To effectively carry out school-level curriculum development, it is nec essary to promote development centered o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