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감정적 현저성과 에피소드 기억의 상관관계를 활용한 영화영어 교육 연구 = Study on utilizing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salience and episodic memory for movie English in the EFL classro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13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ti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salience and episodic memory, this paper proposes a novel approach to teaching movie English in EFL classrooms. Eight undergraduate students—two at a low-intermediate level, one at an intermediate level, and five at a high-intermediate level of English proficiency—participated in the study. Two animated movies, Toy Story 4 for the low-intermediate and intermediate participants and Sing 2 for the high-intermediate participants, were used as materials. Participants were asked to select the most impactful scenes and explain their choices, focusing on the emotional salience they observed in those scene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indicated that they preferred positive emotions to negative ones. Additionally, After seeing randomly selected discourses provided by the researcher,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call and describe the scenes including those discourses in detail and explicitly mention the observed emotions. Most students recalled the scenes effectively, with the high-intermediate participants performing better than the low-intermediate and intermediate ones. Suggesting that learners with lower language proficiency face challenges when combining meaning and form, this finding highlights the need in this group for additional guidance and support from instructors. Moreover, all participants unanimously agreed on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salience and episodic memory. However, the analysis indicated the participa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is method under one specific condition: when their favorite movies were used as learning materials. This study elucidates the potential benefits of integrating emotional salience into language learning through movies, indicating that this method could be effective in the classroom setting. It also makes suggestions regarding scene selection and areas that require teacher guidance.
      번역하기

      Uti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salience and episodic memory, this paper proposes a novel approach to teaching movie English in EFL classrooms. Eight undergraduate students—two at a low-intermediate level, one at an intermediate level, ...

      Uti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salience and episodic memory, this paper proposes a novel approach to teaching movie English in EFL classrooms. Eight undergraduate students—two at a low-intermediate level, one at an intermediate level, and five at a high-intermediate level of English proficiency—participated in the study. Two animated movies, Toy Story 4 for the low-intermediate and intermediate participants and Sing 2 for the high-intermediate participants, were used as materials. Participants were asked to select the most impactful scenes and explain their choices, focusing on the emotional salience they observed in those scene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indicated that they preferred positive emotions to negative ones. Additionally, After seeing randomly selected discourses provided by the researcher,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call and describe the scenes including those discourses in detail and explicitly mention the observed emotions. Most students recalled the scenes effectively, with the high-intermediate participants performing better than the low-intermediate and intermediate ones. Suggesting that learners with lower language proficiency face challenges when combining meaning and form, this finding highlights the need in this group for additional guidance and support from instructors. Moreover, all participants unanimously agreed on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salience and episodic memory. However, the analysis indicated the participa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is method under one specific condition: when their favorite movies were used as learning materials. This study elucidates the potential benefits of integrating emotional salience into language learning through movies, indicating that this method could be effective in the classroom setting. It also makes suggestions regarding scene selection and areas that require teacher guid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감정적 현저성과 에피소드 기억의 상관관계를 활용하여 영화영어 교육의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애니메이션을 교재로 사용하여 감정적 현저성을 활용한 영화영어 학습법을 적용해 보았다. 중중, 중하 참여자들을 위해서는 토이 스토리 4를, 중상 수준의 참여자들을 위해서는 씽2게더를 사용했다. 먼저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감정적 현저성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참가자들에게 가장 인상적인 장면을 고르고, 관찰한 감정을 명시적으로 언급하면서 그 이유를 적도록 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은 부정적 감정보다 긍정적 감정이 드러난 장면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운 내용 중에서 연구자가 무작위로 선정한 담화를 참여자에게 제시한 후, 이 담화가 등장한 장면들을 가능한 한 상세히 묘사하도록 요청하였다. 그 결과 대다수의 참여자가 장면을 성공적으로 기억해 냈다. 단, 언어 유창성 수준에 따른 상세한 기억 정도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언어의 유창성이 영어의 형태와 의미를 결합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언어 유창성이 낮은 학생들에게는 교사의 적극적인 개입과 메타언어를 사용한 부연 설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감정을 강조한 이 새로운 영화영어 학습법에 대한 참여자들의 반응을 알아본 결과, 모든 참가자들이 감정적 현저성과 에피소드 기억 간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고 동의하였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교재가 자신들이 좋아하는 영화일 때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단서를 달았다. 이 연구의 교육적 함의는 과거 말하기, 듣기의 기술 연습 혹은 영화의 동기와 흥미를 이용한 교실 활용 중심의 영화영어 연구와 차별하여, 감정적 현저성과 에피소드 기억의 이론을 바탕으로, 영화 속 풍부한 감정을 활용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이 방법을 실제 교실에서 적용할 때 유용한 교재 선정 기준 및 교사 개입 및 지도가 필요한 영역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번역하기

      감정적 현저성과 에피소드 기억의 상관관계를 활용하여 영화영어 교육의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애니메이션을 교재로 사용하여 감정적 현...

      감정적 현저성과 에피소드 기억의 상관관계를 활용하여 영화영어 교육의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애니메이션을 교재로 사용하여 감정적 현저성을 활용한 영화영어 학습법을 적용해 보았다. 중중, 중하 참여자들을 위해서는 토이 스토리 4를, 중상 수준의 참여자들을 위해서는 씽2게더를 사용했다. 먼저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감정적 현저성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참가자들에게 가장 인상적인 장면을 고르고, 관찰한 감정을 명시적으로 언급하면서 그 이유를 적도록 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은 부정적 감정보다 긍정적 감정이 드러난 장면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운 내용 중에서 연구자가 무작위로 선정한 담화를 참여자에게 제시한 후, 이 담화가 등장한 장면들을 가능한 한 상세히 묘사하도록 요청하였다. 그 결과 대다수의 참여자가 장면을 성공적으로 기억해 냈다. 단, 언어 유창성 수준에 따른 상세한 기억 정도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언어의 유창성이 영어의 형태와 의미를 결합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언어 유창성이 낮은 학생들에게는 교사의 적극적인 개입과 메타언어를 사용한 부연 설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감정을 강조한 이 새로운 영화영어 학습법에 대한 참여자들의 반응을 알아본 결과, 모든 참가자들이 감정적 현저성과 에피소드 기억 간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고 동의하였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교재가 자신들이 좋아하는 영화일 때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단서를 달았다. 이 연구의 교육적 함의는 과거 말하기, 듣기의 기술 연습 혹은 영화의 동기와 흥미를 이용한 교실 활용 중심의 영화영어 연구와 차별하여, 감정적 현저성과 에피소드 기억의 이론을 바탕으로, 영화 속 풍부한 감정을 활용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이 방법을 실제 교실에서 적용할 때 유용한 교재 선정 기준 및 교사 개입 및 지도가 필요한 영역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윤아, "영화영어에서 구문문법의 교육적 적용에 관한 사례 연구" 외국어교육연구소 35 (35): 155-171, 2021

      2 유도형, "영화영어에서 EFL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현저성과 항목 유형에 관한 연구" 영상영어교육학회 22 (22): 15-28, 2021

      3 조재옥, "영화를 활용한 영어 문법지도 방법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689-714, 2017

      4 임미진, "영화 영어에서 작업 기억을 돕는 장치에 관한 연구: 발표를 중심으로" 외국어교육연구소 36 (36): 93-107, 2022

      5 임미진, "영화 영어에서 머릿속 사전(Mental Lexicon)의 역할에 관한 연구" 영상영어교육학회 23 (23): 16-26, 2022

      6 Hargraves, V., "What i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7 Cherry, K., "What is episodic memory?"

      8 Treue, S., "Visual attention : The where, what, how and why of saliency" 13 (13): 428-432, 2003

      9 Cooley, J., "Toy story 4 [Film]"

      10 Duncan, S., "The role of the amygdala in visual awareness" 11 (11): 190-192, 2007

      1 노윤아, "영화영어에서 구문문법의 교육적 적용에 관한 사례 연구" 외국어교육연구소 35 (35): 155-171, 2021

      2 유도형, "영화영어에서 EFL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현저성과 항목 유형에 관한 연구" 영상영어교육학회 22 (22): 15-28, 2021

      3 조재옥, "영화를 활용한 영어 문법지도 방법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689-714, 2017

      4 임미진, "영화 영어에서 작업 기억을 돕는 장치에 관한 연구: 발표를 중심으로" 외국어교육연구소 36 (36): 93-107, 2022

      5 임미진, "영화 영어에서 머릿속 사전(Mental Lexicon)의 역할에 관한 연구" 영상영어교육학회 23 (23): 16-26, 2022

      6 Hargraves, V., "What i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7 Cherry, K., "What is episodic memory?"

      8 Treue, S., "Visual attention : The where, what, how and why of saliency" 13 (13): 428-432, 2003

      9 Cooley, J., "Toy story 4 [Film]"

      10 Duncan, S., "The role of the amygdala in visual awareness" 11 (11): 190-192, 2007

      11 Price, C., "The problem of emotional significance" 28 (28): 189-206, 2013

      12 Williams, S. E., "The power of negative and positive episodic memories" 22 : 869-903, 2022

      13 Okon-Singer, H., "The neurobiology of emotion-cognition interactions : Fundamental questions and strategies for future research" 9 : 2015

      14 Tying, C. M., "The influence of emotion on learning and memory" 8 : 2017

      15 Carstensen, L. L., "The influence of a sense of time on human development" 312 (312): 1913-1915, 2006

      16 Yiend, J., "The effects of emotion on attention : A review of attentional processing of emotional information" 24 (24): 3-47, 2010

      17 Jennings, G., "Sing 2 [Film]"

      18 Lim, S., "Segregating the significant from the mundane on a moment-to-moment basis via direct and indirect amygdala contributions" 106 : 16841-16846, 2009

      19 Picarra, N., "Searching, navigating, and recommending movies through emotions : A scoping review" 2022 (2022): 1-24, 2022

      20 Farnsworth, B., "Saliency in human behavior research"

      21 Zarcone, A., "Salience and attention in surprisal-based accounts of language processing" 7 : 2016

      22 The Decision Lab, "Salience"

      23 Todd, R. M., "Psychophysical and neural evidence for emotion-enhanced perceptual vividness" 32 (32): 11201-11212, 2012

      24 Look Creative Studios, "Moving pictures: How animation engages our emotions"

      25 Hoinbala, F. R., "Movies as an authentic input in L2 Speaking class : A dynamic usage-based approach in EFL teaching in Indonesia" 6 (6): 1-9, 2022

      26 Ousdal, O. T., "Increased amygdala and visual cortex activity and functional connectivity towards stimulus novelty is associated with state anxiety" 9 (9): e96146-, 2014

      27 Spreng, R. N., "I remember you : A role for memory in social cognition and the functional neuroanatomy of their interaction" 1428 : 43-50, 2012

      28 Katia, "How to make character emotions more expressive in animation"

      29 김영광, "How to Enhance Language Awareness of Beginners Using the American TV Comedy Brooklyn Nine-Nine" 영상영어교육학회 23 (23): 1-13, 2022

      30 Jung, N., "How emotions affect logical reasoning : Evidence from experiments with mood-manipulated participants, spider phobics, and people with exam anxiety" 5 : 2014

      31 Mondal, H., "How do animated characters engage with our emotions?"

      32 노윤아, "How Do We Define Authenticity? A Comparison of a Corpus with the TV Drama, Grimm" 영상영어교육학회 13 (13): 109-127, 2012

      33 VanPatten, B., "Form-meaning connection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outledge 2004

      34 Duzhyk, N. S., "Film as a means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Scientific notes of Taurida National V. I. Vernadsky University, series Philology" 30 (30): 78-83, 2019

      35 de Martino, B., "Enhanced processing of threat stimuli under limited attentional resources" 19 (19): 127-133, 2009

      36 Schnitzspahn, K. M., "Encyclopedia of geropsychology" Springer 762-769, 2017

      37 Judson, G., "Emotional significance vs. relevance [Post]"

      38 Anderson, A. K., "Emotional memories are not all created equal : Evidence for selective memory enhancement" 13 (13): 711-718, 2006

      39 Luo, Y., "Emotion perception and executive control interact in the salience network during emotionally charged working memory processing" 35 (35): 5606-5616, 2014

      40 Sukel, k., "Beyond emotion: Understanding the amygdala's role in memory" The Dana Foundation

      41 Parr, T., "Attention or salience" 29 : 1-5, 2019

      42 de Gelder, B., "Attention and awareness each influence amygdala activity for dynamic bodily expressions : A short review" 6 : 2012

      43 유도형, "A Study on a Working Model for a Vocabulary List Based on Working Memory: Using Episodes From American TV Series" 영상영어교육학회 23 (23): 12-25, 2022

      44 Takako Shimizu, "A Methodology of Using Movies to Teach English: A Case of the Movie Back to the Future" 영상영어교육학회 6 (6): 209-220,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