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합교육 문제점에 대한 질적 연구 = Qualitative Research on Inclusive Education Probl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76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social and emotional integration problems of inclusive education. Met the inclusion of the parties interviewed in-depth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consolid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was carried out to promote. The positives and negatives of four components of education, students, curriculum,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analysi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s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wer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classroom teachers to integrate, normal children, parent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arents in order to recognize the current state of integrated education.
      In regards to education, the social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be mutually beneficial to both the disabled children and the other children in their natural school environment. Social integration reduce prejudice again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faster the spirit of a service oriented mind. Howeve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tegrated classes have not always received the appropriate attention they required. In addition parents need to have a more receptive attitud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tegration into the classroom.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d on the social and emotional integration problems of inclusive education. Met the inclusion of the parties interviewed in-depth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consolid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was carried out to promote...

      This study focused on the social and emotional integration problems of inclusive education. Met the inclusion of the parties interviewed in-depth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consolid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was carried out to promote. The positives and negatives of four components of education, students, curriculum,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analysi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s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wer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classroom teachers to integrate, normal children, parent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arents in order to recognize the current state of integrated education.
      In regards to education, the social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be mutually beneficial to both the disabled children and the other children in their natural school environment. Social integration reduce prejudice again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faster the spirit of a service oriented mind. Howeve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tegrated classes have not always received the appropriate attention they required. In addition parents need to have a more receptive attitud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tegration into the classroo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통합교육 당사자들을 만나 심층 면담한 내용을 분석하여 사회, 정서적 통합과 통합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교육의 4요소 즉 학생, 교육과정, 교사, 교육환경 측면에서 통합교육의 요소별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통합교육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질적 연구법에 따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장애아동의 입장과 일반아동의 입장에서 통합교육이 지닌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비교하여 서술하였고 특수학급 교사, 통합학급 교사, 일반아동 학부모, 장애아동 학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통합교육 요소들에 대한 현 실태와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통합교육을 통해 장애아동은 사회성을 신장시키는 반면 괴롭힘을 당하기도 하였고, 일반아동은 장애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봉사정신을 기르는 반면 학습권을 침해당하기도 하였다. 통합학급에서 장애아동은 적절한 교육을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고 적절한 배치에 대한 의견도 서로 달랐다. 또한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적인 태도를 갖기 위한 학부모 연수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통합교육 당사자들을 만나 심층 면담한 내용을 분석하여 사회, 정서적 통합과 통합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교육의 4요소 즉 학생, 교육과정, 교사, 교육...

      본 연구는 통합교육 당사자들을 만나 심층 면담한 내용을 분석하여 사회, 정서적 통합과 통합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교육의 4요소 즉 학생, 교육과정, 교사, 교육환경 측면에서 통합교육의 요소별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통합교육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질적 연구법에 따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장애아동의 입장과 일반아동의 입장에서 통합교육이 지닌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비교하여 서술하였고 특수학급 교사, 통합학급 교사, 일반아동 학부모, 장애아동 학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통합교육 요소들에 대한 현 실태와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통합교육을 통해 장애아동은 사회성을 신장시키는 반면 괴롭힘을 당하기도 하였고, 일반아동은 장애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봉사정신을 기르는 반면 학습권을 침해당하기도 하였다. 통합학급에서 장애아동은 적절한 교육을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고 적절한 배치에 대한 의견도 서로 달랐다. 또한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적인 태도를 갖기 위한 학부모 연수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미,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통합학급 교사의 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 김남순, "한국 특수교육 발전을 위한 통합교육 운용방안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2

      3 金明姬, "특수학급 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의 태도"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3

      4 한은주, "특수학교 유치부 역통합교육에 대한 일반유아 가족과 교사의 인식"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8

      5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2011

      6 김현진, "통합학급 담당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운영에 대한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5 (15): 33-55, 2008

      7 이주화, "통합교육의 발전 방안에 관한 소고 - 독일 통합교육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국립특수교육원 18 (18): 137-158, 2011

      8 김진아, "통합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9 황분옥, "통합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0 김태동,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변화 및 통합교육 발전방향 탐색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5

      1 이정미,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통합학급 교사의 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 김남순, "한국 특수교육 발전을 위한 통합교육 운용방안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2

      3 金明姬, "특수학급 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의 태도"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3

      4 한은주, "특수학교 유치부 역통합교육에 대한 일반유아 가족과 교사의 인식"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8

      5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2011

      6 김현진, "통합학급 담당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운영에 대한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5 (15): 33-55, 2008

      7 이주화, "통합교육의 발전 방안에 관한 소고 - 독일 통합교육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국립특수교육원 18 (18): 137-158, 2011

      8 김진아, "통합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9 황분옥, "통합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0 김태동,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변화 및 통합교육 발전방향 탐색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5

      11 서희, "통합교육과 분리교육에 대한 장애학생 학부모의 인식 연구 : 서울시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2 이유리, "통합교육 운영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간의 인식 비교"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13 오지현, "초등학교 통합 교육 효과에 대한 초등학교 장애 아동 및 일반 아동 부모 태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2

      14 정수원, "초등학교 교사의 통합학급 담임 기피요인 분석"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5 김선애, "청각장애아동 통합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16 정경희, "중등과정 역통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7 최정희, "정신지체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의 인식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8 張東台, "정신지체 특수학급 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장애 요인 연구" 大邱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19 전영숙, "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비교" 6 : 151-169, 1999

      20 김윤정, "장애유아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와 학부모 인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1 이소현, "장애영유아 통합교육 동향 및 과제" 25 (25): 71-91, 1998

      22 김연진, "일반학급주도 경도장애아 통합교육에 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19 : 421-447, 2002

      23 박승희,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적 수정" 34 (34): 29-71, 1999

      24 Ddom, S. 1., "Integrating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Children" 51 : 41-49, 1984

      25 Hallahan, D. P., "Exceptional Childre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Prentice Hall 1998

      26 Sharpe, M. N., "Effects of inclusion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classmates without disabilities :A preliminary study" 15 (15): 281-287, 1994

      27 Home. M. D., "Attitudes Tpward Handicapped Students : Professional, Peer and Parent Reaction Hillsdale" Lawrence Erdbaum Associates Publisher 19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